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electrode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23초

Nitric oxide에 의한 수퇘지 음경후인근의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이완 II. 비아드레날린 비콜린성 신경의 전장자극과 S-nitrosothiols에 의한 돼지 음경후인근의 이완 효과 비교 (Nitric oxide(NO) mediating non-adrenergic non-cholinergic(NANC) relaxation in the boar retractor penis muscle II. Comparison of the relaxant properties induced by nonadrenergic, noncholinergic nerve stimulation and S-nitrosothiols in the porcine retractor penis muscle)

  • 문규환;김태완;강동묵;이완;양일석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459-469
    • /
    • 1995
  • As S-nitrosothiols were proposed as nitrergic carriers in vascular and nonvascular smooth muscle, we have investigated the relaxant properties of several S-nitrosothiols in the porcine retractor penis(PRP) muscle and compared them with the effects of exogenously added NO, electrical field stimulation(EFS) of NANC nerves and sodium nitroprusside(SNP). Also the influences of oxyhemoglobin and hydroquinone on the relaxant respons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effects of NO on membrane potentials and its involvement in the generation of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IJP) were investigated with conventional intracellular microelectrode technique. The results were summerized as follows. 1. Frequency-dependent relaxations of PRP muscle were induced by EFS to NANC nerve. Tetrodotoxin($1{\times}10^{-6}M$) abolished the relaxations of PRP muscle induced by EFS, and L-NAME(($2{\times}10^{-5}M$) and methylene blue($4{\times}10^{-5}M$) inhibited the relaxations. L-NAME-induced inhibition of the relaxations was reversed by L-arginine($1{\times}10^{-3}M$), but not by D-arginine. 2. Exogenous NO($1{\times}10^{-5}-1{\times}10^{-4}M$), sodium nitroprusside(($1{\times}10^{-7}-1{\times}10^{-4}M$) induced dose-dependent relaxations of PRP muscle. All S-nitrosothiols($1{\times}10^{-7}-1{\times}10^{-4}M$) tested relaxed the PRP muscle in dose-dependent manner and the potency order was SNAP>GSNO>CysNO>SNAC. 3. Oxyhemoglobin($5{\times}10^{-5}M$) blocked the relaxation induced by exogenous NO and inhibited EFS-, S-nitrosothiols-, and SNP-induced relaxation. 4. Hydroquinone($1{\times}10^{-4}M$) also abolished the relaxations induced by exogenous NO, and reduced the relaxations induced by S-nitrosothiols, but did not affect EFS- and SNP-induced relaxations. 5. SNP($2{\times}10^{-6}-5{\times}10^{-6}M$) relaxed muscle strips but the membrane potentials were not affected. 6. EFS with several pulses(1ms, 2Hz, 80V) produced an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IJP) with muscle relaxation. They were abolished by TTX($2{\times}10^{-6}M$). $N^G$-nitro-$_{\small{L}}$-arginine(L-NNA, $2{\times}10^{-5}M$) abolished the muscle relaxation, but had no effect on IJP.

  • PDF

구심로 차단 동통에서의 미세 후근 진입부 절제술 (Microsurgical DREZotomy for Deafferentation Pain)

  • 김성림;이경진;조정기;나형균;박해관;강준기;최창락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30권sup1호
    • /
    • pp.85-90
    • /
    • 2001
  • Objective : DREZotomy is effective for the treatment of deafferentation pain as a consequence of root avulsion, postparaplegic pain, posttraumatic syrinx, postherpetic neuralgia, spinal cord injury, and peripheral nerve injury. We performed microsurgical DREZotomy to the patients with deafferentation pain and relieved pain without any serious compl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usefulness of the microsurgical DREZotomy for deafferentation pain. Methods : We evaluated 4 patients with deafferntation pain who were intractable to medical therapy. Two of them were brachial plexus injury with root avulsion owing to trauma, one was axillary metastasis of the squamous cell carcinoma of the left forearm, and the last was anesthesia dolorosa after surgical treatment(MVD and rhizotomy) of trigeminal neuralgia. Preoperative evaluation was based on the neurologic examination, radiologic imaging, and electrophysiological study. In the case of anesthesia dolorosa, we produced two parallel lesions in cephalocaudal direction, 2mm in distance, from the C2 dorsal rootlet to the 5mm superior to the obex including nucleus caudalis, after suboccipital craniectomy and C1-2 laminectomy, with use of microelectrode. In the others, we confirmed lesion site with identification of the nerve root after hemilaminectomy. We performed arachnoid dissection along the posterolateral sulcus and made lesion with microsurgical knife and microelectrocoagulation, 2mm in depth, 2mm in distance, to the direction of 30-45 degrees in the medial portion of the Lissauer's tract and the most dorsal layers of the posterior horn at the one root level above and below the lesion. Results : Compared with preoperative state, microsurgical DREZotomy significantly diminished dosage of the drugs and relieved pain meaningfully. One patient showed tansient ipsilateral ataxia, but recovered soon. There was not any serious complication. Conclusion : It may be concluded that microsurgical DREZotomy is very useful and safe therapeutic modality for deafferentation pain, especially segmentally distributed intermittent or evoke pain. Complete preoperative evaluation and proper selection of the patients and lesion making device are needed to improve the result.

  • PDF

In vivo에서 수종이장재의 산도변화에 관한 연구 (IN VIVO CHANGES OF THE ACIDITY OF VARIOUS DENTAL LINERS)

  • 이미정;안연실;이용우;손호현;이광원
    • Restorative Dentistry and Endodontics
    • /
    • 제23권1호
    • /
    • pp.433-442
    • /
    • 199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serve the changes of acidity of resin cement(Time Line), glass ionomer cement(GC Fugi Lining LC), zinc phosphate cement(Fleck's zinc cement). zinc oxide eugenol cement(Sultan,Chemists.) in vivo and in vitro. Class I cavities with 3mm depth were prepared on the occlusal surfaces of 20 recently extracted human Mn. molar teeth and 20 human Mn. 3rd molar teeth in oral cavity. The prepared cavities were divided into 4 groups of each 5 teeth using the above 4 cavity liners. Each cement was mixed in accordance with manufacturer's direction at the room temperature of $23^{\circ}{\pm}5^{\circ}C$ and filled into the cavity in a width of 1 mm. The microelectrode of pH meter was inserted into the prepared cavity which was filled with mixed cement, and the acidity of cement was measured for 3 days from the beginning of cement mix in vitro and in vivo. The measured acidity was then statistically analyzed by ANOVA.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vitro, the pH of zinc oxide eugenol cement was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the three other groups at 2min, 4min, 6min, 8min, 10min, 12min, 18min, 20min. (p<0.05). 2. The pH of zinc oxide eugenol cement in vivo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vitro at 16min,16min, 20min(p<0.05). 3. The pH of zinc phosphate cement in vivo was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in vitro at 4min, 20min(p<0.05). 4. In vitro and in vivo,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H between the resin cement and the glass ionomer cement(p>0.05). 5. The initial acidity was not high, but almost neutral in all kinds of the cements.

  • PDF

미숙아에서의 24시간 식도 PH 검사 (24 Hour Esophageal PH Monitoring in Preterm Infants)

  • 박정현;박범수
    • Pediatric Gastroenterology, Hepatology & Nutrition
    • /
    • 제4권2호
    • /
    • pp.133-141
    • /
    • 2001
  • 위식도역류는 영아들에 있어서 흔하게 있다고 알려져 있고 특히 미숙아들에게 더 흔히 있다고 알려져 있지만 아직 이에 대한 연구는 부족하다. 목적: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들에게 위식도역류의 진단에 가장 예민하다고 알려져 있는 24시간 식도 pH 검사를 통하여 그 빈도 및 연관 인자를 찾고자 하였다. 방법: 특이 증상 없이 건강하게 자라고 있는 미숙아 21명(평균 재태기간: $30+{\pm}2+0$주, 출생시의 평균 체중은 $1,468{\pm}329$ g, 검사 당시의 평균 나이는 $29{\pm}8$일, 수태 후 나이(Postconceptional age: 재태기간+출생 후 나이)는 $34+6{\pm}1+4$주, 체중은 $1,750{\pm}329$ g, 남아 : 여아=15:6)을 대상으로 휴대용 레코더가 연결되어 있는 실리콘 재질의 마이크로 소식자를 Stobel의 공식($0.252{\times}$키+5 (cm))에 따라 코로 넣어 그 거리만큼 식도내강에 위치시킨 후 거리를 교정하여 24시간 동안 식도 pH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과: 네 가지 파라미터(number of acid reflux, number of long acid reflux (5 min), longest acid reflux minutes, RI)를 제시하였고 전체 대상환아의 57%에서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있음을 보였다. 위식도역류와 number of acid reflux, RI의 두 파라미터가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이 두 파라미터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간에도 의미있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위식도역류가 있는 환아들을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성별 및 테오필린(theophylline) 투약 여부에 따라 각각 구분하여 그 차이를 살펴보았고 모두 통계학적으로 큰 차이는 없었다. 소식자의 거리는 Stobel의 공식에 의한 거리와 실제길이 사이에 차이가 있어 우리의 미숙아의 경우에는 $0.252{\times}$키+3.7 (cm)로 적용시킬 수 있었다. 결론: 위와 같은 결과로 미숙아들에게 있어서 무증상적, 유의한 위식도역류가 57%의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위식도역류증의 진단에 가장 중요한 파라미터는 number of acid reflux, RI와 Reflux index of the postprandial 120 min로 나타났다. 출생체중, 재태기간, 검사 당시의 나이, 수태 후 나이, 체중 및 성별, 테오필린 투약여부 등과 위식도역류와는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없었다. 또한 1세 이하의 영아에게 소식자의 위치를 정하는데 사용되는 Strobel의 공식을 본 연구대상 미숙아들에게 적용해본 결과 소식자의 위치가 $0.252{\times}$키+3.7(cm)로 나타났다.

  • PDF

수정에 의한 Mouse egg의 세포막전류 변화 (Changes in the inward current and membrane conductance after fertilization in the mouse eggs)

  • 홍성근;박춘옥;한재희;김익현;하대식;권종국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32권2호
    • /
    • pp.157-164
    • /
    • 1992
  • Changes in the both inward current and conductance of membrane by the fertilization were observed using the one microelectrode voltage clamp(or switch clamp) technique. Unfertilized eggs and both 1- and 2-cell stage eggs after fertilization were donated from the superovulated mouse (ICR, more than 6 weeks old) treated with PMSG(pregnant mare serum gonadotropin, Sigma) and HCG(human chorionic gonadotropin, Sigma) and naturally mated ones, respectively in this experiment. Membrane potential was held at -90mV and the voltage step was applied from -80mV to 50mV with interval of 10mV or 20mV for 300ms. since both of amplitudes and time courses in the membrane currents were various according to the states of cells and clamping condition, results were presented by their $averages{\pm}SEM$(standard mean error)and ratios or percentages. Inward currents began to appear in response to the step depolarization from -60mV and reached its maximum at -50mV. However, since the potential was not clamped evenly during the voltage step, current-voltage(I-V) relationship might be positively shifted 10 or 20mV. From the steady-state currents plotted in the I-V curve, outward rectification was markedly observed. Peak inward currents$(i_{in})$ at -50mV were $-0.62{\pm}0.23nA$(n=4),$-0.52{\pm}0.25nA$(n=5) and $-0.37{\pm}0.25nA$(n=6), in the 1-cell stage, 2-cell stage fertilized eggs and in the unfertilized eggs, respectively. Pure inward current (difference between steady-state and peak, $i_{in. pure}$) were $-1.01{\pm}0.23nA$, $-0.69{\pm}0.43nA$ and $-0.68{\pm}0.29nA$, respectively in the 1-cell stage fertilized eggs, unfertilized eggs and 2-cell stage fertilized eggs. These results suggested that the outward current in fertilized eggs of 2-cell stage was more increased than those in the unfertilized eggs. Pure inward currents in the all stages of eggs showed a similar fashion in the I-V relationship from -50mV to 50mV and reversal potential at 50mV. Time constant of inactivation$({\tau})$ in the inward current was decreased as the membrane potential was depolarized in the unfertilized and 2-cell stage eggs but in the 1-cell stage eggs t was not likely to be affected significantly. Slope conductances were 14.2nS, 8.9n5 and 7.7nS in the 1-cell, 2-cell stage fertilized eggs and the unfertilized eggs, respectively. Membranes between two cells within a zona pellucida seem to be electrical-connected in the 2-cell stage eggs from the observation made in the analysis for the electronic spread and decay to the current stimuli. Both of inward current and membrane conductance were increased after fertilization in the mouse eggs. Inward current seems to be carried by the same ion or through the same channels up to the 2-cell stage and ion that carried inward current was thought to play important function after fertilization in the mouse eggs.

  • PDF

기니피그 유문동에서 기록되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에 미치는 전해질과 약물의 효과 (Effects of Electrolytes and Drugs on the Inhibitory Junction Potentials Recorded from the Antrum of Guinea-pig Stomach)

  • 구용숙;서석효;이석호;황상익;김기환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4권1호
    • /
    • pp.1-13
    • /
    • 1990
  • 기니피그 유문동 부위를 절제한 뒤 점막층을 박리하고 윤상근 주행방향으로 길이 10 mm, 너비 2 mm 되는 조직 절편을 만들어 수평형 실험용기에 넣어 핀으로 고정하였다. 유리미세전극을 세포내에 삽입하여 서파를 기록하면서 조직양편에 설치한 백금자극전극(직경 0.5 mm)에 강도 $10{\sim}50V$, 기간 $50{\sim}100\;{\mu}s$ 되는 자극파를 주어 신경-근 부위의 접합부 전압을 기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위저부에서는 흥분성 접합부 전압이, 유문동에서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이 기록되었고 유문동의 억제성 접합부 전압은 atropine($10^{-6}\;M)$과 guanethidine$(5{\times}10^{-6}\;M)$을 동시 처치했을 때 영향을 받지 않았다. 2) 세포외 $Ca^{2+}$ 농도를 높였을 때(7 mM)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증가하고 세포외 $Mg^{2+}$ 농도를 높였을 때(5 mM)와 verapamil($10^{-5}\;M$)을 주었을 때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3) 아데노신을 투여하였을 때와 ATP를 투여했을 때는 모두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가 감소하였다. 4) 5-HT$(10^{-6}\;M)$을 투여했을 때는 서파크기에는 변화없이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만 감소하였고 5-HT type 2 길항제인 ketanserin$(5{\times}10^{-6}\;M)$을 투여했을 때는 서파크기는 현저히 감소한 반면 억제성 접합부 전압크기는 변화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유문동에서 기록되는 억제성 접합부 전압은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신경에 의해 유발되며 $Ca^{2+}$은 비아드레날린 비콜린 동작성 신경에서 신경흥분전달물질의 유리를 촉진시키고 분비된 신경흥분전달물질로 인해 $Ca^{2+}$ 의존성 $K^{+}$ 통로가 활성화되어 억제성 접합부 전압의 크기를 증가시킨다고 사료된다.

  • PDF

정상 마우스와 rd/rd 마우스의 망막파형 비교 (Comparison of Retinal Waveform between Normal and rd/rd Mouse)

  • 예장희;서제훈;구용숙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19권3호
    • /
    • pp.157-163
    • /
    • 2008
  • 망막색소변성(retinitis pigmentosa: RP)과 연령관련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망막변성으로 인해 실명에 이르는 대표적인 질환이며 망막이식장치의 개발을 통해 치료될 수 있다고 간주되고 있다. 성공적인 망막이식장치 개발을 위하여 여러 가지 선결요소가 필요하지만 그 중 한 가지가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을 최적화하는 것이다. 변성망막의 전기적 특성은 정상 망막과 다르리라 예측되므로 우리는 장차 개발될 망막 이식장치에 인가할 전기자극 최적화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기 위해 정상 망막과 변성망막의 망막파형 차이에 관한 연구를 하였다. 망막을 분리한 후 망막절편을 신경절세포 층이 다채널전극의 표면을 향하게 하여 전극에 붙인다. In-vitro 상태에서 망막 신경절세포의 전기신호를 기록하기 위해 전극 직경: $30{\mu}m$, 전극간 거리: $200{\mu}m$, 전극 임피던스 1 kHz에서 50 $k{\Omega}$인 8행 8열의 다채널전극을 사용하였다. 생후 28일된 정상마우스(C57BL/6J 종)에서는 짧은 시간대(<2 ms)의 망막 스파이크만 기록되었다. rd/rd 마우스(C3H/HeJ 종)에서는 정상적인 스파이크뿐만 아니라 약 100 ms 의 시간대를 가지는 느린 파형이 같이 기록되었다. 우리는 rd/rd 마우스에서만 관찰되는 이 느린 파형의 기전을 알아보고자 여러 가지 시냅스억제제를 사용하였다. 이 느린 파형은 rd/rd 마우스에서 양극세포로부터 신경절세포로 들어오는 흥분성입력이 정상마우스보다 강화되었기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rd/rd 마우스에서 흥분성입력이 강화되는 여러 가능성 중에서 망막변성으로 인해 수평세포로부터 양극세포로 들어오는 억제성 입력이 소실됨으로 인해 결과적으로 양극세포로부터 신경절세포로 들어오는 흥분성입력이 강화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은 것으로 보인다.

  • PDF

경기만 부근 갯벌의 생지화학적 연구: 서문 (Biogeochemical Studies on Tidal Flats in the Kyunggi Bay: Introduction)

  • 조병철;최중기;이동섭;안순모;현정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0권1호
    • /
    • pp.1-7
    • /
    • 2005
  • 갯벌은 육상기원 유기물을 변환하거나 제거하는 정화능력을 갖고 있다고 여겨져 왔으며, 이러한 정화능이 갯벌을 보전해야 하는 매우 중요한 하나의 근거가 되어왔다. 그러나, 정화능의 정량화에 필수적인 갯벌에서의 유기물 생산과 분해에 관련된 저서 미세 생물에 대한 종합적인 생지화학적 연구는 그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국내에서 전무한 상태이었다. 본 연구의 주 목적은 갯벌에서 물질의 순환을 주도하는 다양한 미세 생물에 의한 생지화학적 과정과 속도를 이해하며, 갯벌 미세생물이 갯벌의 유기물 및 영양염을 제거하는 과정에서 기여하는 정도를 추정하고자 함에 있었다. 연구지역으로는 비교적 자연 상태를 잘 보존하고 있는 강화도 갯벌과 유기물 오염이 심하게 진행되고 있는 인천 북항 갯벌을 선정하여, 두 환경의 생지화학적 과정들의 특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진은 두 지역의 갯벌에서 박테리아의 유기물 분해에 관련된 주요 변수인 박테리아의 생산력 및 개체수, 효소 활동도, 탈질산화 속도 및 황산염 환원 속도, 그리고 유기물 생산과 관련된 일차생산력, 일차생산자의 생물량 및 군집구조를 측정하였다. 동시에 공극수 내 영양염의 수직 분포로부터 탈질산화 속도를 추정하고, 산소 미세전극을 이용한 일차생산 및 호흡율의 측정, 원생동물의 분포 및 섭식율 등 광범위한 조사를 3년에 걸쳐 실시하여, 각 과정의 주요 특징과 상호 작용들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들 연구의 일부 결과들을 이번 호에 모아서 싣는다(나와 이, 2005; 목 등, 2005; 안, 2005; 양 등, 2005; 유와 최, 2005; 황과 조, 2005).변수로 동거가족이 2명인 경우를 기준으로 동거가족이 없거나 한명인 경우, 생활수준이 낮을수록 증상 경험이 많았다(p<0.05). 여자의 8가지 부위 중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는 신체비만지수, 주관적 건강상태, 주농사 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신체비만지수가 높은 군에서,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쁠수록, 주농사가 과수원이나 벼농사인 경우에 근골격계 증상 경험률이 높았다(p<0.05). 여자의 어느 한군데라도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한 유무를 종속변수로 한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신체비만지수가 높을수록, 주관적 건강상태가 허약 할수록 증상 경험이 많았고, 주농사가 축산인 경우가 벼농사인 경우보다 증상 경험이 적었다(p<0.05). 남자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경험자의 1년 중 증상 발생시기는 8군데 모두에서 농번기가 가장 높았고, 주 치료방법은 투약, 병의원 물리치료, 한방치료 등이었으며, 미치료율은 목부위를 제외하고는 30%가 넘어 높았는데, 엉덩이가 60.0%로 가장 높았다. 여자에 있어서 근골격계 증상 발생시기 역시 농번기가 가장 높았으며, 주 치료방법은 병의원 물리치료, 투약, 한방치료 등 이었다. 이상의 결과 대다수의 농민들이 근골격계 증상을 경험하고 있었으므로 근골격계 증상 경험 실태와 관련요인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겠다.-functional team)를 운영함으로써 동시적 엔지니어링(CE) 및 제품 및 공정 디자인의 개발이 제품 개발의 속도를 가속화하고 디자인 품질을 높이며 시장 성공을 보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임과 채팅은 긍정적인

토끼심장의 전기적 활동에 대한 갑상선 호르몬의 영향 (Effect of Thyroid Hormone on the Electrical Activity of Rabbit Heart)

  • 홍성근;권종국;정순일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 /
    • 제20권1호
    • /
    • pp.17-29
    • /
    • 1986
  • 갑상선 호르몬의 표적기관(target organ) 중의 하나인 심장이 hyperthyroid상태에서 심박동수의 증가, 부정맥 그리고 세포 수들에서 sodium, potassium pump기능이 항진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증진된 Pump기능과 더불어 positive chronotropic effect는 심장의 향도잡이로 알려진 동방결절 과 심방근에 어떤 변화에 의하여 발현되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3{\sim}6$개월령의 토끼 (체중 약 1.5kg내외)에 3,3',5-l-triiodothyronine$(T_3)$을 투여하며 실험적으로 hyperthyroid상태를 유도한 다음 심장세포 내에 유리미세전극을 삽입하여 기록한 결과 다음과 같은 성적을 얻었다. 1) 심박동수는 투여 전(Day 1) $169.0{\pm}28.0\;beat/min(Day\;7)$에서 $264.2{\pm}18.9\;beat/min(Day\;7)$으로 156% 가량 증가되었고 체중은 투여전 체중의 $68.2{\pm}2.0%$로 현저한 감소를 보였다. 2) $T_3$투여군에서 활동전압기간은 $148.0{\pm}29.1\;msec$에서 $107.0{\pm}13.6\;msec$로 감소하여 심박동증가를 반영하였으나 그 외의 활동전압 Parameter에서 대조군과 유의한 차를 관찰할 수 없었다. 3) 세포막에 대한 Potassium ion투과성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10, 15, $20mM-K^+\;Tyrode$용액을 사용한 결과 SA node에서 $15mM\;K^+$에서 활동전압 발사가 대조군에 비해 현저하게 감소하였고, 4) Ta 투여군에서 심방근의 안정막전압 탈분극 정도는 15mM(P<0.05), $20mM-K^+Tyrode$용액(P<0.05)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성있게 낮았다. 5) Sodium, potassium pump기능은 대조군에 비해 동방결절$(13.4{\pm}1.1\;vs.\;19.5{\pm}7.1mV,\;p<0.1)$과 심방근$(15.1{\pm}5.5\;vs.\;25.8{\pm}10.0mV,\;p<0.025)$에서 모두 높은 값을 얻었다. 6) $T_3$에 의한 calcium ion의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Ca^{++}\;channel\;blocker$$MnCl_2$를 사용한 결과 $T_3$ 투여군의 동방결절은 정상대조군의 것보다 낮은 농도의 $MnCl_2$ 용액에서 흥분성의 감소를 보였다.

  • PDF

Effects of Ginsenosides and Their Metabolites on Voltage-dependent Ca2+ Channel Subtypes

  • Lee, Jun-Ho;Jeong, Sang Min;Kim, Jong-Hoon;Lee, Byung-Hwan;Yoon, In-Soo;Lee, Joon-Hee;Choi, Sun-Hye;Lee, Sang-Mok;Park, Yong-Sun;Lee, Jung-Ha;Kim, Sung Soo;Kim, Hyoung-Chun;Lee, Boo-Yong;Nah, Seung-Yeol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1호
    • /
    • pp.52-62
    • /
    • 2006
  • In previous reports we demonstrated that ginsenosides, active ingredients of Panax ginseng, affect some subsets of voltage-dependent $Ca^{2+}$ channels in neuronal cells expressed in Xenopus laevis oocytes. However, the major component(s) of ginseng that affect cloned $Ca^{2+}$ channel subtypes such as ${\alpha}_{1C}$(L)-, ${\alpha}_{1B}$(N)-, ${\alpha}_{1A}$(P/Q)-, ${\alpha}_{1E}$(R)- and ${\alpha}_{1G}$(T) have not been identified. Here, we used the two-microelectrode voltage clamp technique to characterize the effects of ginsenosides and ginsenoside metabolites on $Ba^{2+}$ currents ($I_{Ba}$) in Xenopus oocytes expressing five different $Ca^{2+}$ channel subtypes. Exposure to ginseng total saponins (GTS) induced voltage-dependent, dose-dependent and reversible inhibition of the five channel subtypes, with particularly strong inhibition of the ${\alpha}_{1G}$-type. Of the various ginsenosides, $Rb_1$, Rc, Re, Rf, $Rg_1$, $Rg_3$, and $Rh_2$, ginsenoside $Rg_3$ also inhibited all five channel subtypes and ginsenoside $Rh_2$ had most effect on the ${\alpha}_{1C}$- and ${\alpha}_{1E}$-type $Ca^{2+}$ channels. Compound K (CK), a protopanaxadiol ginsenoside metabolite, strongly inhibited only the ${\alpha}_{1G}$-type of $Ca^{2+}$ channel, whereas M4, a protopanaxatriol ginsenoside metabolite, had almost no effect on any of the channels. $Rg_3$, $Rh_2$, and CK shifted the steady-state activation curves but not the inactivation curves in the depolarizing direction in the ${\alpha}_{1B}$- and ${\alpha}_{1A}$-types. These results reveal that $Rg_3$, $Rh_2$ and CK are the major inhibitors of $Ca^{2+}$ channels in Panax ginseng, and that they show some $Ca^{2+}$ channel selectiv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