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gents

검색결과 309건 처리시간 0.038초

Bioviolence Agents에 따른 건물내 미생물오염원의 효율적인 제거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ive Removal Method of Microbial Contaminants in Building According to Bioviolence Agents)

  • 이현우;홍진관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22권12호
    • /
    • pp.881-890
    • /
    • 2010
  • As Influenza A virus(H1N1) has been spreading more rapidly around globe, the study on the airborne disease which is transimitted through the respiratory system is on the rise. In this study, the multizone simulation of the public building against bioviolence is performed in the case of unexpected spread of microbial contaminants, such as bioviolence agent, Influenza A, Smallpox, B. anthrax and transport and control characteristics of above three kinds of bioviolence agents are evaluted. Results suggest that Influenza A and Smallpox which has small mean diameter can be more removable than B. anthrax by using high UVGI grade condition and B. anthrax which has large mean diameter can be more removable than Influenza A and Smallpox by using high filter grade condition. Results also suggest that installing a combined air treatment system is more effective to reduce the damage and engineers will use immune building technology for removing the bioviolence agents effectively.

저장기간 및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농약 및 친환경 유기농자재 유효미생물의 밀도변동 (Population Dynamics of Effective Microorganisms in Microbial Pesticides and Environmental-friendly Organic Materials According to Storing Period and Temperature)

  • 김용기;홍성준;지형진;심창기;박종호;한은정;안난희;이승돈;유재홍
    • 농약과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5-60
    • /
    • 2011
  • 친환경농자재의 품질관리와 관련하여 친환경 실천 농가를 대상으로 친환경농자재 선택사유, 사용방법, 선택기준, 선호 제형을 조사한 결과, 선택사유는 토양개량>병해충방제>생육촉진 순으로 나타났고, 사용방법은 구입즉시 사용하는 농가는 22.7%인 반면 보관하면서 사용하는 농가가 77.3%이었다. 시판 유통 중인 친환경제제 17종을 구입하여 구입 즉시 제제 중 미생물 농도를 조사한 결과, 친환경유가농자재(미생물제제, 토양미생물제, 친환경유기농자재) 2종은 보증 미생물 밀도가 기준치 이하로 품절 관리측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미생물농약으로 등록되어 사용되는 제품 중 미생물 밀도는 비교적 안정적이었다. 시판 유통 중인 친환경제제 17종을 6개월간 온도별로 저장하면서 제제 중 보증 미생물 농도를 조사한 결과, $4^{\circ}C$에 저장할 때에는 미생물농약은 1종의 액상제형 미생물제만이 기준치 이하였으며, 친환경유기농자내 8종 중 4종이 기준치 이하였다. 온도의 변화가 큰 실온에 저장할 때에는 전환경농자재는 7종 중 5종이, 미생물농약은 9종 중 4종이 기준치 이하로 나타나 $4^{\circ}C$$25^{\circ}C$의 정온 조건에 보관할 때보다는 온도가 변화되는 조건에 저장할 때 영향을 크게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미생물제제의 저장온도에 따른 미생물의 변화는 저온($5^{\circ}C$) > $25^{\circ}C$(정온) > 변온(실온) 순으로 안정적이었으며, 제형에 따른 저장성은 입제 > 액상수화제 > 액상제 순으로 우수하였다.

친환경농업 해충방제용 제제의 현황과 전망, 그리고 산업화의 중요성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Pest Control Agents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and Importance of their Commercialization)

  • 김인선;김익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301-309
    • /
    • 2009
  • The use of bioactive material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and plants has played a role in pest management in environmentally-friendly agriculture (EFA) system. In Korea, a number of agricultural agents for the control of insect pests have been registered officially as biopesticides and marketed widely. However, most of the biopesticides has a limitation in the resource availability of bioactive materials, which has been one of main problems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agents. Plant materials and microbial metabolites are the best sources as starting components to commercialize natural-occurring agricultural agents for pest management. The lack of modernized system for the standardization and quality control of the starting materials, however, has also received as a main problem related to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agents. Considered that EFA business has kept growing bigger and bigger with global economic status,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agents is necessary to meet the required number of agricultural agents officially available in EFA. This study describes the status and future prospects of pest control agents in EFA. A number of main issues hindered in the commercialization of agricultural agents are discussed in order to present a promising approach to successful commercialization.

친환경 농자재와 곤충병원성 곰팡이 Isaria javanica의 처리 간격이 담배가루이(Bemisia tabaci) 방제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e-treated Eco-friendly Agricultural Materials on Control Efficacy of Isaria javanica Isolate against Sweet Potato Whitefly (Bemisia tabaci))

  • 이병주;한지희;황정화;김정준;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631-642
    • /
    • 2017
  • 작물의 재배 과정 중에 발생하는 해충을 효과적으로 방제하기 위하여 친환경 유기농자재, 미생물 살충제, 화학 살충제와 같은 다양한 방제제가 사용되고 있다. 이들은 다양한 해충과 병을 방제하기 위해 동일한 포장에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된다. 이 방제제들은 서로 영향을 미쳐 방제 효과도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미생물 살충제와 동시에 또는 동일 포장에 처리될 수 있는 다른 농자재의 혼용가능 여부를 조사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시설하우스에서 가루이류 방제를 위해 등록된 친환경 유기농자재의 전처리가 담배가루이 방제를 위해 개발된 Isaria javanica 균주의 포자 발아, 균사 성장 그리고 방제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담배가루이 방제용으로 국내에서 개발된 I. javanica 균주는 4종(A, 파라핀오일+계피오일; B, 대두유; C, 님추출물+참깨오일; D, 채종유)의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살충제 중 A 살충제에 의해 포자 발아($8.9{\pm}1.3%{\sim}24.5{\pm}0.9%$) 및 균사 성장($0.81{\pm}0.01cm{\sim}0cm$)이 감소되었다. 담배가루이 방제에서 친환경 유기농자재와 I. javanica 사이의 처리 간격이 미치는 효과 조사를 위해,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을 I. javanica 균주 처리 0, 1, 4, 7일 전 처리하고 방제 효과를 조사하였다. 친환경 유기농자재 전처리는 4종 모두 I. javanica의 담배가루이 방제효과를 감소시켰다. 따라서 국내에 등록된 가루이류 방제용 친환경 유기농자재 4종과 개발된 곰팡이 살충제 I. javanica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이용할 경우, 상호영향을 고려하여 7일 이상의 간격을 두고 살포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담배가루이를 방제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Effects of Raw Materials and Bulking Agents on the Thermophilic Composting Process

  • Tang, Jing-Chun;Zhou, Qixing;Katayama, Arata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5호
    • /
    • pp.925-934
    • /
    • 2010
  • Three typical biological solid wastes, namely, animal manure, garbage, and sewage sludge, were compared with regard to the composting process and the changes in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The effects of different bulking agents such as rice straw, vermiculite, sawdust, and waste paper were compared in manure compost. The differences in the microbial community were characterized by the quinone profile method. The highest mass reduction was found in garbage composting (56.8%), compared with manure and sludge (25% and 20.2%, respectively). A quinone content of $305.2\;{\mu}mol/kg$ was observed in the late stage of garbage composting, although the diversity index of the quinone profile was 9.7, lower than that in manure composting. The predominant quinone species was found to be MK-7, which corresponds to Gram-positive bacteria with a low G+C content, such as Bacillus. The predominance of MK-7 was especially found in the garbage and sludge composting process, and the increase in quinones with partially saturated long side-chains was shown in the late composting process of manure, which corresponded to the proliferation of Actinobacteria. The effects of different bulking agents on the composting process was much smaller than the effects of different raw materials. High organic matter content in the raw materials resulted in a higher microbial biomass and activity, which was connected to the high mass reduction rate.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Meloidogyne hapla)의 생물적 방제 (Biological Control of the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la in the Fields of Codonopsis lanceolata)

  • 정도철;한상찬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27-34
    • /
    • 2004
  • 더덕(Codonopsis lanceolata) 재배지에서 당근뿌리혹선충의 환경친화적 방제법을 구명코자 방제실험을 수행한 결과 당근뿌리혹선충 방제 실험에 사용된 방제제들(Bacillus thuringiensis, Paecilomyces lilacinus, fosthiazate, 한약제 추출물) 중 더덕의 발아를 향상시키는 것을 Bt와 한약제 추출물이었고, 억제시키는 것은 fosthiazated였다. Pot에서 미생물제에 의한 당근뿌리혹선충 밀도억제 효과는 Bt와 Paecilomyces lilacinus 모두 우수하였으나 fosthiazate 보다는 떨어지는 경향이었다. 또한 한약제 추출물도 방제효과가 우수하였다. 포장실험에서도 Paecilomyces lilacinus와 fosthiazate 처리 시 수확량이 가장 많았으며 수확된 더덕의 품질도 가장 우수하였다. 한약제추출물도 무처리에 비하여 더덕의 수량 증대에 효과가 있었고, 뿌리혹선충 감염지에서 키운 더덕을 이식한 것이 비감염지에서 키워 이식한 더덕에 비하여 수량 증가율이 저조하였다.

오존을 이용한 돈사 내의 탈취 및 살균

  • 고명석;윤영미;김현종;정봉우;이현철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0년도 춘계학술발표대회
    • /
    • pp.438-441
    • /
    • 2000
  • Ozone has the advantages for the strong oxidant agents. Ozone is widely used as a disinfectant and deodorant in water treatment and biosafety cabinets. We attempted deodorization and disinfection in the piggery using ozone treatment. It was found that ozone affects deodorization of ammonia and decrease of microbial organism in the air. Concentration of ammonia decreased 50 percents and microbial organisms in the air were decreased below 10 percents. It will be useful for the application of the ozone to environmental treatment in the piggery.

  • PDF

미생물제 처리에 의한 토마토의 잿빛곰팡이병과 흰가루병의 방제효과 (Effect of Microbial Agent on Control of Tomato Gray mold and Powdery mildew)

  • 김택수;고민정;이세원;한지희;박경석;박진우
    • 농약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364-368
    • /
    • 2012
  • 미생물제제의 토마토의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2010~2011년에 걸쳐 공주의 친환경 토마토 재배농가에서 현장실증시험을 수행하였다. 친환경 미생물제제로 시판되는 EXTN-1 액상수화제 등 2종의 미생물제제와 농과원에서 개발 중인 2종의 미생물을 토마토 정식시 점적관수 및 뿌리 관주처리와 착화 초기 4회 경엽처리한 후 생육과 병 발생 정도를 조사하였다. 2010년에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해 정식 3주 후 1주일 간격으로 EXTN-1 액상 수화제와 씰러스 액상수화제를 4회 처리한 경우 방제가가 59.6%, 50.5%로 가장 높았으며, 정식 4주 후 1주일 간격으로 EXTN-1 액상수화제를 3회 처리한 경우의 방제가는 55.4%였지만 모든 처리구에서 흰가루병에 대한 효과는 저조하였다. 2011년에는 잿빛곰팡이병에 대해 EXTN-1과 Bacillus subtilis strain B17을 정식시 점적관수와 2주 간격 관주처리 2회 및 착화 초부터 경엽처리 4회를 한 결과 방제가가 57.0%와 55.1%로 가장 높았으며, 흰가루병에 대해서는 EXTN-1과 Bacillus subtilis strain B4 및 B17을 잿빛곰팡이병의 경우와 동일하게 처리한 경우 방제가가 50.5, 51.3, 52.5%로 가장 높았다.

항균 식품포장: 식품 포장에서의 항균물질의 응용 (The Antimicrobial Food Packaging: Application of Antimicrobial Agents in Food Packaging)

  • 차동수;권동건;박현진
    • 한국포장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101-107
    • /
    • 2005
  • The term 'antimicrobial' packaging encompasses any packaging technique(s) used to control microbial growth in the food product. These include packaging materials and edible films and coatings that contain antimicrobial agents, and also techniques that modify the atmosphere within the package. In recent years, antimicrobial packaging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from the food industry because of the increase in consumer demand for minimally processed, preservative-free products. Reflecting this demand, the preservative agents must be applied to packaging in such a way that only low levels of preservatives come into contact with the food. The film or coating technique is considered to be more effective, although more complicated to apply. New antimicrobial packaging materials are being developed continually. Many of them exploit natural agents, to control common food-borne microorganisms. Current trends suggest that in due course, packaging will generally incorporate antimicrobial agents and the sealing systems will continue to improve. The focus of packaging in the past has been on the appearance, size and integrity of the package. A greater emphasis on safety features associated with the addition of antimicrobial agents is perhaps the next area for development in packaging technology.

  • PDF

떡볶이떡 품질 개선에 자몽종자 추출물과 산도 조절제의 효과 (Effect of Grapefruit Seed Extracts and Acid Regulation Agents on the Qualities of Topokkidduk)

  • 강호진;박종대;이현유;금준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948-956
    • /
    • 2013
  • 국내 쌀가공산업의 활성화로 인해 떡류 시장은 활발해지고 있으나 떡의 노화현상으로 인한 유통상의 제한점으로 시장개척에 어려움이 따르고 있다. 따라서 떡류 제품 중 대중에게 인지도가 가장 높은 가래떡의 일종인 떡볶이떡에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떡볶이떡의 품질개선을 확인해보고자 하여 이들의 품질평가를 수분, 색도, pH, 기계적 조직감, 미생물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통해 살펴 보았다. 떡볶이떡의 수분함량은 저장기간 동안 자몽씨 추출물 첨가군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p<0.05), 떡볶이 떡의 색도측정 결과 산도조절제 첨가떡의 L, a, b 값이 자몽씨 추출처리군과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p<0.05). 떡볶이떡의 기계적 강도는 저장 온도보다 첨가제에 더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를 첨가한 떡볶이의 경도가 무첨가군인 대조군보다 낮게 나타났다.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는 떡볶이떡의 미생물 생장을 효과적으로 지연시켜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전반적인 기호도는 첨가제를 넣지 않은 대조군에서 가장 높은 점수를 획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의 첨가가 저장중 미생물 생장을 지연시키며 저장 15일까지 품질을 유지시켜 주어 관능적 평가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나 첨가제로써 자몽씨 추출물과 산도조절제가 떡볶이떡의 품질특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