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cro-emulsion

검색결과 78건 처리시간 0.038초

Poly(vinyl alcohol) block의 신디오탁틱이 Poly(vinyl alcohol-b-styrene)의 micelle형성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the Syndiotacticity of Poly(vinyl alcohol) block on the formation of micelles for Poly(vinyl alcohol-b-styrene))

  • 이광화;조창기
    • 한국섬유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섬유공학회 2003년도 봄 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291-292
    • /
    • 2003
  • Amphiphilic block copolymer는 self-assembly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선택된 용매 속에서 nanoscale-domain 즉 micelle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기타 불용성 물질을 가용화하고 colloidal particle을 안정화시키거나 micro-emulsion을 형성할 수 있어 pharmaceutics, drug delivery system등 영역, 그리고 emulsion stabilizer, thickener, dispersion agent등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략)

  • PDF

표면 솔-젤 반응을 활용한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의 제조 (Fabrication of Hollow Micro-particles with Nonspherical Shapes by Surface Sol-gel Reaction)

  • 조영상;전석진;이기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611-618
    • /
    • 2007
  • 아민기로 코팅된 단분산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조한 뒤 톨루엔-물로 구성된 유중수 액적(oil-in-water emulsion) 내부에서 입자를 자기 조립(self-assembly)시켜 다양한 다면체(polyhedra) 구조의 콜로이드 클러스터(colloidal cluster)를 제조하였다. 콜로이드 클러스터의 표면에서 솔-젤(sol-gel) 반응을 유발한 뒤 표면이 실리카로 코팅된 복합(composite)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고 이를 주형(template)으로 활용하여 고온 소성에 의해 내부의 폴리스티렌 입자를 제거하고 마이크로미터 크기의 다양한 구조의 비구형상 공동 입자(hollow particle)를 제조하였다. 밀도구배원심분리법 (density gradient centrifugation)에 의해 폴리스티렌 구성 입자의 수와 구조가 균일한 콜로이드 클러스터를 제조할 수 있었으며 표면 솔-젤 반응에 의해 비구형상 구조의 공동 입자를 제조하였다.

pH-Stat Digestion Model에서 카카오 추출물이 Oil과 Emulsion의 가수분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acao Extract on Hydrolysis of Oil vs. Emulsion in pH-Stat Digestion Model)

  • 이지현;신정아;이기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33-541
    • /
    • 2016
  • 페놀화합물의 함량이 높다고 알려진 카카오(powder)로부터 카카오 추출물(CE)을 획득한 후, CE가 pancreatic lipase의 활성에 미치는 영향과 CE를 함유한 emulsion의 aging에 의한 가수분해율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두 가지 형태의 기질을 사용한 pH-stat digestion model을 이용하였다. Type I 의 경우 소화액에 CE와 콩기름을 첨가하여 emulsion을 제조하였으며 aging time(0, 5, 24시간)에 따른 가수분해 변화를 살펴보았다. CE를 첨가하였을 때의 가수분해율은 C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CE가 pancreatic lipase 활성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판단된다. 그러나 aging time이 지남에 따라 CE를 첨가하였을 때와 CE를 첨가하지 않았을 때의 가수분해율 모두 감소하였다. 이는 CE의 영향보다는 aging time이 길어짐에 따라 emulsion의 안정도가 낮아져 지방구 크기가 증가하여 가수분해율이 모두 감소한 것으로 생각되고, 따라서 이 모델에서는 CE에 의한 가수분해 저하가 크지 않았다. 한편 type II의 경우 먼저 콩기름과 CE, Tween 20를 혼합하고 고압균질기를 사용하여 micro-emulsion을 제조한 후, 이를 기질로 하여 aging time(0, 2, 4, 7, 18, 43일)에 따른 가수분해율 변화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aging time에 따라 CE를 첨가하지 않은 control과 CE를 첨가한 CE-emulsion의 가수분해율이 감소하였는데, 특히 control보다 CE-emulsion이 더 많이 감소하여 43일에는 control의 ${\Phi}$ max가 92.13%(0일, 96.53%)였으나 CE-emulsion은 77.69%(0일, 97.91%)를 보이면서 CE-emulsion의 가수분해 반응이 control에 비해 낮았다. 다른 kinetic parameter(k value, $t_{1/2}$ 등)에서도 이와 유사한 경향을 나타냈다.

폴리스티렌 라텍스 제조에 있어서 Triton X-100/SDS 계면활성제 혼합이 단량체/수용액 간의 계면물성 및 라텍스의 특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Styrene/Water on the Styrene Latex Particle Properties using Triton X-100/SDS Surfactant Mixture)

  • 박아름이;김영호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40-248
    • /
    • 2010
  • The blending effects of surfactants on the polystyrene emulsion polymerization were studied. The blending of Triton X-100 and SDS affects to the interfacial properties of the styrene monomer and water phases, and finally, the properties of the polystyrene latex particles. As the blending ratio of SDS/Triton X-100 increases, the interfacial tension and CMC of the blended surfactants were decreased and results in a reducing the size of the latex particles. It was found that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duced when the surfactant were blended. By increasing the SDS content,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duced, and, at a certain condition, the interfacial tension was reached to an extremely low value to form micro-emulsion and the nano-sized latex particles (80~110 nm).

MDO (Marine Diesel Oil) 에멀젼 연료에 의한 디젤엔진의 배출가스 저감 (The Exhaust Gas Reduction of Diesel Engine by MDO (Marine Diesel Oil) Emulsion Fuel)

  • 김문찬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6권7호
    • /
    • pp.476-482
    • /
    • 2014
  • 본 연구는 에멀젼 연료의 특성과 배출가스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엔진 배출가스 측정은 엔진 dinamometer로 실시하였다. 유화연료는 연소실내에서 미세폭발을 일으켜 연료를 잘게 쪼개어 주어 smoke를 감소시킨다. 그리고 물이 연소실내의 기화열을 빼앗아 연소실 내부의 온도를 낮추어 NOx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를 갖는다. ND-13모드의 각 모드별 배출가스온도가 MDO에 비해 유화연료를 사용했을 때 낮게 나온 것으로 뒷받침 될 수 있었다. 유화연료의 함수율이 증가함에 따라 NOx와 smoke의 배출량은 줄어들었으며, 출력도 함수율 증가에 따라 유화연료 자체의 발열량 감소로 인하여 줄어든 것으로 판단된다. ND-13모드에서 MDO 유화연료를 시험결과 함수율 17% 유화연료의 NOx 감소량은 약 24%, smoke의 총감소량은 약 73%, $SO_2$ 감소량은 약 11%, 그리고 약 13%의 출력손실을 확인하였다.

생분해성 고분자를 이용한 발수 에멀션의 제조 (I) - PLA 및 PBS 에멀션의 제조 - (Preparation of Emulsion from Biodegradable Polymer (I) - Preparation of PLA and PBS Emulsions -)

  • 이민형;김강재;엄태진
    • 펄프종이기술
    • /
    • 제44권6호
    • /
    • pp.28-35
    • /
    • 2012
  • Water-in-oil emulsion (W/O) and oil-in-water emulsion (O/W) types biodegradable polymer emulsions prepared to PLA and PBS. The optimal mixing ratio of polymer : solvent : OA : TEA : water was found be 10 : 40 : 4 : 6 : 30(g) when preparing emulsions. Biodegradability was most retained after preparation of polymer emulsions. Particle size of PLA and PBS emulsions were 2-3 ${\mu}m$ and 3-4 ${\mu}m$, respectively. Molecular weight of PLA and PBS emulsions were 108,000 and 92,000, respectively. And molecular weight of PLA and PBS emulsions became slightly lower than those of pelle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