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iR-20a

검색결과 547건 처리시간 0.027초

정밀 시각 프로토콜 동기 성능 평가 (Evaluation of Synchronization Performance with PTP)

  • 이영규;양성훈;이창복;이종구;박영미;이문석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20권6호
    • /
    • pp.669-675
    • /
    • 2014
  • In this paper, we described the investigated theoretical time synchronization performances and experiment results obtained by commercially provided PTP (Precise Time Protocol) modules when the time of a slave clock is synchronized to the master clock. In the case of the theoretical performance analysis, we investigated 3 types of clock levels such as Crystal Oscillator (XO), TCXO (Temperature Compensated XO) and OCXO (Oven Controlled XO). From the analysis, it was observed that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is greatly influenced by the synchronization period and the required performance under 1 us can be achieved by using XO level clocks when the synchronization period is less than 2 seconds and the uncertainty of the propagation delay is under 100 ns. For the experiments using commercial PTP modules, the synchronization performance was investigated for direct, through 1 hub and through 2 hubs connections between the master clock and the slave clock. From the experiment results, we observed that time synchronization under 90 ns with 1,000 seconds observation interval can be achieved in the case of direct connection.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Grit and Resilience on Clinical Practice Adaptation of Nursing Students)

  • 백경화;조미옥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6호
    • /
    • pp.363-371
    • /
    • 2020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그릿과 회복탄력성이 임상실습 적응에 미치는 효과를 보기 위한 조사연구이다. 일개 대학 간호학과 학생 131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자료수집은 2019년 8월 19일부터 9월 30일까지 수행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상관관계 및 다중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그릿(r=.22, p=.012)과 회복탄력성(r=.56, p=<.001)은 임상실습 적응과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그릿과 회복탄력성은 임상실습 적응을 32.0%(F=31.567, p=<.001) 설명하였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그릿과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과 이를 적용한 임상실습 교육과정 개발이 필요하다.

건조비지 첨가 두부의 영양적 품질평가 2. 탄수화물의 품질 (Nutritional Evaluation of Tofu Containing Dried Soymilk Residue(DSR) 2. Evaluation of Carbohydrate Quality)

  • Kweon, Mi-Na;Ryu, Hong-Soo;Mun, Sook-Im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262-265
    • /
    • 1993
  • 두부 제조공정 중의 부산물인 비지의 효율적인 이용을 위하여,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건조시킨 비지를 원료 대두 중량의 10%가 되게 첨가하여 제조한 두부의 dietary fiber 함량과 탄수화물 소화율을 측정하였다. 또한 두부 제조 공정 각 단계별 시료의 소화율과 섬유소함량도 아울러 측정하였다. 전통적인 방법으로 제조한 두부와 비지첨가두부를 제외하고는 원료대두를 비롯한 전 시료중의 가용성 섬유 및 불용성 섬유의 비율은 1 : 3.5(w/w, 건물중량 기준)이었으며 비지제품은 각 섬유소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원료 대두보다 1.5~2.5배 증가하였다. 또한 섬유소의 함량이 극히 적었던 전통두부에 건조비지를 첨가하면 불용성 및 가용성 섬유소가 각각 30%와 45%씩 증가하여 두부에서도 섬유의 영양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었다 탄수화물의 소화율은 비지의 경우 10%를 넘지 못하는 수준이었으며 전통두부 역시20% 정도였다. 비지 첨가 두부의 탄수화물 소화율도 비지의 소화율과 별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12.5%). 두부 및 관련 제품들의 탄수화물 소화율과 식이 섬유소 함량과의 상관관계가 역의 상관관계 r =-0.9243)를 보였다.

  • PDF

사상체질에 따른 건강한 정상체중 남자의 식이행동유형 비교 연구 (An Analysis of Eating Behaviors in Normal-Weight Males across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 신현상;박병주;강미정;이지원;장현수;노환옥;이의주;고병희;이준희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10-121
    • /
    • 2010
  • 1. Objectives: This investigation compares the eating behaviors across normal-weight male groups of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2. Methods: We recruited 31 male participants aged 20-35 with BMI 18.5-23. The eating behavior was assessed using Gastrointestinal Symptom Rating Scale (GSRS), Bulimia Test Revised (BULIT-R), Korean Version of Eating Attitude Test-26 (KEAT-26), and Dutch Eating Behavior Questionnaire (DEBQ). 3. Results: 1) Assessments made by GSRS, KEAT-26, and BULIT-R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cross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p<0.05) 2) The Soeum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BMI and body weight compared to the Soyang and Taeeum groups. 3) The Emotional eating subscale of DEBQ differed significantly across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p<0.05) 4) The Soeum group showed a significantly lower Emotional eating subscale score of DEBQ compared to the Soyang and Taeeum groups. 4.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emotional factors could influence eating behaviors differently across different Sasang constitutional types, in which the Soeum type is less affected than the Soyang type by emotional states.

유도체화 반응에 의한 현미 중 thiosultap의 분석 (Analysis of Thiosultap in Hulled Rice by Derivatization)

  • 최정희;도정아;윤혜정;박용춘;김재훈;최동미
    • 농약과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16-20
    • /
    • 2010
  • Thiosultap은 중국에서 사용되고 있는 nereistoxin계 살충제로 국내에는 등록되지 않아 중국산 농산물 수입시 잔류 농약 안전관리를 위한 시험법 마련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미 중 thiosultap을 염기조건에서 nereistoxin으로 유도체화하여 GC-FPD로 분석하는 시험법을 개발하였다. 산염기 분배를 이용한 정제 조건을 확립하였으며, 확립된 시험법에 의한 정량한계와 직선성을 측정한 결과 각각 0.05 mg $kg^{-1}$과 0.995$(r^2)$이었다. 무처리 현미에 thiosultap 0.5와 2.5 mg $kg^{-1}$을 처리하여 회수율을 측정한 결과는 $96.1{\pm}7.9\sim100.8{\pm}6.1%$로 양호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등심초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의 항산화 활성 및 암세포 성장 억제 효과 (Antioxidant and Cytotoxic Activity of Compounds from the Stem of Juncus effusus)

  • 김예진;박찬익;박재성;안은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1호
    • /
    • pp.47-51
    • /
    • 2014
  • 등심초(Juncus effusus)를 70% ethanol로 추출하고 이 추출물을 ethyl acetate분획, n-butanol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Ethyl acetate 분획에 대하여 silica gel,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실시하여 2종의 화합물을 분리하였다. 화합물 1 (dehydroeffusol)과 2 (effusol)에 대하여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dehydroeffusol (DPPH; $130{\pm}3.21{\mu}M$, ABTS; $39{\pm}3.51{\mu}M$)과 effusol (DPPH; $79{\pm}1.53{\mu}M$, ABTS; $24{\pm}2.73{\mu}M$)은 강한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이들 화합물들의 인체유래 위암세포(AGS), 폐암세포(A549)에 대한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모두 항암약물(CPA)과 유사하거나 더 높은 성장 저해 효과를 보였다.

Distribution of the Genetic Resource and the Biomass of Root Bark of Ulmaceae Species

  • Park, Dong Jin;Yong, Seong Hyeon;Yang, Woo Hyeong;Seol, Yuwon;Choi, Eunji;Kim, Hyeong Ho;Ahn, Mi-Jeong;Choi, Myung Suk
    • 농업생명과학연구
    • /
    • 제53권2호
    • /
    • pp.65-75
    • /
    • 2019
  • Stem and root of elm trees have used as traditional medical materials, but there is little information on the distribution and resources of habitats. Korean native growing Ulmus spp. (U. davidiana var. Japonica, U. parvifolia, U. davidiana, and U. macrocarpa) genetic resources studied through The National Forest Inventory of Korea data and field survey. The distributions of U. davidiana var. japonica according to elevation distributed evenly. Both U. parvifolia and U. davidiana were inhabited mostly at less than 200 m of altitude. Each Ulmaceae species widely were distributed nationwide, but a dominant species was different depending on locals. It observed that Ulmaceae inhabits mainly in steep slopes of 31-45 degrees. Most of the habitats regenerated by natural seeding and the most abundant species were a codominant tree. Distribution of trees in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7 m-13 m, and in young U. parvifolia and U. macrocarpa, more than 25% of young trees less than 7 m observed. The distribution of the diameter of breast height of the U. davidiana var. japonica was 46.4% for 11-20 cm, 52.6% for 11-20 cm in U. parvifolia. The average T/R ratio was 0.83, and the mean weight ratio of root bark was 62%. A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omestic Ulmaceae biomassare very small. It is difficult to harvest in that the habitat on the slope. Thus, it is too hard to develop functional materials using biomass at prese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technology for the selection and propagation of elite trees of Ulmaceae.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이 식물플랑크톤 군집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s of Coastal Upwelling on Phytoplankton Community in the Southern Part of East Sea, Korea)

  • 김아람;윤석현;정미희;윤상철;문창호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9권4호
    • /
    • pp.287-301
    • /
    • 2014
  • 냉수대 발생 전 후의 해양 환경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 및 크기를 파악을 위해 여름철 빈번하게 냉수대가 발생되는 동해 남부 해역(울산 정자~부산 일광) 18개 정점에서 2013년 5월부터 8월까지 냉수대 발생 환경 및 식물플랑크톤 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냉수대는 7월과 8월에 연안 정점(A1, B1, C1)에서 발생하였고, 표층에서 저온 고염의 특성을 보였다. 이 시기에 영양염은 수온과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DIP, r=-0.218, p<0.01; DIN, r=-0.306, p<0.01; silicate, r=-0.274, p<0.01)를 보여, 찬 해수가 분포하는 표층에 영양염이 풍부함을 알 수 있었다. 출현한 식물플랑크톤은 총 186종이었고, 현존량은 5월(C1, $726{\times}10^3cells\;L^{-1}$)과 7월(A1, $539{\times}10^3cells\;L^{-1}$)에 높았다. 또한, 연안 정점에서 총 chl. a 와 소형플랑크톤 chl. a ($&gt;20{\mu}m$)의 농도가 냉수대 발생 시기인 7, 8월에 뚜렷하게 증가한 반면, 수온약층이 형성된 6월에는 현저하게 낮았다. 6월의 우점종은 Pseudo-nitzschia spp.이었고, 그 세포 크기는 $309{\mu}m^3$로 다른 시기의 식물플랑크톤의 1/10 수준에 머무는 작은 크기였다. 이러한 결과는 7월과 8월에 총 chl. a의 증가와 식물플랑크톤의 크기 증가가 냉수대 발생 시에 표층으로 공급된 영양염의 영향임을 시사한다. 이러한 해양 환경 특성과 식물플랑크톤 출현양상은 연안 정점에서 뚜렷하게 보였고, 외측 정점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이 연구에서는 동해 남부 해역에서 냉수대가 발생하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 증가와 더불어 비교적 크기가 큰 식물플랑크톤의 출현 빈도가 증가하는 현상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하계에도 불구하고 동해 남부 연안 해역에서 냉수대 발생에 따른 영양염 공급은 식물플랑크톤 군집조성과 현존량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팔, 손가락, 정맥에서 채취한 혈액의 혈당검사결과 비교 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blood glucose test results on the forearm, finger, and vein)

  • 김경아;이인광;신은영;김양미;김경옥;차은종;박경순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4호
    • /
    • pp.1751-1758
    • /
    • 2012
  • 팔부위에서 혈당을 측정하는 것은 모세혈관에서 혈액을 채취하는 동안 느끼는 통증을 줄일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팔부위 혈당검사의 임상적 유효성을 평가하기 위해 팔부위 혈당검사결과를 손가락 및 정맥에서의 혈당검사결과와 각각 비교하였다. 당뇨환자 61명이 포함된 555명의 피검자를 대상으로 금식 상태에서 휴대형 혈당계로 손가락과 팔 안쪽 부위에서 혈당검사를 수행하였으며, 1시간 이내에 피검자 514명의 정맥혈액으로 혈당검사를 수행하였다. 측정값들에 대해 선형회귀분석, 급내 상관분석(intraclass correlation), Passing-Bablok 회귀분석 기법으로 다양하게 비교 분석해 보았다. 팔부위 혈당값은 환자군에서 손가락 및 정맥 혈당값과의 상관계수(r)가 0.97(P<0.0001)로 높은 선형관계를 나타내었으며, 정상군에서도 r값이 약간 작았지만 유사하였다. 채혈 부위에 따른 혈당값의 평균 차이는 두 집단에서 모두 ${\pm}10mg/dL$ 이내이었다. 급내 상관계수는 r값에 비교하여 약간 작았지만 두 집단이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Passing-Bablok 분석에서 기울기의 95% 신뢰구간과 절편은 각각 < ${\pm}20%$, < ${\pm}20mg/dL$로서 임상 허용범위 이내의 값을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세 가지 통계분석 결과 팔부위 혈당값이 손가락과 정맥에서 측정한 혈당값과 충분히 일치함이 입증되었다. 팔부위 혈당검사가 표준방법인 손가락 혈당검사와 높은 일치성을 나타내었으므로 금식 상태에서의 임상적용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33종 생약재의 in-vitro 항혈전 활성 평가 (Evaluation of In-vitro Anticoagulation Activity of 33 Different Medicinal Herbs)

  • 류희영;안선미;김종식;손호용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922-928
    • /
    • 2010
  • 한방 생약재로부터 안전하면서도 신규의 항혈전제를 개발하기 위해,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고 있는 국내 및 국외산 한방 생약재 33종을 대상으로 40종의 에탄올 추출물을 조제하고, 이들의 thrombin time (TT), prothrombin time (PT), activated partial thromboplastin time (aPTT)을 평가하였다. 생약재중 중국산은 28종으로 대부분이 국외산이었으며, 부위별로는 종자 및 뿌리 부위가 19종을 차지하였다. 평균 수분함량은 $6.85{\pm}2.26%$, 평균 추출율은 $5.27{\pm}4.25%$를 나타내었다. 조제된 시료의 TT평가 결과, 사인(중국), 고본, 팔각향, 계지, 당삼, 계혈등, 행인, 오배자, 괄루근 및 포황에서 우수한 트롬빈 저해활성을 확인하였으며, 다양한 농도에서 평가 결과 계혈등, 행인, 팔각향, 계지, 오배자 추출물 순으로 트롬빈 저해능이 강력함을 확인하였다. PT 평가 결과 오배자, 계혈등, 행인에서, aPTT 평가결과 오배자 및 계혈등에서 우수한 항혈전능을 확인하였다. 한편 추출물의 인간적혈구 용혈활성을 평가한 결과, 계혈등, 팔각향, 계지, 오배자 추출물은 $500\;{\mu}g/ml$ 농도에서도 용혈활성이 없음을 확인하여 이들 4종을 최종 선정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이미 대량생산이 확립된 한방생약제로부터 우수한 항혈전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으며, 트롬빈 및 혈장 응고 인자에 대한 특이 저해제 개발이 가능함을 제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