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tric group

검색결과 151건 처리시간 0.023초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 사용성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for the Usability of Multimedia Web Sites)

  • 민장근;이금석
    •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39-148
    • /
    • 2006
  • 본 논문은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의 사용성 품질 평가를 위한 품질 기준과 웹 메트릭을 제안하고자 한다. 최근 들어 웹 사이트의 활용이 새로운 기술과 접목되어 산업 전반에 결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또한 초고속 통신망이 일반화되면서, 그동안 네트워크의 속도 문제로 제한적으로 사용되었던 멀티미디어의 활용이 증가하면서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가 증가하는 추세이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소프트웨어 공학, HCI, 하이퍼미디어 분야에서 연구되어온 HTML기반의 품질 평가의 연구를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로 확장하고,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플래시 사용성을 접목하여 새로운 웹 메트릭을 제안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된 웹 메트릭은 전문가 평가를 통하여 검증을 하였다. 또한 박물관을 도메인으로 하여 웹 어워드 코리아에서 수상한 웹 사이트와 비수상 웹 사이트를 정량적이고 정성적인 품질 평가를 통하여, 운용중인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의 품질 평가가 가능한 것을 비교 검증하였다. 본 논문으로 향후 고품질의 멀티미디어 웹 사이트 개발의 기반이 될 것이다.

  • PDF

Meta-Analysis of Associations Between Classic Metric and Altmetric Indicators of Selected LIS Articles

  • Vysakh, C.;Babu, H. Rajendra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4호
    • /
    • pp.53-65
    • /
    • 2022
  • Altmetrics or alternative metrics gauge the digital attention received by scientific outputs from the web, which is treated as a supplement to traditional citation metrics. In this study, we performed a meta-analysis of correlations between classic citation metrics and altmetrics indicators of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LIS) articles. We followed the systematic review method to select the articles and Erasmus Rotterdam Institute of Management Guidelines for reporting the meta-analysis results. To select the articles, keyword searches were conducted on Google Scholar, Scopus, and ResearchGate during the last week of November 2021. Eleven articles were assessed, and eight were subjected to meta-analysis following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The findings reported negative and positive associations between citations and altmetric indicators among the selected articles, with varying correlation coefficient values from -.189 to 0.93. The result of the meta-analysis reported a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of 0.47 (95% confidence interval, 0.339 to 0.586) for the articles. Sub-group analysis based on the citation source revealed that articles indexed on the Web of Science showed a higher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0.41) than articles indexed in Google Scholar (0.30). The study concluded that the pooled correlation between citation metrics with altmetric indicators was positive, ranging from low to moderate. The result of the study gives more insights to the scientometrics community to propose and use altmetric indicators as a proxy for traditional citation indicators for quick research impact evaluation of LIS articles.

신뢰성 분석 기반 발전설비 점검계획 수립 시스템 연구- 석탄 하역기를 중심으로 - (Study of Reliability Analysis Based Power Generation Facilities Maintenance System - Focused on Continuous Ship Unloader -)

  • 황성환;김유림;강성우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1권2호
    • /
    • pp.315-327
    • /
    • 2023
  • Purpose: Recently, research has continued to predict the time of failure of the facility through measurement data obtained by attaching a sensor to the facility. However, depending on the facility, it may be difficult to attach a sens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ower generation maintenance plan system based on failure record data obtained from Continuous Ship Unloader, one of the facilities that is difficult to attach sensors. Methods: This study uses data collected from 2012 to 2022 from the 'CSU-1B' model among Continuous Ship Unloader operated by Korea Midland Power Co., LTD. By fitting fault record data to the Weibull distribution, appropriate maintenance cycles and ranges for each target facility subsystem are derived. In addition, maintenance group between subsystems is selected through Euclidean distance, a metric often used for time series data similarity. Through this, a system for establishing an maintenance plan for power generation facilities is proposed. Result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or the 17 subsystems of the Continuous Ship Unloader, proper maintenance cycles and ranges were determined, and a total of four maintenance groups were chosen. This resulted in the creation of an power generation maintenance plan system and the establishment of an maintenance plan. Conclusion: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power generation facilities. We proposed a maintenance plan system for Continuous Ship Unloader among power generation facilities.

국가지속가능발전목표를 반영한 도서관 운영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ibrary Management Indicators Reflecting Korean-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 배경재;박옥남;박진호;정다희;김태경;강지혜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58권3호
    • /
    • pp.333-358
    • /
    • 2024
  • 도서관이 '모두를 위한 도서관'으로 발전하려면 현재 지역단위 도서관 인프라에 대한 평가와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지원 방안을 찾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지역단위 도서관 인프라를 진단하고, 지속 가능한 인프라로서의 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단위로 '도서관 활력지수'를 개발하였다. 본 지수는 도서관의 친환경 대응력, 디지털 전환 수준, 무장애 설계, 보편적 문화향유 서비스 제공 역량 등을 측정한다. 연구는 국내·외 사례 조사, 델파이 조사,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해 최종 지표를 도출하였으며, AHP 분석을 통해 중요도에 따른 가중치를 부여하였다. 최종 지표는 지역 도서관 활성화(300점), 단위 도서관 역량(470점), 환류 시스템(30점)으로, 총 800점으로 구성되었다. 문항은 1. 지역 도서관 활성화 총 14개, 2. 단위 도서관 역량 총 88개, 3. 환류시스템 총 6개로 108문항으로 구성된다.

울진바다목장에서 자망으로 어획된 수산자원의 종조성과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eries Resources Caught by Trammel Net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East Sea)

  • 윤병선;박정호;윤상철;양재형;이성일;김종빈;최영민;손명호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947-959
    • /
    • 2015
  • Variations in the species composition, biomass and size distribution of fisheries resources in the Uljin marine ranching area were investigated using trammel nets at two stations (artificial reef and natural rocky area) from 2009 to 2010. During the survey, a total of 74 species were sampled with a mean density of 132 ind./net and mean biomass of 21.56 kg/net. In the natural rocky area, a total of 45 species were sampled at a mean density of 202 ind./net and mean biomass of 28.81 kg/net, while in the artificial reef area, samples included a total of 56 species, with means of 62 ind./net and 14.30 kg/net. The dominant species, comprising over 3%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were Suberites ficus (30.8%), Ovalipes punctatus (19.2%), Paralichthys olivaceus (11.7%), Pleuronectes herzensteini (4.7%), Kareius bicoloratus (3.5%), Pseudopleuronectes yokohamae (3.5%) and Eopsetta grigorjewi (3.0%). The dominant species, in terms of biomass, comprising over 5% of the total biomass, were P. olivaceus (22.1%), S. ficus (18.7%), O. punctatus (7.2%), Hexagrammos otakii (6.6%), P. yokohamae (5.7%), K. bicoloratus and P. herzensteini (5.3%). A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DS) analysis based on the Bray-Curtis similarity of fourth root transformed data for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was divided into two groups: the artificial reef area (group A) and the natural rocky area (group B).

울릉도 너도밤나무림의 군집구조와 하층식생의 분포특성 (Community Structure and Understory Vegetation Distribution Pattern of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 천광일;정성철;이창우;변준기;주성현;유주한;이슬기;최철현;박인환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81-95
    • /
    • 2012
  • This study was intended for Fagus engleriana stand in Is. Ulleung where the disturbance of vegetation has been caused by the exploitation and the increase of tourists. For the effectiv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n this issue, this study was conducted provide basic data. The sixteen study sites ($20{\times}20m$) were installed in the dominant Fagus engleriana stand and the base environment and vegetation were investigated.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The Fagus engleriana stand was classified into two groups, community A is Fagus engleriana-Sorbus amurensis and community B is Fagus engleriana-Acer pictum subsp. Mono by cluster analysis and community A were nothing signig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Community B were Eight species (Tsuga sieboldii, Camellia japonica, Dystaenia takesimana ect.) significant by indicator species analysis. The diameter class of 16cm to 25cm was 53.7% in population structure of Fagus engleriana, which was the highest and showed inverse J-distribution. Species diversity index (H') of investigated woody layer group ranged from 0.99 to 2.05 and that of under layer group ranged from 1.75~2.59. According to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NMS) analysis, the woody layer was divided into community A developed in the region having relatively high sand content at high altitudes and community B formed at the place having relatively high clay content at low altitudes. Then this classification was significant through Multi-Response Permutation Procedures (MRPP) analysis. The distribution of understory vegetation through Detrended Correspondence Analysis (DCA) was induced by the silt content and cover degree of vegetation layer.

동해 연안 자망에서 채집된 어류 종조성의 계절변동 (Seasonal variations in species composition of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trammel net in coastal waters of the East Sea)

  • 최광호;한문희;강창근;박주면;최정화;박정호;손명호;백근욱;최은정;이충일
    • 수산해양기술연구
    • /
    • 제48권4호
    • /
    • pp.415-427
    • /
    • 2012
  •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and abundance of fish assemblage in the north coast (NC: Ayajin) and central coast (CC: Hupo) of the East Sea were calculated using samples collected by trammel net during 2011-2012. A total of 20 species from NC and 17 species from CC were collected. Of the fishes collected, the dominant fish species were Glyptocephalus stelleri and Careproctus rastrinus in the NC, and Dasycottus setiger and G. stelleri in the CC. These 2 fishes accounted for 71.7% and 81.0% of the total number of individuals collected in the NC and CC, respectively. The number of fish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ices fluctuated with the seasons. The cluster analysis and non-metric multidimensional scaling (MDS) based on Bray-Curtis similarity revealed that the fish assemblages classified into north and central groups. Analysis of similarity percentages of species contributions (SIMPER) indicated that most individual of G. stelleri and Gadus macrocephalus contributed to north group, and D. setiger and G. stelleri in central group, whereas 15 species contributed to 90% of the dissimilarity.

과부하 굴삭기 소음의 불쾌감 표현인자 (Sound quality metrics to express the discomfort of overload excavator noise during operation)

  • 심상덕;송오섭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147-155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선형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과부하 굴삭기 소음의 불쾌감을 표현할 수 있는 음질인자를 찾고 이를 이용하여 객관적인 평가를 위한 음질인덱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소음특성이 다른 굴삭기 6모델을 선별하여 과부하 조건의 운전실 소음을 녹음하고 쌍대비교법과 크기평가법에 의한 청음평가를 수행하였다. 그리고 일관성이 낮은 청음평가 결과는 군집분석을 통해 선호도 성향이 다른 2 그룹으로 분류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어떤 음질인자가 불쾌감(낮은 선호도)에 유의한 영향을 주는 인자인지를 고찰하였다. 그 결과 불쾌감을 표현하는 음질인자는 10 Bark까지 부분 라우드니스 인자($PN_{10Bark}$)에 따라 불쾌감을 느끼는 성향을 가진 청음 평가자 그룹과 엔진 소음($dB_{EG}$)과 유압시스템 소음의 차이($dB_1$)로 표현된 인자에 따라 불쾌감을 느끼는 성향을 가진 청음 평가자 그룹으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쌍대비교법의 선호도 순위와 성향 분석결과를 이용하고 크기평가법과의 상관분석을 통해 신뢰도가 낮은 평가자의 결과는 제외하여 보다 신뢰성 높은 크기평가법의 청음평가 결과를 얻었다.

장봉도 상부 갯벌에서 채집된 유영생물의 종 조성과 계절변화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Nektonic Assemblages at the Jangbong Upper Tidal Flat, Incheon, Korea)

  • 서인수;홍재상
    • 한국해양학회지:바다
    • /
    • 제11권3호
    • /
    • pp.97-107
    • /
    • 2006
  • 인천 연안 장봉도의 상부 조간대를 이용하는 유영생물 군집의 종 조성과 계절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2001년 3월부터 동년 11월까지 매월별로 건간망을 이용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 현장조사 결과, 유영생물은 총 49종이 채집되었고, 출현 개체수와 생체량은 월 평균 489개체와 5,170.4 g을 나타내었다. 출현 밀도가 가장 높았던 종은 밀새우(Exopalaemon carinicauda, 40.9%)타 민태(Johnius grypotus, 13.2%)이었고, 생체량에서는 풀망둑(Acanthogobius hasta, 33.7%), 민태(14.6%)와 삼치(Scomberomorus niphonius, 10.2%)이었다. 조간대 상부를 이용하는 유영생물의 시간적인 변화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집괴분석(cluster analysis)과 다차원배열법(MDS ordination)을 실시한 결과, 크게 봄철(그룹 1)과 여름/가을철(그룹 2)로 대별되는 2개의 생물그룹으로 구분되었다. 그룹 1은 비늘흰발망둑(Acanthogobius luridus), 칠게(Macrophthalmus japonicus), 민칭이(Bullacta exarata)와 갯우렁이 (Lunatia gilva)등이 대표적인 생물이었다. 그룹 2는 민태, 밴댕이(Saydinella zunasi), 전어(Konosirus punctatus), 가숭어(Chelon haematocheila), 삼치, 복섬(Takifugu niphobles), 중하(Metapenaeus joyneri)와 참오징어 (Loligo beka) 등이 특징적인 생물이었다.

전방 십자 인대의 일차 봉합술 후 MRI 소견 (MRI Findings of the Repaired Anterior Cruciate Ligament)

  • 김정만;고인준;이동엽;이윤민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14-21
    • /
    • 2009
  • 목적: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 후 전방 십자인대의 자기 공명 영상 소견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봉합사 견인 결찰(pull-out) 기법으로 관절경하 일차 봉합술을 시행한 1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평균 추시 기간은 21.4개월(범위: 12~60개월)이었다. 외래 방문시 신체 검사 및 KT-1000 arthrometer (MEDmetric, San Diego, CA) 측기로 안정성을 검사하였으며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으로 추적하였다. 남아 있는 활막 소매(synovial sleeve)의 위치로 정의한 파열부의 위치에 따라 환자를 두 군으로 분류하였으며 제 1군은 파열이 대퇴골 부착 부위부터 근위 1/3 실질부 이내에 위치하는 경우, 제 2군은 파열이 근위 1/3 실질부 보다 원위에 위치하는 경우로 하였다. 수술 후 자기 공명 영상소견을 일정한 주기로 촬영하였으며 봉합된 십자인대의 주행 경로, 경계의 명확성, 두께 및 신호 강도를 3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였으며 두 군간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결과: 모든 예에서 Lachman검사와 flexion-rotation drawer 검사는 음성이었으며 Pivot-shift 검사는 1도 이하였으며 건측과 환측의 KT-1000 arthrometer 차이는 평균 1.4 mm(범위: -1.0~2.5 mm)로 측정되었다. 파열부 위치에 따른 분류로 제1군은 11예, 제 2군은 6예가 해당하였다. 자기 공명 영상 소견상 모든 예에서 전방 십자 인대의 전반적인 연속성은 유지되고 있었으나 10예(58.8%)에서 경도의 처진 주행 경로를 보였고 6예(35.3%)에서 경도의 불명확한 경계를 보였으며 8예(47.1%)에서 두께의 증가, 5예(29.4%)에서 신호 강도의 증가를 보였다. 모든 항목에서 두 군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한편, 시상면상 제1군의 2예(18.2%), 제 2군의 5예(83.3%), 전체 환자의 7예(41.2%)에서 대퇴골 부착 부위의 후방 변연부 실질부의 국소 결핍 소견이 관찰되었으며 이는 제2군에서 의미 있게 더 높은 빈도로 관찰되었다(p=0.035). 결론: 일차 봉합술 후 임상적으로 불안정이 없는 슬관절의 자기 공명 영상 검사 소견으로 주행 경로의 처짐, 경계의 불명확, 두께 및 신호 강도의 증가, 대퇴 부착 지점의 국소 결핍 등의 비정상 소견을 보일 수 있다. 한편 대퇴 부착부의 국소결핍 소견은 파열의 위치와 관계가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