• 제목/요약/키워드: microorganism growth

검색결과 582건 처리시간 0.03초

건축물내 급수설비의 수질변화 특성과 영향력 평가 (Assessment of Variable Characteristics in Water Quality of the Supply Systems in the Building)

  • 이현동;황재운;배철호;김상진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313-320
    • /
    • 2004
  • In this study, variable characteristics of drinking water and the influences on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rooftop water tanks, and service water pipes in the building were assessed. The influence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 material and water capacity on water quality also were assessed. The results are the following as; First of all, the drinking water passing through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r service water pipes in the building, averagely metal component concentration more increased from percent of 41.3 to percent of 74.2 totally than other items of water quality. On the other hand, both residual chlorine and total solid highly decreased 65.6 percent and 35.3 percent, respectively.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water quality could be getting worse for microorganism re-growth by residual chlorine reduction, and total solid also could be a cause for extraneous matters accumulated in water reservoir. Secondly, the variations on water quality of each stage for water supply system in the building were higher in water service pipes connected from rooftop water tanks to the tap than in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In addition to, among of twelve items on water quality, ten items on water quality except dissolved oxygen and residual chlorine increased.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influence of water service pipes connected from rooftop water tanks to the tap on water quality were higher than other stages of water supply system in the building. Thirdly, in case of materials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 it was likely that the variation on water quality by stainless steel and concrete materials got some similar. In case of water capacity, the variations on water quality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ver $1,000m^3$ higher than those under $1,000m^3$. That reasons was likely that the retention time(49.72 hours averagely)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over $1,000m^3$ was two times longer than it of those under $1,000m^3$(23.37 hour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the influence on water quality by materials were some similar, but in case of water capacity, the influence of underground water reservoirs were higher.

한국잔디 갈색퍼짐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한 길항미생물의 분리 및 선발 (Isolation and Selection of Antagonistic Microbes for Biological Control of Zoysiagrass Large Patch Disease)

  • 마기윤;곽수년;이긍주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1권6호
    • /
    • pp.657-665
    • /
    • 2013
  •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잔디에 발생하는 병해 중 가장 큰 피해를 나타내는 갈색퍼짐병의 생물학적 방제를 위해 새로운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고 그 방제효과를 기내 및 생물검정을 통해 확인하는 것이다. 갈색퍼짐병에 항균활성을 갖는 길항미생물을 선발하고자 토양으로부터 미생물을 분리하여 R. solani AG2-2 (IV)와의 대치배양을 통해 61균주를 1차로 선발하였으며, 선발 균주 중 R. solani AG2-2(IV)의 균사 생육 억제력이 가장 큰 3종의 균주 I-009, FRIN-001-1 및 YPIN-022를 최종 길항미생물로 선발하였다. 이들 세 분리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I-009와 FRIN-001-1은 Bacillus 속에 속하였고, YPIN-022 균주는 Pseudomonas 속의 미생물로 확인되었다. 배양여액을 이용한 R. solani AG2-2 (IV)의 균체량 측정결과 선발 길항미생물 모두 51.7-63.5%의 균체 증식 억제력을 확인하였다. 장성에서 수확한 들잔디의 일종인 장성중지를 생육상에서 활착시킨 후 조사한 생물검정에서 잔디줄기 위에 균체 발생율은 I-009와 YPIN-022 균주 처리구에서 각각 60.3%와 65.0%로 갈색퍼짐병 병원균 단독처리구에 비하여 28.1%와 23.7%의 병 발생 억제효과를 나타냈으나, FRIN-001-1 균주 처리구는 47.8%의 균체발생율을 보여 비교적 높은 43.0%의 병 발생 억제율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한국잔디 갈색퍼짐병에 대한 병 발생 억제율이 가장 우수한 선발 길항미생물 균주는 FRIN-001-1였고, 향후 추가적인 포장검증을 통해 한국잔디 이용지역을 위한 생물농약 개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돈육 부산물의 전처리 조건에 따른 품질특성 연구 (Study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By-product on the Different Pretreatment Process)

  • 김태경;구수경;이혜진;이철원;김영붕;전기홍;최윤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2권6호
    • /
    • pp.716-723
    • /
    • 2016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mprove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pork intestine through different pretreatment processes. Methods: We washed pork intestine by both physical (tap water, UV, and sonication) and chemical methods (alcohol, acetic acid, flour and NaCl) as pretreatment process. The physicochemical (pH, color, volatile basic nitrogen (VBN), and 2-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TBARS)) and microbial properties of pre-treated pork small intestine were evaluated. Results: The nature of the pretreatment method influenced the pH value of pork small intestine. The acetic acid treatment resulted in the lowest pH value. In physical method, the color value and the number of microorganism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sonication as compared to other treatments. TBARS value of pork small intestine after all the treatments was lower than the control. However, VBN exhibit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its value irrespective of the nature of treatment. Appearance and control exhibited lowest value in response to sonication treatment. However, off-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were higher in sonication treatment than other treatments. In chemical method involving NaCl and flour treatments, lightness and redness were lower than other treatments. Lowest VBN and TBARS values were noted in alcohol and acetic acid treatmentsand no growth of E. coli and coliform bacteria was observed. The other treatments resulted in lower values of VBN, TBARS, and microbial counts than the control. Appearance and color value after alcohol, acetic acid, and flour treatment were lower than the control and NaCl treatment. Off-flavor and overall acceptability of by-product after alcohol, flour, and NaCl treatments were higher than the control and acetic acid treatment. Conclusion: Overall, we present NaCl treatment and sonication treatment in the form of a combination pretreatment method as the optimal condition for processing pork intestine.

Bacillus licheniformis B1을 이용한 검은콩 청국장 발효 (Fermentation of Black-soybean Chungkookjang Using Bacillus licheniformis B1)

  • 황재성;김재영;성대일;이용섭;김한복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16-219
    • /
    • 2012
  • 청국장은 대두 발효식품으로 미생물, 효소, daidzein, 펩타이드 등이 풍부하다. 백태, 흑태, 서리태, 약콩 등 4종류의 대두와 Bacillus licheniformsi B1 균주를 이용해서 청국장을 제조하면서 각각의 발효양상을 비교하였다. pH, 갈변물질의 변화를 청국장 발효의 지표로 이용하였다. 발효시간에 따른 청국장의 pH 변화에서는, 초기에는 백태 청국장의 pH가 가장 높았으나 시간이 지나며 증가속도가 낮아졌다. 흑태, 서리태, 약콩의 경우는 발효 개시 초기에는 pH 변화가 적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pH가 급격히 상승하는 등, 백태와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발효 1일 후 갈변도는 백태 청국장이 가장 높았으며, 나머지 검은콩의 경우 그보다 낮은 값을 보여 주었다. 서리태의 경우 발효 1일 후부터 갈변도가 급격히 증가하였다. 검은콩에 존재하는 anthocyanin에 의해 청국장 발효균주의 생장이 억제되어 초반에는 발효 정도가 백태에 비해 약한 것으로 보인다. 항염효과를 지니는 daidzein 함량을 HPLC로 분석한 결과, 흑태, 서리태, 약콩 청국장은 백태 청국장보다 높은 값을 보였다. 서리태, 흑태, 약콩 등 검정콩에 대해서도 B. licheniformis B1 균주로 청국장 발효가 이루어질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침지저장액에 따른 두부의 물성 변화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soybean curd stored in the solution of different salt concentration)

  • 장원영;신동훈;김병용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2호
    • /
    • pp.135-140
    • /
    • 1995
  • 여러 소금농도$(0{\sim}5%)$에 따라 만든 침지액에 침지한 두부를 여러 저장온도$(5{\sim}25^{\circ}C)$에서 저장하는 동안, 침지액의 화학적 변화 및 두부 조직 변화를 측정하였다. $0{\sim}3%$의 소금으로 만든 침지액과 비교하여 볼때 5%의 소금으로 만든 두부 침지액에서 pH의 감소가 뚜렷이 억제되었고 탁도 증가율 및 미생물 증가도 억제되었다. 저온$(5^{\circ}C)$에서 저장시 침지액의 pH 변화는 매우 낮게 나타났으나 고온(15, $25^{\circ}C$)에서 저장시 pH는 초기 급격히 감소하였으나, 24시간 후 다시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또한 $5^{\circ}C$에서 저장시 침지액의 탁도변화는 매우 억제됨을 알 수 있었다. 조직 변화를 나타내는 초기 응력변화$({\sigma}_{/0})$, 탄성성분(E), 점성성분$({\eta})$과 파손강도 등은 침지액의 농도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으며, 저장온도에 따라 급격히 조직 변화가 일어났다. 관능시험결과 단단함과 짠맛에 대해서만 시료간에 유의차를 나타냈고, 소금을 침지액에 첨가시 $1{\sim}5%$까지는 짠맛에 대한 시료간에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논토양미생물의 Diazinon과 부식물질에 대한 기질 친화성 (Affinity of Diazinon and Humic Substances as a Substrate of Microorganisms in Paddy Soil)

  • 송재영;이규승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9-115
    • /
    • 1992
  • Diazinon과 부식물질인 humin, HA, FA에 대한 토양미생물의 기질 선호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한정비재에 diazinon과 부식물질을 각각 처리하여 항온($30^{\circ}C{\pm}1$)으로 유지하면서 토양미생물의 균수와 MO 활성, ${\alpha}$, -${\beta}$-ES 활성을 측정하였으며, 각각의 부식물질 첨가에 따른 diazinon의 분해속도를 조사하였다. 1. 토양미생물의 균수가 부식물질 처리구에서는 초기 1일부터 급격히 증가한 반면 dizainon 처리구에서는 3일후 부터 증가하였으며, 10일후 부식물질 처리구가 diazinon 처리구보다 약 1.5배 많았다. 2. MO 활성은 부식물질 처리구에서 diazinon처리구보다 3일까지 높았으며, HA > FA > humin의 순이었다. 3. ${\alpha}$-ES와 ${\beta}$-ES 활성은 비슷한 경향이었으며, humin과 HA에서는 diazinon보다 5일이후 높았지만, FA는 diazinon과 거의 비슷한 수준이었다. 4. 부식물질을 첨가함으로써 diazinon의 분해속도는 지연되었으며, 10일후의 분해율은 humin, HA, FA 첨가구에서 각각 51.4%, 58.9%, 62.4%이었고, 무첨가구에서는 71.9%이었다.

  • PDF

인공식물섬에 의한 조류(Algae)및 영양염류의 제거 (Algae and Nutrient Removal by Vegetated Artificial Floating Island)

  • 박선구;조인기;권오병;문정수;엄한용;황순진
    • 생태와환경
    • /
    • 제41권spc호
    • /
    • pp.93-98
    • /
    • 2008
  • 인공식물섬의 BOD, SS, T-N, T-P제거효율과 조류의 성장억제 능력을 분석하였으며 조류제어효과에 있어서 미생물보유활성화, 식물의 흡수효과에 대한 각각의 효과성을 판단하기 위해 구성요소별 장치를 구성하여 실험하였다. 구성요소별 장치는 (1) Blank Test, (2) 인공식물섬(VAFI) $0.25m^2$, (3) 식물을 식재 하지 않은 인공식물섬(AFI) $0.25m^2$, (4) 인공식물섬을 수면위로 부유시키기 위한 부력재 $0.25m^2$, (5) Media (부력재 $0.25m^2$에 50cm 길이로 Media를 4줄 부착)이다. BOD제거는 VAFI, AFI, 부력재, Media에서 각각 82.7, 80.8, 45.2, 59.6%로 나타났다. T-N제거는 VAFI, AFI, Media에서 각각 51.2, 31.7, 25.1%로 나타났다. T-P제거는 VAFI, AFI, 부력재, Media에서 각각 23.3, 16.7, 10.0, 13.3%로 나타났다. 엽록소-${alpha}$는 VAFI에서 97.9%가 제거되었다. VAFI의 구성 요소별 제거율은 차광효과 35.1%,미생물의 복합작용에 의한 효과 61%, 식물과 뿌리에 의한 효과 1.8%인 것으로 나타났다.

신규 고온성 Geobacillus sp. AR1의 extracellular 지질분해효소 생산을 위한 배양조건 (Culture Conditions for Improving Extracellular Lipolytic Enzyme Production by a Novel Thermophilic Geobacillus sp. AR1)

  • 박수진;전숭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10-115
    • /
    • 2013
  • Extracellular 지질분해효소를 생산하는 균주 AR1은 일본 벳부 온천수에서 분리하였다. 분리된 균주의 16s rR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계통학적으로 분류한 결과, AR1 균주는 신규 Geobacillus sp.에 속하는 것으로 동정되었다. 본 연구는 Geobacillus sp. AR1 균주의 extracellular 지질분해효소 생산을 향상시키기 위한 새로운 방법에 초점을 맞추었다. AR1 균주는 $35{\sim}75^{\circ}C$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생육하였고 최적온도는 $65^{\circ}C$이었다. 생육을 위한 최적 pH는 6.5인 반면, 효소 생산을 위한 pH는 8.5로 차이점을 보였다. 배양 중에 지질 화합물의 첨가는 지질분해효소 생산을 유도하였고, soybean oil을 대수증식기에 첨가 했을 때 가장 효율적인 유도 효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계면활성제는 지질분해효소의 생산을 유도하고 세포 내외의 위치에 영향을 줄 수 있다. AR1 균주는 정지기에 Tween 20을 첨가할 경우, 효소의 세포 외 분비 효율이 크게 증가하였다. 이들 결과를 바탕으로 soybean oil과 Tween 20을 각각 대수증식기와 정지기에 첨가함에 따라 extracellular 효소 생산이 대조구에 비해 2.4배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고전압 펄스 전기장 처리된 미생물 세포의 생리특성 (Physiological Properties of Microbial Cells Treated by Pulsed Electric Field(PEF))

  • 김경탁;김성수;최희돈;홍희도;하상도;이영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368-374
    • /
    • 1999
  • 식품공정에 있어서 비가열 살균 기술로 개발되고 있는 고전압 펄스 전기장(pulsed electric fields, PEF)을 과실주스의 품질 향상에 응용하고자 pilot-scale의 고전압 펄스 전기장 살균장치를 개발하였으며, 이것을 과실 주스의 모델로 선정한 사과주스의 대표적 오염지표균 또는 품질을 저하시키는 미생물 중 Escherichia coli, Bacillus subtilis, Rhodotorula minuta에 적용시켜 세포의 생리특성을 조사하였다. 내염성, 자외선 흡수 물질, 세포염색, 세포의 회복도, 세포의 표면구조 등을 조사함으로서 PEF의 미생물 생리특성에 대한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E. coli, B. subtilis, R. minuta를 40 kV/cm, 84 pulse, $10{\mu}s$ pulse duration의 PEF 조건에서 처리하여 내염성을 조사한 결과 1 log cycle 정도의 생존율 감소를 나타내었다. PEF 처리에 의한 세포 내부 성분의 유출 여부를 살펴본 자외선 흡수물질 측정결과 260 nm, 280 nm에서 모두 PEF 처리 세포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증가된 흡수물질 농도를 나타내었다. PEF 처리된 R. minuta를 세포 염색하여 관찰한 결과 세포막이 터져서 개열됨에 따라 염색시약이 세포 내, 외부로 고루 염색되어 세포 본래의 형태를 관찰할 수가 없었다. PEF 처리후 세포의 회복도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E. coli와 B. subtilis가 약 5시간, R. minuta가 약 8시간 정도 지연된 lag time을 보였다. 그리고 PEF 처리후의 E. coli, B. subtilis, R. minuta는 정상적인 세포와는 달리 세포막이 상당한 손상을 입어 허물어진 상태를 관찰할 수 있었다.

  • PDF

묵은지 스타터 Lactobacillus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 (Characterization of Probiotic and Functional Properties of Lactobacillus curvatus ML17, a Mukeunji Starter)

  • 김효주;성혜미;신현경;김기명;양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3권7호
    • /
    • pp.1009-1016
    • /
    • 2014
  • 묵은지 스타터로 개발된 Lb. curvatus ML17의 생균제적 특성 및 기능성 조사를 통하여 기능성 소재로서의 개발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Lb. curvatus ML17은 용혈현상을 일으키지 않았으며 ${\beta}$-glucosidase와 ${\beta}$-glucuronidase의 발암효소 활성이 없는 것으로 나타나 균주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하였다. 장내 생존성 확인 실험에서는 인공위액에서 2시간 처리한 다음 인공담즙에서 24시간 처리한 결과 초기 균수 대비 12.3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다. Caco-2 cell에 대한 부착율은 초기 접종균수가 많을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5.66{\times}10^9$ CFU/mL로 처리 시 17.31%의 부착율을 나타냈는데 20.78%의 부착율을 나타낸 양성 대조군 Lb. rhamnosus GG에 근접하게 높은 부착율을 나타내어 장내환경에서 바람직한 작용을 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유해균주에 대한 생육저해 활성 측정에서는 Micrococcus luteus, Bacillus cereus, Salmonella enterica subsp. enterica, 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DPPH radical 소거능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측정 결과 72.88%로 양성 대조군인 0.1 mg/mL ascorbic acid보다 높은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AGS 위암세포 및 HT-29 결장암세포에 대한 성장 억제 효과에서는 Lb. curvatus ML17의 배양 상등액 $80{\mu}L/mL$ 처리 시 각각 82.91% 및 79.35%의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로 Lb. curvatus ML17이 묵은지를 포함한 발효스타터로 사용되었을 경우 식품의 보존성 향상과 품질 유지 및 균주에 의한 건강 기능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식품, 사료, 의약 분야의 다양한 산업적 활용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