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ropolitan area

검색결과 3,540건 처리시간 0.059초

首都圈地域 小賣業 經營의 空間的 變容 (Spatial Changes in the Business Organization of Retailing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 한주성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9-37
    • /
    • 1996
  • 대도시권내 소매업의 지역구조 변화를 이해하기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소매업의 규모가 가장 큰 수도권지역 소매업 경영의 지역적 변화형태를 고찰한 결과 다음과 같은 점이 밝혀졌다. 1979~1991년 사이에 연간판매액에 의한 소매업의 업종구성 변화는 <종합 소매업>과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 및 주유소 운영업>의 구성비가 매우 높아졌다. 그리고 소매업의 경영상의 변화는 개인 경영조직이 탁월해지고, 종사자의 常傭化가 많이 나타났다. 주성분 분석에 의한 수도권지역 소매업의 주된 경영성분은 1. 소매업의 대규모화와, 2. <섬유, 의복, 신발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가구, 철물 및 가정용품 소매업(가전제품 포함)>,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와 상용 조사자의 고용화이다. 소매업 경영의 유형변화를 보면, 1979년에는 섬유, 의복, 신박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가구, 철물 및 가정용품 소매업(가전제품 포함),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와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 달리 분류되지 않은 일반 소매업의 대규모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가 다소 이루어졌으나, 1991년에는 소매업의 대규모화가 이루어진 것이다. 이러한 경영변화를 나타내는 지구는 서울시와 그 위성도시 및 경기도의 남동부지역이다. 또 1979년에 섬유, 의복, 신발 및 의복 악세사리 소매업, 장신구 및 시계 소매업, 달리 분류되지 않은 일반 소매업의 대규모 소매업의 법인 조직화가 다소 이루어진 것에서, 1991년에는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 및 주유소 운영업의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가 이루어졌다. 이러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구는 경기도의 동부와 북부지역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수도권지역 소매업 경영의 변화형태는 1979년에 일부 소매업이 법인 조직화와 상용 종사자의 고용화가, 1991년에는 소매업의 대규모화와 개인 운수장비 소매업과 주유소 운영업의 종사자 고용화가 나타난 점이다.

  • PDF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광역도시권 차원의 자연재해 저감방안 연구 -자연재해 취약성에 따른 수도권 도시의 유형화- (Classification of C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based on Natural Hazard Vulnerability)

  • 심재헌;김자은;이성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534-554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자연재해 취약성에 근거하여 수도권 도시를 유형화하고, 유형별 특성에 따른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을 제시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자연재해 취약성 요인의 추출, 요인득점을 이용한 수도권 도시의 유형분류, 유형화 결과에 기초한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 제시라는 세 단계로 구성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 주성분분석의 결과 고유치가 1 이상인 유의미한 요인은 3개로 추출되었고, 이들은 각각 자연재해에 대한 지형적 내재해성, 비도시성, 재해예방능력을 나타내는 요인으로 특징지을 수 있었다. 지역별 요인득점을 이용한 k-medians 비계층적 군집분석의 결과 사례지역은 지형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하고 재해예방능력이 미흡한 지역, 시가화지역으로서 재해예방능력이 양호한 지역, 비도시지역으로서 지형적으로 자연재해에 취약한 지역, 자연재해에 대한 지형적 내재해성을 갖고 있으나 재해예방능력이 미흡한 지역이라는 4개의 군집유형으로 분류되었다. 끝으로 수도권 내 유형별 특성을 고려한 차별적인 자연재해 저감방안이 제시되었다.

수도권 지역의 도시 기상 특성 (Characteristics of Urban Meteorology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 김연희;최다영;장동언
    • 대기
    • /
    • 제21권3호
    • /
    • pp.257-271
    • /
    • 2011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eather modification by urbanization and human activit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heat island (UHI) and precipit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of Korea are investigated to demonstrate that cities can change or modify local and nearby weather and climate, and to confirm that cities can initiate convection, change the behavior of convective precipitation, and enhance downstream precipitation. The data used in this study are surface meteorological station data observed in Seoul and its nearby 5 cities for the period of 1960 to 2009, and 162 Automatic Weather System stations data observed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from 1998 to 2009.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amount tend to increase with time, and relative humidity decreases because of urbanization. Similar to previous studies for other cities, the average maximum UHI is weakest in summer and is strong in autumn and winter, and the maximum UHI intensity is more frequently observed in the nighttime than in the daytime, decreases with increasing wind speed, and is enhanced for clear skies. Relatively warm regions extend in the east-west direction and relatively cold regions are located near the northern and southern mountains inside Seoul. The satellite cities in the outskirts of Seoul have been rapidly built up in recent years, thus exhibiting increases in near-surface air temperature. The yearly precipitation amount during the last 50 years is increased with time but rainy days are decreased. The heavy rainfall events of more than $20mm\;hr^{-1}$ increases with time. The substantial changes observed in precipitation in Seoul seem to be linked with the accelerated increase in the urban sprawl in recent decades which in turn has induced an intensification of the UHI effect and enhanced downstream precipitation. We also found that the frequency of intense rain showers has increased in Seoul metropolitan area.

서울대도시권 인구집중의 공간적 연관성 연구 (Spatial Association of Population Concentration in Seoul Metropolitan Area)

  • 박제인;장훈;김지소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28권3D호
    • /
    • pp.391-39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공간통계 및 지리적 탐색 기법을 이용하여 공간연관성의 관점에서 서울대도시권 인구분포 변화를 분석하였다. 전역적 지수를 이용하여 1980년부터 2005년까지 25년간의 인구자료를 분석한 결과, 서울대도시권의 인구는 매우 강한 정적(+) 공간연관성을 나타내며 분포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는 각 지역의 인구분포가 주변지역의 인구분포에 영향을 받았음을 의미한다. 이어서 국지적 지수를 이용하여 실제 어떤 지역에 군집이 형성되고 있는지 분석하였으며, 서울시의 남쪽 및 서쪽, 즉 인천 및 경기지역으로 군집이 이동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분석 결과는 향후 서울대도시권 관리 및 개발계획 수립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MODFLOW를 이용한 도심지역 대형 건축물 신축에 따른 지하수 흐름 및 지하수위 변화예측에 관한 연구 (Simulation of Flow Change and Level of Groundwater using MODFLOW Due to Large-size Building Construction in Metropolitan Area)

  • 박선환;장윤영;임형규
    • 환경영향평가
    • /
    • 제16권4호
    • /
    • pp.251-265
    • /
    • 2007
  •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the construction of a large sized building on the flow and level of groundwater in a metropolitan area was investigated with simulation model MODFLOW for a selected area located in Gangseo-gu, Seoul, where a large business center was scheduled to be built. It was simulated that the groundwater level in the study area was suddenly lowered by the construction of a large building and groundwater in the surrounding area fast flowed into the study area. And even after the construction finished, the falling down of groundwater level consistently continued in some degree. The flow state of groundwater appeared to be the same in both cases where a soil cement wall is applied and where it is not during the construction. But for the case of application of a soil cement wall as the amount of groundwater flowing into the study site became reduced, it was estimated that the time for underground watershed getting far away from the site was also reduced and the influence of a building construction on the surrounding groundwater became reduced. Thus, it is deemed necessary that recharging the spilled ground water and rainfall into the construction area to lessen the abrupt change in flow and level of ground water should be considered in design of construction of a large sized building in a metropolitan area.

지역정체성 맥락의 공공디자인 통합체계 연구 - 충북광역도시권의 경관계획과 색채계획을 중심으로 - (A Study on Integral System of Public Design in the Context of Local Identity - Focusing on the Landscape Plan and Color Plan of Chungbuk Metropolitan Area -)

  • 송영민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5호
    • /
    • pp.104-111
    • /
    • 2014
  • This study puts its purpose on presenting an integral system of representative urban landscapes, public design and colors, in practicing urban design in the context of local identity. An integral design of public design that successfully plans and executes local identity, and changes recognition of integral management of urban design, is suggested as followings. Firstly, when the catchment area is divided in metropolitan area, it should be reset according to the natural environment condition regardless of administrative area system like city and county. It is the method to classify the metropolitan area by researching and analyzing geographical condition, weather condition, soil and vegetation in detail and subclassify it by the visual commonness of natural environment. Secondly, it is necessary to access the urban landscape, public design and urban color from the overall aspect emphasizing the plan for each field and local identity. They should be practiced by the role and category of each field on the basis of consistent design strategy and instruction but the cooperation system is required as a process to reinforce and specify the mutual limit. Thirdly, the artificial structure is constructed through artificial adjustment depending on the urban formation process and the development time point.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the rapid urban development, the change speed and the landscape formation of each age. It is necessary to classify the type of artificial landscape by age and form similarity and separate the area that should be generalized and controlled by entire metropolitan area form the area that should be specialized by basic local government.

서울지역 길고양이의 Toxoplasma 감염증 실태조사 (Investigation of stray cats Toxoplasmosis in Seoul area)

  • 김능희;채희선;한혜진;손홍락;김창기;김선홍;이정학;김철훈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75-279
    • /
    • 2009
  • Toxoplasma gondii is one of the most common protozoa parasites of human and other warm-blooded animals. Cats and wild felidae play crucial roles in the epidemiology of toxoplasmosi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survey the prevalence of T. gondii infection among stray cats in the Seoul. A total of 422 stray cat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from Seoul area. Positive sera for T. gondii were identified in 56 samples (13.3%) exclusively via the latex agglutination test and the detection no antigen particles among seropositive samples by PCR. The overall infection rate of male stray cats (14.4%) presented as higher than that of female cats (10.7%). This study suggested that T. gondii is widespread in stray cats of Seoul area. It is needed to control urban stray cat population and to reduced the risk of zoonotic transmission of toxolasmosis to other animals and humans.

수도권대학 진학 선호 요인 분석을 통한 지역인재 양성 프로그램의 방향 모색: 전북지역 고등학생을 중심으로 (Developing Local Human Resources Program by Analyzing the Preference Factors for Enrollment of Higher Education in Seoul-Metropolitan Area: Focused on High School Students in Jeonbuk)

  • 박성신;김석순
    • 실천공학교육논문지
    • /
    • 제14권1호
    • /
    • pp.205-217
    • /
    • 2022
  • 본 연구는 전북지역 고등학생의 수도권대학 진학 선호 현황 및 요인에 대한 조사, 분석을 통해 지방 청년인구의 수도권 지향 유출로 인한 문제를 파악하고, 지역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의 방향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주요 결과는 첫째, 조사결과 성적 상위권 중심으로 68.8%의 고등학생이 수도권대학 진학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 소재 대학의 명성과 대학 서열화, 개방성이나 익명성 등 대도시의 문화적 특성, 안정적 도시기반시설 등을 누릴 수 있다는 강점이 구체적 흡인 요인으로 작용했다. 둘째, 개인의 지역적 배경인 성장지역-진학지역-취업지역 간의 상관관계는 밀접하며, 귀환이동의 발생없이 진학지역이 취업지역으로 전환되는 공간종속성은 매우 강하게 나타났다. 셋째, 지역대학의 인재양성 프로그램은 지역의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진학 및 진로설계, 지역대학에 대한 관심의 계기 제공 등 의미있는 활동으로 평가받았다. 효과적인 지역인재 양성 프로그램은 지역정체성을 반영한 산업의 발굴과 네트워크 조성, 프로그램 개발과 교육현장 여건을 반영해 이루어져야 한다. 젠더 구분없는 프로그램을 시행, 문·이과 통합 교육과정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기초 과학 학력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컨텐츠의 개발도 병행해야 한다. 궁극적으로 지역균형발전 관점에서의 접근, 수도권 수준 도시인프라의 확충과 각종 지역균형발전사업과 연계해 지역 환경을 개선함으로써, 수도권 지향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수도권 주변 소나무의 조직피해와 생장억제 (histological Damage and Growth Inhibition of Pinus densiflora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 이창석;길지현;유영한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1권2호
    • /
    • pp.125-131
    • /
    • 1998
  • Histological damage and growth inhibition of Pinus densiflora were analysed in different areas around the Metropolitan area of Seoul urban (heavily polluted), suburban (lightly polluted), and rural(unpolluted) areas. Soil properties of each area were also investigated. Contact angles of water droplet on needle leaves growing in polluted areas were lower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Transpiration rates of needle leaves growing in polluted areas were more rapid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These results represented that needle leaves growing in polluted areas were more susceptible to water deficit than that growing in unpolluted area was. Growths of annual ring of Pinus densiflora growing in polluted areas were lower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On the other hand, soil pH in polluted areas was lower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That is, the former was more acidified than that the latter was. Ca and Mg contents in polluted areas were lower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while Al contents in polluted areas were higher than that in unpolluted area. These soil properties revealed that the effects of acid precipitates in urban and suburban areas were severer than that in rural area.

  • PDF

광역BRT시설의 재원분담기준 개발 (Development of Finance Sharing Criteria for Metropolitan BRT Infrastructure)

  • 김성은;김시곤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2권1D호
    • /
    • pp.71-80
    • /
    • 2012
  • 수도권의 기능 및 범위 확대로 인하여 광역교통수요가 급증하였고, 이러한 광역교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다양한 광역대중교통 보급이 필요하다. 하지만 막대한 투자재원을 필요로 하는 광역교통시설의 설치 및 운영 관리에 대한 명확한 기준과 제도의 부족으로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지방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서 갈등이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도권 광역 BRT, 광역 환승시설 등의 효율적인 설치 및 운영 관리를 위한 재원분담 모델을 개발하여 재원분담기준을 설정하고자 하였다. 이에 국내외 사례를 기반으로 광역 BRT 시설의 주요 구성요소인 광역 BRT 노선, 광역 환승시설 그리고 공영차고지의 재원분담 모형을 정립하고 정립된 재원분담모형을 적용하여 대안별 비교분석을 수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