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nutrients solution

검색결과 9건 처리시간 0.029초

양액과 SCB액비 처리에 미량요소 첨가가 방울토마토의 미네랄 함량과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xed Treatment of Electrolyzed Micronutrients with Nutrient Solution and SCB Slurry on Mineral Content and Growth of Cherry Tomatoes (Lycopersicon esculentum))

  • 류종원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85-397
    • /
    • 2012
  • 식물미네랄(phyto-minerals) 함량을 높인 미네랄강화 농작물(biofortification foods)을 개발하기 위하여 전기분해를 이용하여 10종(Co, Fe, Mg, Mn, Sr, Zn, Li, Sn, V, Ti, Se, S)의 미량요소를 함유하는 복합미네랄액을 조제하였다. 양액과 SCB 액비에 복합미량요소액을 방울토마토 처리한 결과 양액+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r, Se, Ti이 증가되었고, 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Li, Zn, Se, Co, Sr, Ti 함량이 유의성있게 증가하였다. 양액+SCB+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는 SCB액비, NS액비 처리구보다 Li, Zn, Se, Co, Ti 함량이 유의성 있게 증가하였다. 토마토의 생육과 수량은 양액처리구에서 가장 높았고, 복합 미량요소액 처리로 감소하였다. 토마토의 수량은 표준양액처리구와 비교할때 NS+복합미량요소액 처리구와 SCB+양액+복합 미량요소액 혼합시용구는 각각 97%와 94%의 토마토 과실 수량를 나타내었으나 미량요소 강화효과가 있었으므로 혼합용액을 조제하면 토마토 재배용 양액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Suppressi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Lettuce by Application of Mg and Micronutrients

  • Chung, Jong-Bae;Park, Sang-Gyu;Park, Shin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40-345
    • /
    • 2001
  • High rates of nitrogen fertilization dangerously increase the nitrate content of vegetable crops, and the accumulation of nitrate in edible crops is undesirable because of potential risks to human health. Micronutrient solution containing Cu, Mn, Mo, Zn was tested for the suppressi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lettuce grown in pots treated with Mg fertilizer under a greenhouse condition. The micronutrient solution was sprayed on leaves at 3 and 4 weeks after transplanting of 20-day old seedlings. Plants were harvested after 5-week growth, and yield, contents of chlorophyll, sugar, micronutrient and nitrate, and also nitrate reductase activity were measured. Fresh weight of lettuc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y the application of Mg and micronutrients, and the effect was the most significant in the Mg+micronutrient treatment. Also contents of chlorophyll and micronutrients were higher in the plants of micronutrient treatments. Contents of nitrate were reduced by about 14-18% in lettuce with Mg and/or micronutrient applications. Compared to the plants of control treatment, nitrate reductase activity was also higher in those plants treated with micronutrients, and in the treatment of Mg+micronutrients the enzyme activity was six times as high as that of control treatment. Although the effect of mineral nutrients on the suppressi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lettuce was relatively small in this study, an appropriate supply of mineral nutrients could be one of the solutions for the nitrate accumulation in vegetables.

  • PDF

미량원소 엽면 처리에 의한 엽채류의 질산태 질소 축적 억제 (Suppression of Nitrate Accumulation in Vegetables by Foliar Application of Micronutrients)

  • 엄진섭;박누리;박상규;박신;정종배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4권4호
    • /
    • pp.240-245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키토산 화합물을 함유한 미량원소 엽면 살포제를 엽채류에 처리하여 질산태 질소 축적 저감 효과를 조사하였다. Ca, Cu, Mn, Mo, Zn 등의 무기영양원소에 키토산과 키토산올리고당을 각각 첨가한 2종류의 미량원소 액제를 온실조건에서 포트에 재배한 상추와 시금치에 정식 후 3주와 4주째에 엽면 살포하였다. 정식 후 5주째에 수확하여 생육량, 엽록소와 미량원소 함량 및 Brix 당도,그리고 질산태 질소와 질산환원효소 활성을 조사하였다. 엽면 살포 액제의 시용을 통하여 작물의 생육 촉진과 함께 질산태 질소의 축적을 10-23% 정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미량원소와 키토산 화합물의 흡수를 통하여 엽록소와 미량원소 함량이 증가되었고 결국 광합성을 비롯한 관련 대사과정들과 질산 환원효소의 활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따라서 동시에 질산의 축적을 저감시킬 수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러한 엽면 처리를 통한 질산태 질소의 축적 저감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엽면처리 미량원소의 종류와 함유 비율, 처리 농도, 처리 시기 및 회수의 최적화 등에 대한 검토와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질소 시비량과 재배환경의 조절 측면의 연구와 대책 또한 동시에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 PDF

퇴비의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에 대한 유효도 (Content and Availability of Micronutrients in Manure-based Composts)

  • 정종배;최희열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230-236
    • /
    • 2006
  • 가축분과 톱밥을 주원료로 하고 기타 농산부산물과 무기 자재로 제조된 퇴비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고 이러한 퇴비의 처리가 토양의 미량원소 함량과 작물의 미량원소 흡수 이용에 미치는 영향을 상추 재배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시중에 유통되고 있는 5종의 퇴비를 구입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미량원소는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으로 분석하였다. 미량원소 함량이 낮은 토양에 퇴비 1종을 1,000 및 $2,000kg\;10a^{-1}$ 수준으로 처리하고 포트 시험으로 온실에서 상추를 재배하였으며, 생육과 식물체중의 미량원소 함량을 조사하였다. 퇴비중의 미량원소 함량은 원료물질이 다른 만큼 퇴비의 종류별로 총 함량과 가용성 함량 모두 다양하였다. 미량원소 총 함량은 B, Cu, Fe, Mn, Mo, Zn이 각각 26-42, 27-160, 4,300-9,500, 290-790, 0-0.5, $140-420mg\;kg^{-1}$ 범위로 나타났다. 퇴비중의 0.1 N HCl 가용성 B, Cu, Fe, Mn, Zn 은 각각 총 함량의 23-32, 1.3-2.6, <1, 7-32, 0.5-5% 수준이었으며 DTPA 가용성 함량은 0.1 N HCl 가용성 함량보다 높았다. 퇴비를 $2,000kg\;10a^{-1}$ 수준으로 처리한 경우 퇴비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구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생육이 증가하였으며, 대조구에 비하여 퇴비 처리구 모두에서 상추 잎 중의 B, Cu, Mo, Zn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퇴비 처리가 Fe와 Mn의 흡수는 증가시키지 못하였다. 퇴비 $2,000kg\;10a^{-1}$ 수준의 처리를 통하여 토양에 공급되는 0.1 N HCl 가용성 미량원소의 양은 상추 생육에 필요한 양보다 많았으며, 이러한 결과로부터 적절한 수준의 퇴비 시용을 통하여 작물이 필요로 하는 미량원소를 원활히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퇴비 시용량이 비교적 많은 비닐하우스 농가에서 사용되고 있는 미량원소 비료의 시용 효과는 미량원소 흡수에 미치는 토양 환경이나 작물 요인을 고려하여 면밀히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from immature zygotic embryos and young apical leaves in cork oak (Quercus suber L.)

  • El Ansari, Zineb Nejjar;El Bouzdoudi, Brahim;Errabii, Tomader;Saidi, Rabah;El Kbiach, Mohammed L'bachir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8권1호
    • /
    • pp.44-53
    • /
    • 2021
  • The present work aims to study the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cork oak (Quercus suber L.) from immature zygotic embryos and young apical leaves obtained from 2-month-old seedlings through acorn germination on sterilized peat. The immature zygotic embryos were grown for 1 month on the mineral solution of MS in the presence of 4.52 µM 2,4-D and 30 g/L sucrose. They were then transferred to the same mineral solution with no added growth regulators. In the third subculture, yellow somatic embryos, characterized by two voluminous cotyledons, were differentiated from the radicle of the immature zygotic embryos. The induction of somatic embryogenesis in young leaves required a series of transfers on different culture media containing 30 g/L sucrose and 100 mg/L myo-inositol. Secondary or recurrent somatic embryogenesis occurred within the immature somatic embryo radicles after 1 month of culture on growth regulator-free medium containing WPM macronutrients, MS micronutrients, and vitamins.

The Effect of Mixed Amino Acids on Nitrate Uptake and Nitrate Assimilation in Leafy Radish

  • Liu, Xing-Quan;Kim, Young-Sun;Lee, Kyu-Seung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45-25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e present work was to determine the corresponding uptake and assimilation of ${NO_3}^-$ in roots and shoots of leafy radish by applying of mixed amino acids (MAA). The amino acids used in this experiment were alanine (Ala), ${\beta}-alanine\;({\beta}-Ala)$, aspartic acid (Asp), asparagines (Asn), glutamic acid (Glu), glutamine (Gln), and glycine (Gly). Leafy radish was grown by conventional fertilization with macro- and micronutrients under controlled conditions. The 15-day-old seedlings were treated 0, 0.3 and 3.0 mM of MAA containing 5 mM ${NO_3}^-$ in growth medium. Nitrate uptake was determined by following ${NO_3}^-$ depletion from the uptake solution. The activity of the enzymes related to the process of ${NO_3}^-$ reduction (NR: nitrate reductase; NiR: nitrite reductase; GS: glutamine synthetase) and the content of ${NO_2}^-\;and\;{ND_3}^-$ were analyzed in shoots and roo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NO_3}^-$ uptake was inhibited 38% with treatment of 0.3 mM of MAA. However, there was more than three times increase of N03- uptake in 3.0 mM MAA. In addition, the enzymatic activities were positively affected by the high MAA rate. Finally, the ${NO_3}^-$ content was increased slightly both in shoots and roots of leafy radish by MAA treatments.

Effect of boron nutrition on American ginseng in field and in nutrient cultures

  • Proctor, John T.A.;Shelp, Barry J.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38권1호
    • /
    • pp.73-77
    • /
    • 2014
  • Field and nutrient cultures of American ginseng (Panax quinquefolius L.) were used to establish foliar symptoms related to boron (B) concentration in leaves and soils, and to evaluate radish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B nutrition. Application of excess B, 8 kg/ha versus the recommended 1.5 kg/ha, to field plantings of 2-, 3-, and 4-yr-old American ginseng plants just prior to crop emergence caused, within 4 wk after crop emergence, leaf symptoms of chlorosis followed by necrosis starting at the tips and progressing along the margins. The B concentration in leaves of 2-4-yr-old plants receiving 1.5 kg/ha Bwas $30{\mu}g/g$ dry mass compared to $460{\mu}g/g$ dry mass where 8 kg/ha B was applied. Similarly, B concentration in soils receiving the lower B concentration was 1.8 mg/g dry mass and $2.2-2.8{\mu}g/g$ dry mass where the higher B concentration was applied. Application of 8 kg/ha B reduced the dry yield of 3rd-yr roots by 20% from 2745 kg/ha to 2196 kg/ha and 4th-yr roots by 26% from 4130 kg/ha to 3071 kg/ha. Ginseng seedlings and radish were grown under greenhouse conditions in nutrient culture with four B concentrations ranging from 0 mg/L to 10 mg/L. At 5 mg/L and 10 mg/L ginseng and radish developed typical leaf B toxicity symptoms similar to those described above for field-grown plants. Increasing B in the nutrient solution from 0.5 mg/L to 10 mg/L decreased, in a linear fashion, the root and leaf dry mass of ginseng, but not radish. Given the many similarities of ginseng and radish to B utilization, radish might be used as a timesaving model system for the study of B, and other micronutrients, in the slow-growing perennial ginseng.

두과작물(荳科作物)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 및 배양기술확립(培養技術確立)에 관(關)한 연구(硏究) (A Study on Protoplast Isolation and Culture of Legume Plant)

  • 이영복;김영래
    • 농업과학연구
    • /
    • 제12권1호
    • /
    • pp.22-30
    • /
    • 1985
  • 두과작물중(荳科作物中) 대두(大豆)의 callus와 녹두 및 완두의 전개(展開)된 어린 잎의 엽육조직(葉肉組織)을 재료(材料)로 하여 원형질체를 나출(裸出)하고 배양(培養)하는 실험(實驗)을 실시(實施)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대두(大豆)의 callus나 녹두(綠豆)의 엽육조직(葉肉組織)을 'Onozuka R-10'과 'Macerozyme R-10'이 각각(各各) 2% 포함된 E1용액(溶液)에 처리(處理)하였을 때 대두(大豆)나 녹두(綠豆)의 경우는 12시간(時間)이 경과하여도 원형질체(原形質體)의 나출(裸出)은 매우 불량(不良)했다. 2. 완두의 엽육조직체(葉肉組織體)로부터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은 'Onozuka R-10' 및 'Macerozyme R-10'이 각각(各各) 2% 포함된 용액(溶液)으로 충분했으며, 처리시간(處理時間)은 4시간(時間)으로 족(足)했다. 3. 완두의 원형질체(原形質體) 나출(裸出)에 있어서는 효소(酵素)의 처리시(處理時) 명암(明暗)의 조건(條件)이 크게 작용하지 않았다. 4. 효소(酵素)의 처리시(處理時) $CaCl_2{\cdot}2H_2O$의 6mM 첨가에서 좋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5. 나출(裸出)된 완두의 원형질체(原形質體)는 자연상태(自然狀態)에서 상호융합(相互融合)하기도 하였으며, B5 배지(培地)를 주축으로 하고 kinetin 2 mg/l 2,4-D 1mg/l가 첨가된 0.2% agar 배지(培地)에서 분열(分裂)하여 colony를 형성(形成)하였다. 6. Colony는 BII 배지(培地)의 다량원소(多量元素)와 amino acid, B5배지(培地)의 미량원소(未量元素)와 vitamine 및 kinetin과 NAA가 각각(各各) 2 mg/l로 조정된 0.2% agar 배지(培地)에서 callus로 되었다.

  • PDF

혼합상토에 기비로 혼합된 질소 농도가 배추 플러그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 (Growth of Chinese Cabbage Plug Seedlings as Influenced by Various Pre-planting Nitrogen Concentrations in Inert Media)

  • 성좌경;이누리;최종명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34권4호
    • /
    • pp.616-625
    • /
    • 2016
  • 질소 시비 수준이 '불암 3호' 배추의 플러그묘 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피트모쓰:코이어더스트:펄라이트가 3.5:3.5:3.0(v/v/v)으로 혼합된 상토를 조제하는 과정에서 질소 농도를 0, 100, 250, 500, 750, 1,000 및 $1,500mg{\cdot}L^{-1}$으로 조절하여 기비를 혼합하고 72구 플러그 트레이에 충전하였다. 이후 배추 종자를 파종하고 2주와 4주 후에 지상부 생육을 조사하였으며, 식물체 무기원소 함량 및 상토 추출액의 무기원소 농도를 분석하였다. 작물의 생육이 진행됨에 따라 모든 처리에서 상토 추출액의 pH가 점차 상승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질소 시비 수준이 높아질수록 pH의 상승 정도가 적어지는 경향이었지만 처리간 차이는 뚜렷하지 않았다. 파종 직 후부터 3주 후까지 질소 시비수준별 상토 추출액의 처리간 EC 차이가 뚜렷하였지만, 4주 이후 모든 처리의 EC가 급격히 낮아지면서 처리간 차이도 적어졌다. 파종 2주 후 $100mg{\cdot}L^{-1}$ 처리의 초장,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등 생육이 가장 우수하였고, $1,500mg{\cdot}L^{-1}$ 처리는 대부분의 생육 조사 항목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파종 4주 후 지상부 생장은 질소 수준을 $500mg{\cdot}L^{-1}$으로 조절한 처리에서 가장 우수하였고, 질소 무시비구($0mg{\cdot}L^{-1}$)에서 가장 저조하였다. 식물체의 T-N 함량은 질소 $1,000mg{\cdot}L^{-1}$ 처리에서 가장 낮았고, $25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으며, 미량원소의 식물체 내 함량은 1,000과 $1,500mg{\cdot}L^{-1}$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할 때 기비로 혼합된 질소 시비수준을 $250mg{\cdot}L^{-1}$으로 조절하고 추비의 농도를 N 기준 $100mg{\cdot}L^{-1}$ 보다 높게 조절하는 것이 배추 플러그육묘를 위해 가장 바람직하다고 판단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