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gent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49초

Compatibility of Entomopathogenic fungus Lecanicillium attenuatum and Pesticides to control Cotton Aphid, Aphis gossypii

  • Kim, Jeong-Jun;Kim, Kyu-Chi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ntomology and Biomaterials
    • /
    • 제14권2호
    • /
    • pp.143-146
    • /
    • 2007
  • Concerns of entomopathogenic fungi as alternative pest control agents are increasing even though chemical pesticides have been used as the main control agents for pests and diseases in crop produc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test the influence of fungicides and insecticides on an isolate of Lecanicillium attenuatum that was reported to have the pathogenicity against cotton aphid, because fungicides and/or insecticides can apply with mycopesticides simultaneous, before and/or after. Fungicides fenbuconazole+thiram and propineb inhibited the spore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L. attenuatum CS625; dimethomorph and procymidone did not affect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 insecticide abamectin, deltamethrin, imidachropride, and spinosad had no detrimental effects on spore germination or mycelial growth. Therefore,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careful selection of pesticides and fungicides can be applied to the integrated pest and disease control with microbial pesticide.

Ambient Air Waste Sorting Facilities Could Be a Source of Antibiotic Resistant Bacteria

  • Calheiros, Ana;Santos, Joana;Ramos, Carla;Vasconcelos, Marta;Fernandes, Paulo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367-373
    • /
    • 2021
  • The antimicrobial resistance of Staphylococcus spp. and Gram negative strains present in air samples from waste sorting facilities was assessed. Phenotypic studies have revealed a high percentage of strains of Staphylococcus spp. resistant to methicillin. Genotypically and by RT-PCR, it was found that the mecA gene usually associated with methicillin resistance was present in 8% of the Staphylococcus strains isolated. About 30% of the Gram negative strains from the same samples also displayed resistance to meropenem and 79% of these were resistant to multiple antibiotics from different classes, namely cephalosporins and β-lactams. The results suggest that in professional activities with high levels of exposure to biological agents, the quantification and identification of the microbial flora in the work environment, with the determination of the presence of potential agents displaying multi-resistances is of relevance to the risk assessment. The personal protection of workers is particularly important relevance in these cases, since many of the strains that exhibit multi-resistance are potential opportunistic agents.

재배단계 농산물의 안전성 모의실험을 위한 개체기반 프로그램 개발 (New Tool to Simulate Microbial Contamination of on-Farm Produce: Agent-Based Modeling and Simulation)

  • 한상현;이기훈;양성규;김황용;김현주;류재기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8-13
    • /
    • 2017
  • 본 연구는 식중독 세균 등 유해미생물에 의한 농산물 오염을 예측하여 대응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하는데 필요한 모의실험 computing platform을 개발하고자 수행되었다. 농산물 오염은 그 빈도가 매우 낮고, 발생패턴도 극히 불규칙하여 계량적 요소가 많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수리모형(Mathematical Modeling)이나 확률통계모형(Probability Statistical Modeling)을 기반으로 한 예측모형은 개발이 어렵다. 이와는 달리 개체기반모형(Agent-based Model)은 목적지향적인 각 개체들이 내재된 특성에 따라 변화하는 환경에서 상황 의존적 또는 자율적 행동을 하였을 때 나타나는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의 변화를 예측하는 모형으로 각 개체들에 대한 간단한 행동규칙과 몇 개의 변수를 활용하여 직관적 분석 가능하기 때문에 농산물의 안전성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개체 (농작물, 오염원, 오염매개자)가 상호작용하는 메커니즘을 모의실험하는 경우에 유용하다. 본 연구에서는 Scala와 Java 프로그래밍 언어에 기반을 둔 개체기반모형 개발환경을 지원하는 전용 소프트웨어인 NetLogo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제작하였다. 개발된 모형은 가상의 엽채류 재배지역을 대상으로 가축 또는 야생동물이 출입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들 동물이 배설하는 분변에 있는 장관유래 식중독 세균에 의해 토양 오염 또는 농작물 오염이 발생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 오염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소멸되지만 건전한 동물이 오염된 농작물을 섭취하는 경우 다시 동물의 장내로 들어가게 되어 보균 동물이 될 수 있도록 하였고, 역시 이 보균 동물이 배설하는 분변에 식중독 세균이 있도록 설정하였다. 가상 엽채류 재배환경에서 생존하는 식중독 세균은 파리와 같은 위생해충에 의해 다른 곳의 토양이나 농작물에 옮겨질 수 있게 하였다. 작물체는 60일 동안 생장하고, 동물은 개체군의 밀도 증감이 없으며, 파리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개체군 밀도가 변동될 수 있도록 하였다. 동물 개체수, 파리 개체수, 그리고 초기 오염 작물 개체수를 달리하면서 작물체의 미생물 오염을 시뮬레이션한 결과, 다른 요인들 보다는 동물 개체수가 작물체 오염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Endophytic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a promising biocontrol agent with hyperosmolar, mycoparasitism, and antagonistic activities of induced volatile organic compounds on root-rot pathogenic fungi of Panax notoginseng

  • Chen, Jin-Lian;Sun, Shi-Zhong;Miao, Cui-Ping;Wu, Kai;Chen, You-Wei;Xu, Li-Hua;Guan, Hui-Lin;Zhao, Li-X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0권4호
    • /
    • pp.315-324
    • /
    • 2016
  • Background: Biocontrol agents are regarded as promising and environmental friendly approaches as agrochemicals for phytodiseases that cause serious environmental and health problems. Trichoderma species have been widely used in suppression of soil-borne pathogens. In this study, an endophytic fungus, Trichoderma gamsii YIM PH30019, from healthy Panax notoginseng root was investigated for its biocontrol potential. Methods: In vitro detached healthy roots, and pot and field experiment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athogenicity and biocontrol efficacy of T. gamsii YIM PH30019 to the host plant. The antagonistic mechanisms against test phytopathogens were analyzed using dual cultur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Tolerance to chemical fertilizers was also tested in a series of concentrations. Resul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T. gamsii YIM PH30019 was nonpathogenic to the host, presented appreciable biocontrol efficacy, and could tolerate chemical fertilizer concentrations of up to 20%. T. gamsii YIM PH30019 displayed antagonistic activities against the pathogenic fungi of P. notoginseng via production of VOCs. On the basis of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VOCs were identified as dimethyl disulfide, dibenzofuran, methanethiol, ketones, etc., which are effective ingredients for antagonistic activity. T. gamsii YIM PH30019 was able to improve the seedlings' emergence and protect P. notoginseng plants from soil-borne disease in the continuous cropping field tests.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endophytic fungus T. gamsii YIM PH30019 may have a good potential as a biological control agent against notoginseng phytodiseases and can provide a clue to further illuminate the interactions between Trichoderma and phytopathogens.

생물담체 활용 생물접종에 의한 원유로 오염된 해양토양의 정화 (Clean-up of the Crude Oil Contaminated Marine Sediments Through Biocarrier-Mediated Bioaugmentation)

  • ;배환진;권성현;김병혁;박득자;김희식;고성철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354-361
    • /
    • 2009
  • 본 연구의 목표는 생물담체(biocarrier)에 의한 생물접종기술(bioaugmentation)을 개발하여 원유로 오염된 해양저질의 정화에 활용하고자 하는 것이다. 몇 군데의 원유로 오염된 해안으로부터 수 가지의 분해미생물군집을 농화배양하여 평가한 결과 기능적으로 상이한 2가지의 미생물군집을 분리하였다. 이들 미생물군집을 혼합 배양한 경우 Alcanivorax sp.가 우점종을 이루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군집과 대나무활성탄 등을 이용하여 미생물제제(MA-2)를 제조하여 사질의 원유오염 해안토양에 처리할 경우 5주 후 산소발생제의 존재하에 90% 이상의 TPH 분해력을 나타내었다. 또한 점질의 토양도 미생물제제(MA-1)를 처리할 경우 5주 후 71% 정도의 분해율을 나타냈다. 이는 분리된 토착미생물군집을 활용하여 오염토양의 처리에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계면활성제의 고농도의 처리는 분해미생물의 작용을 억제하므로 적절한 농도의 확인이 필요하며 점토질의 토양의 정화를 위해서는 적절한 통기를 시키는 방법(산소발생제 투여, 기계적 aeration 등)의 활용이 요구된다.

글리신을 활용한 저염 오징어 및 명란 젓갈의 미생물 안전성 확보 (Effects of glycine on microbial safety of low-salted squid and myungran jeotgal)

  • 최준봉;천희순;정명수;조원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114-119
    • /
    • 2019
  • 기존 대비 염함량을 50% 내외 감량한 염도 4-6%의 저염 오징어 및 명란 젓갈의 미생물 안전성을 확보하기 위해 상업적 항균제 7종의 적용 실험을 진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저염 젓갈 내 자생하고 있는 균총을 살펴본 결과 간균인 Lactobacillus sp.와 구균인 Streptococcus sp., Pediococcus sp., Luconostoc sp. 등의 젖산균이 80%를 차지하는 우점균으로 나타났으며, 오징어 젓갈에는 yeast가 명란젓에는 fungi가 추가로 관찰되었다. 젖산균 계통의 미생물의 살균 및 생육억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5종의 상업적 항균제를 저염 오징어 젓갈 중량 대비 0.5%(w/w)를 조미배합 과정에서 첨가, 혼합하여 총균수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글리신이 94.20%, 폴리라이신이 92.78%의 살균률을 보여 $10^1CFU/g$ 내외의 감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저염 명란 젓갈에서도 0.5% (w/w) 글리신이 90.87%의 살균률을 나타내었다. 저염 젓갈의 균 제어에 효과적인 글리신은 조미료로도 많이 사용되는 아미노산 계통의 항균성분으로 그람 음성균 및 양성균 모두에 대해 살균효과를 가지고 있으며, 특히 유기산과 병용 사용 시 감균 및 생육 억제에 있어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염 오징어 젓갈에 0.5% (w/w)의 글리신을 혼합 후 저장기간별로 총균수의 변화를 고찰한 결과 $10^{\circ}C$의 냉장조건에서 21일 경과 후에도 90%의 살균률이 유지되어 $10^1CFU/g$의 감균 효과가 지속되었으며, 저염 명란 젓갈의 경우에도 저장시 97%의 살균효과가 지속되어 무처리구 대비 $10^2CFU/g$ 내외 감소하였다. 따라서 글리신은 다양한 수산물을 원료로 사용한 저염 젓갈의 균 제어에 활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상업적 항균제로 판명되었다.

교차오염방지를 위한 공기정화제품에서 미생물 오염도 분석 (Monitoring of Microbial Contamination in Air Purifier for Preventing Cross-contamination)

  • 염승목;김영목;이명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01-209
    • /
    • 2016
  • 실내 공기질 관리의 중요성이 대두되면서 쾌적한 실내 환경에 도움을 주는 공기청정 기능과 습도 조절 기능을 동시에 갖춘 제습기와 공기청정기가 각광받고 있다. 하지만 오랜 기간 동안 공기정화제품을 사용하게 될 시에는 필터가 오염되어 본연의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나 보고는 드문 편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가정과 사무실 등에서 사용한 공기정화제품을 수거하여 주요 부위별 미생물 오염도 및 주요 오염 미생물들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4 종류의 공기정화제품에서 오염도가 높은 부위는 필터부위, 물이 직접 닿는 부위 및 공기가 외부로부터 직접적으로 들어오는 입구부위 등에서 미생물학적 오염도가 가장 높았다. 하지만 공기정화제품은 사용하는 환경과 조건에 따라서 미생물학적 오염도 및 오염 미생물의 성상은 각각 다르게 나타났다. 하지만 이들 공기정화제품들에는 공통적으로 Staphylococcus sp., Micrococcus sp. 그리고 Bacillus sp.의 세균과 Cladosporium sp. 및 Penicillium sp.의 진균이 공통적으로 오염되어 있는 우점종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Biocontrol Characteristics of Bacillus Species in Suppressing Stem Rot of Grafted Cactus Caused by Bipolaris cactivora

  • Bae, Sooil;Kim, Sang Gyu;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9권1호
    • /
    • pp.42-51
    • /
    • 2013
  • One of the most important limiting factors for the production of the grafted cactus in Korea i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yield loss derived from stem rots especially caused by Bipolaris cactivora. This study is aimed to develop microbial control agents useful for the control of the bipolaris stem rot. Two bacteria (GA1-23 and GA4-4) selected out of 943 microbial isolates because of their strong antibiotic activity against B. cactivora were identified as Bacillus subtilis and B. amyloliquefaciens, respectively, by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Biolog program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Both bacterial isolates significantly inhibited the conidial germination and mycelial growth of the pathogen with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of which the inhibitory efficacies varied depending on the cultural conditions such as temperature, nutritional compositions and concentrations. Light and electron microscopy of the pathogen treated with the bacterial isolates showed the inhibition of spore germination with initial malformation of germ tubes and later formation of circle-like vesicles with no hyphal growth and hyphal disruption sometimes accompanied by hyphal swellings and shrinkages adjacent to the bacteria, suggesting their antibiotic mode of antagonistic activity. Control efficacy of B. subtilis GA1-23 and B. amyloliquefaciens GA4-4 on the cactus stem rot were not as high as but comparable to that of fungicide difenoconazole when they were treated simultaneously at the time of pathogen inoculation. All of these results suggest the two bacterial isolates have a good potential to be developed as biocontrol agents for the bipolaris stem rot of the grafted cact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