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bial agents

검색결과 310건 처리시간 0.042초

Natural Compounds as Inhibitors of Plasmodium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An In silico Study

  • Narayanaswamy, Radhakrishnan;Wai, Lam Kok;Ismail, Intan Safinar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0권1호
    • /
    • pp.1-6
    • /
    • 2017
  • Demand for a new anti-malarial drug has been dramatically increasing in the recent years. Plasmodium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plays a vital role in fatty acid elongation process, which now emerged as a new important target for the development of anti-microbial and anti-parasitic molecules. In the present study, 19 compounds namely alginic acid, atropine, chlorogenic acid, chrotacumine A & B, coenzyme $Q_1$, 4-coumaric acid, curcumin, ellagic acid, embelin, 5-O-methyl embelin, eugenyl glucoside, glabridin, hyoscyamine, nordihydroguaiaretic acid, rohitukine, scopolamine, tlatlancuayin and ursolic acid were evaluated on their docking behaviour on P.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using Auto dock 4.2. The docking studies and binding free energy calculations exhibited that glabridin gave the highest binding energy (-8.07 kcal/mol) and 4-coumaric acid in contrast showed the least binding energy (-4.83 kcal/mol). All ligands except alginic acid, ellagic acid, hyoscyamine and glabridin interacted with Gln409 amino acid residue. Interestingly four ligands namely coenzyme $Q_1$, 4-coumaric acid, embelin and 5-O-methyl embelin interacted with Gln409 amino acid residue present in both chains (A & B) of PfENR protein. Thus, the results of this present study exhibited the potential of these 19 ligands as P. falciparum enoyl-acyl carrier protein reductase (PfENR) inhibitory agents and also as anti-malarial agents.

Investigations on Bacteria as a Potential Biological Control Agent of Summer Chafer, Amphimallon solstitiale L. (Coleoptera: Scarabaeidae)

  • Sezen Kazlm;Demir Ismail;Katl Hatice;Demirbag Zihni
    • Journal of Microbiology
    • /
    • 제43권5호
    • /
    • pp.463-468
    • /
    • 2005
  • Studying the bacteria of hazardous insects allows the opportunity to find potentially better biological control agents. Therefore, in this study, bacteria from summer chafer (Amphimallon solstitiale L., Coleoptera: Scarabaeidae) we isolated and identified the insecticidal effects of bacteria isolated from A. solstitiale and Melolontha melolontha L. (common cockchafer, Coleoptera: Scarabaeidae) and the mixtures of these bacterial isolates were investigated on A. solstitiale larvae. Crystals from Bacillus sp. isolated from M. melolontha were also purified, and tested against the second and third-stage larvae of A. solstitiale. The bacterial isolates of A. solstitiale were identified as Pseudomonas sp., Pseudomonas sp., Bacillus cereus and Micrococcus luteus, based on their morphology, spore formation, nutritional features, and physiological and biochemical characteristics. The insecticidal effects of the bacterial isolates determined on the larvae of A. solstitiale were $90\%$ with B. cereus isolated from A. solstitiale, and $75\%$ with B. cereus, B. sphaericus and B. thuringiensis isolated from M. melolontha within ten days. The highest insecticidal effects of the mixed infections on the larvae of A. solstitiale were $100\%$ both with B. cereus+B. sphaericus and with B. cereus+B. thuringiensis. In the crystal protein bioassays, the highest insecticidal effect was $65\%$ with crystals of B. thuringiensis and B. sphaericus isolated from M. melolontha within seven days. Finally, our results showed that the mixed infections could be utilized as microbial control agents, as they have a $100\%$ insecticidal effect on the larvae of A. solstitiale.

전북대학교병원 입원환자에서의 항생제 사용 실태 (Use of Antimicrobial Agents for the Treatment of Inpatients in Chonbu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 송재호;김정수
    • Pediatric Infection and Vaccine
    • /
    • 제7권2호
    • /
    • pp.225-232
    • /
    • 2000
  • 목 적 : 올바른 항생제의 사용을 위해서는 우선 항생제 사용 실태의 파악과 함께 검사실의 확충, 의료진의 협조 등 다양한 노력과 보완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적절한 항생제 사용의 기반을 마련하고자 현재 시행되고 있는 항생제 사용 실태를 조사하였다. 방 법 : 전북대학교병원에 입원한 환자 총 1,83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통하여 항생제의 사용 여부, 종류, 사용 기간, 용량, 항생제의 투약 시작 시기 및 투여 목적을 조사하였다. 결 과 : 전체 조사 대상 환자 1,833명 중 입원 기간 중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는 1,231명으로 67.2%였으며, 계별로 살펴보면 내과계는 전체 1,014명 중 497명(49.0%)이 항생제를 사용하였고, 외과계는 819명 중 734명(89.6%)에서 항생제를 사용하였다. 전체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 1,231명 중 706명(57.4%)에서 예방 목적으로 사용하였고, 525명(42.6%)에서 치료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항생제를 사용한 환자의 경우 사용된 항생제의 갯수를 살펴보면 총 1,231명 중 1가지 항생제를 사용한 경우는 125명(10.2%)이었으며, 2가지를 사용한 경우는 311명(25.3%), 3가지를 사용한 경우는 562명(45.6%), 4가지 이상을 사용한 경우는 233명(18.9%)으로, 70% 이상의 환자에서 3가지 이상의 항생제가 사용하였다. 사용 항생제의 종류는 ${\beta}$-lactam, aminoglycoside, quinolone, macrolide, 항진균제, metronidazole, clindamycin,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glycopeptide, 그리고 fosfomycin 등으로 아주 다양하였다. 전체적인 그룹별 사용률을 보면 ${\beta}$-lactam은 57.0%, aminoglycoside는 34.5%, quinolone은 3.6% 그리고 기타 그룹은 4.9%로, ${\beta}$-lactam과 aminoglycoside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결 론 : 대부분의 환자에서 2가지 이상의 항생제의 병합요법이 보편화되어 있다는 점은 진지하게 검토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아울러 임상적으로 전신 세균 감염이 확실한 경우에도 원인 병원체를 찾아내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이 부족한 경우도 상당수 있어 이에 대해서도 검사실과 함께 적극적인 개선의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수술 환자의 예방적 화학 요법에 대해서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ée)]의 효과적 방제를 위한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과 미생물제제의 종합생물방제 효과 (Efficacy of an Integrated Biological Control of an Egg Parasitoid, 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 and Microbial Insecticide Against the Oriental Tobacco Budworm, Helicoverpa assulta (Guenée) Infesting Hot Pepper)

  • 김근섭;허혜정;박정아;유용석;함은혜;강성영;권기면;이건형;김용균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435-445
    • /
    • 2008
  • 고추를 가해하는 담배나방(Helicoverpa assulta ($Guen\acute{e}e$))의 최적 방제 적기는 과실 내부로 침투하기 이전 시기인 알과 어린 유충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는 담배나방의 이러한 감수성 발육시기를 대상으로 하는 효과적 생물적 방제 기술을 개발하는 데 목표를 두었다. 쌀좀알벌(Trichogramma evanescens Westwood)은 알기생봉으로 담배나방 알도 기생시키는 것이 본 연구를 통해 관찰되었다. 그람양성균인 토양 곤충병원세균(Bacillus thuringiensis subsp. kurstaki)과 그람음성균인 곤충병원세균(Xenorhabdus nematophila ANU101)은 어린 담배나방 유충을 대상으로 상호 협력적 병원력을 발휘하였다. 고추 포장의 담배나방 성충 발생은 페로몬트랩을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혼합 미생물제제는 접촉과 섭식 독성 분석 모두에서 쌀좀알벌의 유충 발육과 성충 생존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담배나방 성충 발생이 성페로몬 트랩으로 확인된 시기에 고추포장에 쌀좀알벌과 미생물제제의 혼합 처리가 실시되었다. 혼합 생물방제 처리는 화학농약과 비슷한 수준으로 과실의 피해를 현저히 감소시킨 반면, 단독 생물방제 처리는 효과가 현저히 낮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쌀좀알벌의 형태적 및 유전적 특징을 분석했다.

항균소재를 함유한 포장재로 포장한 밀감과 배의 저장중 품질 특성 변화 (Quality Characteristics of Unshiu Orange and Pear Packaged with Paper Incorporated with Antimicrobial Agents)

  • 박우포;정준호;조성환;김철환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3권10호
    • /
    • pp.1715-1719
    • /
    • 2004
  • 항균성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자몽종자추출물에 젖산과 구연산을 각각 5%씩 첨가한 식물성 천연항균제 제재와 제올라이트를 첨가하여 항균포장지를 만든 다음 감귤과 배의 저장을 위한 포장재로로 사용하였다. 저장 기간중 품질 변화의 지표로 중량감소율, pH 산도, 가용성고형 물,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수 등을 측정하였다. 감귤은 저장 2주가지 대조구와 항균제 6% 첨가 포장지 시험구의 중량 감소가 대체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으나 그 이후에는 항균제 9$^{\circ}C$ 첨가 포장지 시험구의 중량 감소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직후 감귤의 pH는 3.77이 었으며, 저장 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체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총산은 pH의 증가와는 반대로 대체적으로 감소하였다. 감귤의 저장전 총균수는 1.07 H $10^{5}$ CFW/g이었으며, 효모 및 곰팡이 는 4.9 H $10^4$ CFU/g이었다. 즉 감귤의 표피에 있는 미생물의 대부분은 효모와 곰팡이였으며, 저장 2주까지는 항균제 5% 첨가 포장지에서는 대조구와 비슷하거나 다소 높은 미생물수를 나타내었으나 다른 처리구는 대조구보다 낮아서 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포장지에 항균제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감귤의 부패율은 낮았으며, 저장 4주에 항균제 12% 첨가 포장지로 포장한 시험구는 18.0%인데 비하여, 대조구는 34.7%로 나타났다. 배는 항균제 9% 및 12% 첨가 포장지로 포장한 시험구의 총균수, 효모 및 곰팡이수가 저장 2주까지는 다른 시험구보다 낮았으며, 12% 첨가 포장지의 효과가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저장 2주 이후에는 항균제 9%, 12% 첨가 포장지 모두 미생물수가 급격하게 증가한 것은 항균포장지에 의한 배의 미생물 생육 억제 효과가 제한적일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라고 판단된다. 따라서 다른 품질특성과 미생물수의 변화를 동시에 고찰하면 항균포장지에 의한 배의 저장은 2∼3주 이내로 제한적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다.

지속농업을 위한 생물비료로서의 유용세균관련 식물검정 연구 개관 (Research Trends on Plant Associated Beneficial Bacteria as Biofertilizers for Sustainable Agriculture: An Overview)

  • 사동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Spc호
    • /
    • pp.20-28
    • /
    • 2009
  • 생물비료는 아직도 한국에서는 생소한 용어다. 한국에서 생물비료라 함은 식물추출액, 퇴비류-다양한 형태의 미생물 혼합제 등으로 인식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식물영양요소의 흡수나 이용도를 증진시키는 토양미생물 사용으로 언급하기도 한다. 본 개관은 식물성장을 증진시키는 것으로 알려진 PGPR 서로 다른 기작과 실질적 역할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생물전기화학시스템을 이용한 염화에틸렌의 생물학적 탈염소화 (Biological Dechlorination of Chlorinated Ethylenes by Using Bioelectrochemical System)

  • 유재철;박영현;선지윤;홍성숙;조순자;이태호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04-311
    • /
    • 2012
  • 산업용제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PCE (Perchloroethylene)나 TCE (Trichloroethylene)와 같은 염화에틸렌화합물은 안정된 세정력을 가지고 있어 널리 이용되고 있지만 무분별한 사용과 부주의한 취급으로 인해 최근 토양 및 지하수 오염지역이 늘어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퇴적토, 슬러지, 토양, 지하수 등 다양한 지역에서 총 10개의 시료를 식종원으로 이용하여 생물학적 PCE 탈염소화 가능성을 평가하고, 가장 우수한 탈염소화 능력을 보인 낙동강 퇴적토 시료를 대상으로 PCE를 에틸렌까지 안정적으로 탈염소화 가능한 혼합미생물을 농화배양하였다. 농화배양된 탈염소화 미생물을 생물전기화학시스템(Bioelectrochemical System, BES)의 환원부에 식종하여 전극을 전자공급원으로 이용한 탈염소화 가능성을 평가한 결과, PCE가 TCE, cis-dichloroethylene, vinyl chloride를 거쳐 최종산물인 에틸렌으로 탈염소화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Polymerase chain reaction-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PCR-DGGE)를 이용한 미생물군집 분석결과, 농화배양액에서 구축된 탈염소 미생물 군집과 BES 환원전극부내 미생물 군집 구조는 다르게 나타났으며, 전기화학적 활성을 지닌 다양한 미생물이 존재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BES 환원전극부에서 부유성장하는 미생물과 전극에 생물막을 형성하는 미생물 군집구조에도 큰 차이가 있었으며, 이는 탈염소화 메커니즘의 차이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인 연구를 통해서 자세한 생물전기화학적 탈염소화 메커니즘을 밝혀낸다면 생물전기화학적 탈염소화 기술은 염화에틸렌 오염 토양/지하수의 획기적인 생물정화기술로 자리잡게 될 것이다.

항균 효능이 있는 비타민 B1 유도체(Thiamine Dilauryl Sulfate:TDS)의 나노입자화를 통한 기능성 향장 활성 증진 (Enhancement of the Cosmeceutical Activity by Nano-encapsulation of Thiamine Di-lauryl Sulfate (TDS) with antimicrobial efficacy)

  • 서용창;노라환;권희석;이현용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205-213
    • /
    • 2013
  • 본 연구는 레시틴으로 나노입자화 시킨 티아민 디라우릴 설페이트의 향장활성 증진에 관한 것이다. TDS를 포집시킨 나노입자는 150 ~ 200 nm의 크기를 나타내는 구형이며, 또한 제타포텐셜을 측정하여 여러 pH 범위에서 안정한 것을 확인하였다. TDS 나노입자는 인간 섬유아세포(CCD-986sk)에 높은 농도를 처리하여도 85%의 세포생존률을 보였다. 자유라디칼소거활성 실험을 진행한 결과 나노입자화하지 않은 TDS 희석액(1.0 mg/mL)은 81.6%의 활성을 나타내었고, 나노입자화한 TDS 용액은 이보다 더 높은 88.1%의 높은 라디칼 소거활성을 보였다. TDS 나노입자는 자외선을 조사시킨 CCD-986sk에서 MMP-1의 발현을 41.4% 감소시켰다. TDS 용액과 TDS 나노입자를 가지고 salmonella typhimurium, listeria monocytogenes에 대하여 항균활성을 측정하였다. TDS 나노입자의 경우 양성대조군의 항균활성과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들로 TDS 나노입자가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효능같은 향장 소재로서의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된다.

근권 토양과 뿌리로부터 분리된 Bacillus sp.의 항진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미네랄 가용화능 비교 (Comparison of Antifungal Activity, Plant Growth Promoting Activity, and Mineral-Solubilizing Ability of Bacillus sp. Isolated from Rhizosphere Soil and Root)

  • 김희숙;오가윤;이송민;김지윤;이광희;이상현;장정수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576-586
    • /
    • 2021
  • 본 연구는 근권 토양 및 뿌리에 존재하는 미생물 중 미생물 제제로 적합한 Bacillus sp.을 선별하기 위하여 10종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미네랄 가용화능을 평가하였다.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한 항진균 활성은 Bacillus sp.에 따른 차이를 보였으며, 선별된 균주 중 DDP4, DDP16, DDP148, SN56, SN95는 9종 이상의 식물 병원성 곰팡이에 대해 항진균 활성을 나타내었다. 질소고정능과 1-aminocyclopropane-1-carboxylic acid deaminase 생성능에서는 Bacillus sp. 모두 비슷한 수준으로 활성을 나타냈으며, siderophore 생성능은 ANG42와 DDP427에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Indole-3-acetic acid 생성능은 1.83-67.91 ㎍/ml으로 확인되었으며, Bacillus sp.에 따른 활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후 각 species마다 활성이 높은 1 균주씩 선정하여 미네랄 가용화능을 확인한 결과, 대부분의 Bacillus sp.에서 인산과 탄산칼슘 가용화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DDP148과 SN56은 각각 규소 가용화능과 아연 가용화능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분리한 Bacillus sp.의 항진균 활성, 식물 생장 촉진 활성 및 미네랄 가용화능 결과를 통해 다목적 기능을 가진 미생물 제제로써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사과 주요 병해 방제를 위한 길항미생물 분리 및 동정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ntagonistic Microorganisms for Biological Control to Major Diseases of Apple Tree(Malus domestica Borkh))

  • 박흥섭;조정일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7-147
    • /
    • 1996
  • For the purpose of acquiring microbial agents that can be utilized to biologically control the major airborne diseases to apple trees, such as canker(Botryosphaeria dothidea), bitter rot(Glomerella cingulata), alternaria leaf spot(Alternaria mali), root rot(rosellinia necatrix), canker(Valsa ceratosperma) and gray mold rot(Botrytis cinerea), the effective microorgaisms were isolated, tested for antagonistic activity to the pathogens causing major diseases to apple trees and identifed. Screening of more than 5,000 species of microorganisms collected in nature for them antagonistic action to the pathogens causing 5 major diseases to apple trees resulted in selection of effective species. Out of the 11 species, one species designated as CAP134 demonstrated outstanding activity. The bacterial strain, CAP134 exerted antagonistic efficiency of 57% on an isolated strain and 40% on a donated strain of Botryosphaeria dothidea., 52% on an isolated strain and 46% on a purchased strain of Alternaria mali, 60% on Valsa ceratosperma 25% on Glomerella cingulata, and 64% Rosellinia necatrix. The CAP134 was identified as a bacterial strain to Bacillus subtilis ATCC 6633 based on morephology, culture conditions, and physio-biochemical characteristic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