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nd quality changes

검색결과 355건 처리시간 0.026초

초고압 처리가 배추김치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the Quality of Chinese Cabbage Kimchi)

  • 김동원;박석준;박지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45-550
    • /
    • 2001
  • Effects of high hydrostatic pressure on pH, titratable acidity, color, hardness and microorganisms of Chinese Cabbage Kimchi were investigated. Kimchi was pressurized at $200{\sim}600$ MPa for 5 min.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lor and hardness between control and pressurized Kimchi (p>0.05). Total aerobes and lactic acid bacteria were effectively inactivated by high hydrostatic pressure above 400 MPa. Changes in pH, titratable acidity, color, hardness and microbial counts for 4 weeks storage of Kimchi were investigated Kimchi was pressurized at 400 MPa for 5 min and stored at $4^{\circ}C$. The pH of control decreased to 3.94 but pressurized Kimchi maintained its initial pH value throughout the storage. The color of control showed significantly low values compared with pressureized Kimchi (p<0.05), but hardness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p>0.05). Total aerobes and lactic acid bacteria in the control were reduced from the initial value of $10^8{\sim}10^9$ CFU/mL to $10^6$CFU/mL after 4 weeks storage. Whereas microbial counts in pressurized Kimchi was maintained about $10^3{\sim}10^4$ CFU/mL during storage.

  • PDF

Bacterial Diversity in Soil Surround Subterranean Termites-Damaged Wooden Buildings in Seonamsa Temple and Effect of the Termites on Bacterial Diversity in Humus Soil

  • Kim, Young Hee;Lim, Boa;Lee, Jeung Min;Hong, Jin Young;Kim, Soo Ji;Park, Ji Hee
    • 보존과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357-361
    • /
    • 2021
  • In order to determine the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due to termites, soil microorganisms surrounding the termites were investigated. First, bacterial communities from soil with termites collected at Seonamsa temple, Suncheon city, Korea were compared by next-generation sequencing (NGS, Illumina Miseq). The bacterial composition of soil from Daeungjeon without termites and the soil from Josadang, Palsangjeon, and Samjeon with termites were compared. Next, the bacterial composition of these soils was also compared with that of humus soil cultured with termites. A total high-quality sequences of 71,942 and 72,429 reads were identified in Seonamsa temple's soil and humus soil, respectively. The dominant phyla in the collected Seonamsa temple's soil were Proteobacteria (27%), Firmicutes (24%) and Actinobacteria (21%), whereas those in the humus soil were Bacteriodetes (56%) and Proteobacteria (37%). Using a two-dimensional plot to explain the principal coordinate analysis of operational taxonomic unit compositions of the soil samples, it was confirmed that the samples were divided into soil with and without termites, and it was especially confirmed that the Proteobacteria phylum was increased in humus soil with termites than in humus soil without termites.

DEFT/APC 측정에 의한 시판 분말수프의 살균처리여부 확인 및 감마선 처리에 따른 품질특성 평가 (Screening of Sterilized Ramen Soup by DEFT/APC Method and Its Quality Properties as Affected by Irradiation)

  • 안재준;김광훈;박성현;권중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5호
    • /
    • pp.515-521
    • /
    • 2009
  • 시판 라면분말수프(RS-1, RS-2)의 사전 위생화 처리여부를 알아보기 위하여 DEFT(direct epifluorescent filter technique)/APC (aerobic plate count) 측정을 실시한 결과, 사전 살균처리가 이루어진 제품임을 확인하였다. 시료의 초기 존재했던 균수인 log DEFT는 RS-1 6.46, RS-2 7.05를 보이면서 조사선량에 따라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총 생균수인 log APC는 RS-1 2.74와 RS-2 1.95를 보이면서 조사선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으며 이로써 log DEFT/APC 값은 점차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또한 사전 살균여부가 알려지지 않을 경우 방사선에 의해 위생화 처리될 수 있음을 감안, 5 및 10 kGy의 감마선 조사에 따른 미생물학적, 이화학적 품질을 실온($10{\pm}3^{\circ}C$)에서 6개월 저장 중 평가하였다. DEFT count는 조사선량에 무관하게 일정한 범위의 값을 보여주었으나 생균수(APC)는 조사선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본 시료에서는 대장균군과 효모 및 곰팡이는 검출되지 않았으며, 초기 호기성 세균은 5 kGy 이상에서 사멸되었고 실온 저장 6개월 동안 뚜렷한 생육이 없었다. 라면수프 RS-1은 조사선량에 따라 pH가 감소하였고(p<0.01) 저장 중에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조사선량의 증가로 라면수프의 VBN 함량은 감소하는 경향을, TBA가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VBN 함량과 기계적 색도는 10 kGy까지의 감마선 조사에는 비교적 안정적이었으나 저장 조건의 영향을 더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착균주 활성화를 위한 산소발생제 MgO2 투입에 의한 연안저질의 이화학적 성분 변화 관찰 (Enviro-Chemical Changes in Shoreline Sediment by MgO2 for Enhancement of Indigenous Microbial Activity)

  • 배환진;조대철;권성현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617-625
    • /
    • 2010
  • Rapid industrialization has brought Nam-Hae area serious environmental problems associated with released oil and other hydrocarbons. In this work, in order to enhance the quality of the shoreline sediment we made enviro-chemical analyses of its substances, TPHs and microbial growth after treating with oxygen releasing compound(ORC) such as $MgO_2$. Total organic compound(TOC) was reduced from 33.45% to 25.1~31.08% meanwhile COD decreased from 27.5~28.9mg/$g{\cdot}dry$ to 19.9~26.1mg/$g{\cdot}dry$ for input of 2~10% $MgO_2$ in 20days. For 10% $MgO_2$ input, TP and TN were reduced by 13.3% and 18.8%, respectively. Most of all TPH was decomposed by max. 42.4% in 21days, and the total viable count of microbes was found to be exponentially increased by 75.9%.

오리 가슴육의 소독제(NaCIO) 및 유기산(Lactic acid, Acetic acid) 처리 수준이 저장 기간 중 품질 및 미생물 변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ifferent Levels of NaCIO, Lactic Acid and Acetic Acid on Meat Quality and Microbiological Changes of Duck Breast During Storage)

  • 채현석;유용호;안종남;유영모;정석근;함준상;이종문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8권2호
    • /
    • pp.269-278
    • /
    • 2006
  • 본 실험은 오리 가슴육의 저장성 향상에 대안을 마련하고자 차염소산나트륨 20, 50ppm, lactic acid와 acetic acid를 각각 1, 2%를 분무 살포한 후 진공포장지로 포장하여 4℃에서 7일간 저장을 하면서, 소독제 및 유기산 처리에 따른 오리육의 육색, 저장특성 및 미생물 증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오리육의 차염소산나트륨 20~50ppm 및 유기산(lactic acid, acetic acid)을 1~2% 처리 후 1일이 경과했을 때 pH는 5.83~5.87로 처리 간에 큰 차이가 없었고, 저장기간에 따라서는 저장 3일까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다 점차 감소하였다. 지방산패도(TBARS)는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차염소산나트륨 처리구보다 유기산 처리구(lactic acid와 acetic acid)에서 감소하는 경향이 크게 나타났으며, 특히 acetic acid 2% 처리구에서 감소율이 컸다. 비 단백질태 질소화합물(VBN)은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였으나, 차염소산나트륨 및 유기산의 종류와 처리 수준에 따라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육색 변화는 lactic acid 2% 처리 구에서 적색도(a*) 및 황색도(b*)가 약간씩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소독제 및 유기산 처리에 따른 총 미생물 수는 저장기간이 경과할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유기산 처리구 중 acetic acid 처리구가 저장 기간 중 미생물 증가율이 가장 낮았으며, 특히 acetic acid 2% 처리 구에서 낮은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UV-C 조사가 수입 건어포류의 저장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UV-C Irradiation on the Quality of Imported Dried Fish during Storage)

  • 김주연;천호현;송경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6호
    • /
    • pp.922-926
    • /
    • 2008
  • UV-C 조사가 국내에 유통되고 있는 수입 건어포류의 저장 중 미생물학적 변화와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UV-C 조사량은 5, 10, $20\;kJ/m^2$으로 처리하여 대조구와 비교하였다. 조사시간은 5분 33초, 11분 6초, 22분 12초를 사용하였다. UV-C 조사에 의한 건어포류에 존재하는 오염된 미생물의 감소는 $20\;kJ/m^2$ 처리에서, 쥐포는 호기성 세균과 효모 및 곰팡이에서 각각 0.82, 1.23 log CFU/g, 문어포는 각각 1.20, 1.01 log CFU/g이었다. 또한 저장 중 대조구 대비 초기 감균 효과를 유지하였고, 조사선량이 증가함에 따라 미생물이 더 감소하였다. UV-C 조사된 시료에 대한 Hunter L, a, b 값을 측정한 결과 저장 중 시료의 색도에 있어서 조사선량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 UV-C 조사 처리가 수입 건어포류의 미생물 생육 억제 및 품질 유지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도시 강우유출수 처리 인공습지의 토양특성 및 오염물질 저감에 따른 미생물 영향 평가 (Microbial Influence on Soil Properties and Pollutant Reduction in a Horizontal Subsurface Flow Constructed Wetland Treating Urban Runoff)

  • ;;오유경;;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68-181
    • /
    • 2024
  • 인공습지는(CW)는 침투, 흡착, 저류, 식물과 미생물의 증발산 등과 같은 수문학적 및 생태학적 기작에 의하여 오염물질 제거, 탄소흡수 및 저장, 생물다양성 향상 등의 생태계서비스를 제공한다. 본 연구는 수평지하흐름 인공습지(HSSF CW)의 미생물 군집과 토양의 물리·화학적 특성 및 처리효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한 모니터링은 강우시 수질특성, 토양특성, 미생물 분석이 수행되었다. 따뜻한 계절(>15℃) 에서 TSS, COD, TN, TP 및 중금속(Fe, Zn, Cd) 제거효율이33~74% 범위로 나타났다. 그러나 추운 계절(≤15℃)에서 TOC 35%로 가장 높은 제거 효율이 나타났다. 인공습지 내 토양은 인근에서 채취한 토양의 토양유기탄소(SOC) 함량보다 3.3배 더 높은 함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입부와 유출부의 탄소(C), 질소(N) 및 인(P)의 화학양론비(C:N:P)는 각각 120:1.5:1 및 135.2:0.4:1로 나타났으며, 탄소에 비해 질소와 인의 비율이 매우 낮아 미생물 성장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미생물 분석에서는 생물다양성 지수를 통해 미생물 군집의 풍부도, 다양성, 균질성 및 균일성이 따뜻한 계절이 추운 계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인공습지의 강우유출수 오염물질 중 질소고정 미생물인 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Acidobacteria, Bacteroidetes가 우점종으로 미생물 생장을 촉진하는 것으로 평가되었는데 이는 특정 토양특성 및 유입수 특성이 미생물 풍부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음을 의미한다.

Metal oxide 센서를 바탕으로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를 이용한 저장 중 김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Dried Laver (Porphyra yezoensis Ueda) Using Electronic Nose Based on Metal Oxide Sensor or GC with SAW Sensor During Storage)

  • 조연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6호
    • /
    • pp.947-953
    • /
    • 2002
  • 시중에서 판매되는 김을 구입하여 습도가 32%, 43%, 75%, 온도는 $5^{\circ}C,\;15^{\circ}C,\;30^{\circ}C$에서 각각 김을 보관 한 후 저장 기간에 따른 김의 품질변화를 metal oxide 센서로 구성된 전자코와 SAW 센서를 바탕으로한 GC(z-Nos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PCA 분석결과, $5^{\circ}C$, 32%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나도 김의 품질변화가 거의 없었다. 이것은 온도와 습도가 모두 낮아 김의 품질변화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RH 43%, RH 75%에서 보관한 김의 경우는 저장기간이 지날수록 제 1 주성분 값이 양의 값$(+0.2{\sim}0.4})$에서 음의 값$(-0.4{\sim}\;-0.2)$으로 변화하는 경향으로 나타났다. RH 43% 보다 75%의 경우가 더 뚜렷한 감소를 보였으며 높은 상대습도 조건에서는 $15^{\circ}C$$30^{\circ}C$에서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z-Nose로 얻은 데이터를 패턴 분석한 결과 저장 기간이 지나면서 저장 온도와 습도에 따라 변질된 향시성분의 차이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미생물 수를 측정할 때와 마찬가지의 결과$(r^2=0.87)$를 보였으며 색도와는 크게 영향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보면 전자코를 이용하여 조건을 달리하여 보관한 김의 품질관리를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전라북도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온도와 수질에 따른 농업용수의 병원성대장균 O157:H7 밀도 변화 (Microbiological Quality of Agricultural Water in Jeollabuk-do and the Population Changes of Pathogenic Escherichia Coli O157:H7 in Agricultural Water Depending on Temperature and Water Quality)

  • 황인준;함현희;박대수;채효빈;김세리;김황용;김현주;김원일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254-261
    • /
    • 2019
  • 농업용수는 채소류의 식중독세균 오염의 주요 경로 중 하나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안전성 대한 기초 자료가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에서 2018년 4월, 7월, 10월에 31지점에서 수집한 지표수 시료와 2018년 4월 7월에 20지점에서 수집한 지하수 시료의 위생지표세균 밀도를 조사하였다. 지표수에서는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2.7±0.55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9±0.71 log CFU/100 mL, 대장균 1.4±0.58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7월에 가장 높은 밀도를 보였다. 지하수의 경우 평균적으로 대장균군이 1.9±0.58 log CFU/100 mL, 분원성대장균군 1.4±0.37 log CFU/100 mL, 대장균 1.0±0.33 log CFU/100 mL로 나타났고 조사시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총질소량(T-N), 질산성질소(NO3-N) 등 유기물 함량이 높은 용수에서 E. coli O157:H7의 생존이 연장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에서의 E. coli O157:H7 감소율은 25℃>35℃>5℃>15℃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전북 지역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와 수질과 온도가 E. coli O157:H7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이러한 결과는 농업용수의 미생물학적 오염도를 예측하고 미생물 제어 기술 개발의 기초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다.

Effects of controlled environmental changes on the mineralization of soil organic matter

  • Choi, In-Young;Nguyen, Hang Vo-Minh;Choi, Jung Hyun
    •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22권4호
    • /
    • pp.347-355
    • /
    • 2017
  • This study investigated how the combined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nitrogen (N) deposition influence the mineralization processes and carbon (C) dynamics of wetland soil. For this objective, we conducted a growth chamber experiment to examine the effects of combined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and N deposition on the anaerobic decomposition of organic carbon and the emission of greenhouse gases from wetland soil. A chamber with elevated $CO_2$ and temperature showed almost twice the reduction of total decomposition rate compared to the chamber with ambient atmospheric conditions. In addition, $CO_2$ fluxes decreased during the incubation under the conditions of ambient $CO_2$ and temperature. The decrease in anaerobic microbial metabolism resulted from the presence of vegetation, which influences the litter quality of soils. This can be supported by the increase in C/N ratio over the experimental duration. Principle component analysis results demonstrated the opposite locations of loadings for the cases at the initial time and after three months of incubation, which indicates a reduction in the decomposition rate and an increasing C/N ratio during the incubation. From the distribution between the decomposition rate and gas fluxes, we concluded that anaerobic decomposition rates do no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relationship with the fluxes of greenhouse gas emissions from the soi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