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yl acetate

검색결과 371건 처리시간 0.039초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 (Desmutagenic Effect of Water Extract from Cassia tora L. on the Mutagenicity of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in E. coli PQ37)

  • 안병용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46-49
    • /
    • 2009
  • 4-nitroquinoline 1-oxide (4-NQO)와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in (MNNG)에 의해 유도된 돌연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억제효과를 E. coli PQ37 이용한 SOS Chromotest법으로 검색하였다. $100{\mu}g$/assay 농도에서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결명자 물 추출물의 변이원성 억제 효과는 27.5 및 40%로 나타났다. 결명자 물 추출물을 메탄을 가용성 부분과 메탄을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4-NQO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메탄을 가용성 부분이 더 강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결명자 메탄을 가용성 부분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그리고 물로 각각 분획하여, 4-NQO 및 MNNG에 대한 돌연변이 억제효과를 검색한 결과 물 분획물은 각각 19.0, 및 23.0% 억제효과로 가장 강하게 나타내었으며,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4-NQO의 변이원성에 대한 억제효과보다 더 강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결명자 열수추출물의 메탄을 가용성부분의 물 분획물의 농도를 assay당 1.0, 10, 100 및 $250{\mu}g$으로 증가시켰을 경우, 항돌연변이 효과는 각각 8.0%, 12.0%, 25.5%및 43.0%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결명자 물 분획물은 MNNG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 의존적 억제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디카페인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변화 (Changes in aroma compounds of decaffeinated coffee beans)

  • 이진영;김영수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492-501
    • /
    • 2023
  • 본 연구는 브라질산 커피생두를 디카페인 처리방법에 따라 구분하여 디카페인 무처리(RC), SWP 디카페인(SWDC), 초임계 CO2 디카페인(SCDC)에 대한 로스팅 이후 원두의 향기성분변화를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해 분석하였다. 로스팅 후 Agtron(#)은 SWDC와 SCDC가 RC보다 더 낮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다(p<0.05). 전자코를 이용해 분석한 세 가지 시료의 주요 향기성분은 propanol-2-one, 3-methylbutanoic acid, 1-methyl-4-isopropenyl-1-cyclohexene으로 확인되었으며, 특히 propanol-2-one은 fruity, glue의 향에 관련한 것으로 디카페인 공정 유무와 상관없이 가장 높은 강도로 분석되었다. 한편, SCDC의 향기성분 중 propanol-2-one, methyl formate의 함량이 RC와 비하여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p<0.05). 전자코를 이용한 향기성분 패턴의 PCA 분석결과 디카페인 무처리구인 RC와 처리구인 SWDC 및 SCDC의 향기성분의 차이를 확인하였고, 이와 같은 영향은 SCDC에서 더 크게 분석되었다. RC, SWDC와 SCDC의 주요 향기성분들이 propan-2-one과 hexan-2-one은 ketone, hexanal과 (E)-2-pentenal은 aldehyde, 3-methyl-1-butanol, 4-methylhexan-1-ol, 2-octanol은 alcohol에 해당하였으며, 로스팅 후 원두에서 주로 나타나는 향기성분의 구성은 유사하였으나 상대적 강도에서 차별성이 확인되었다. HS-SPME-GC-MS를 사용한 RC, SWDC와 SCDC의 휘발성 향기성분은 모두 28종으로 확인되었으며, 세 가지 시료에서 공통으로 높은 함량을 보이는 상위 향기성분은 furfural, 2,5-dimethylpyrazine, 2-furanmethanol, 2-formyl-5-methylfuran, furfuryl acetate, 2-ethyl-3-methylpyrazine 등 총 10종으로 분석되었다. RC에서 분석된 휘발성 향기성분 20여 종은 SWDC와 SCDC에서는 낮은 함량을 보이며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영향으로 차별화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디카페인 처리에 따른 로스팅 후 커피 원두의 향기성분 분석에 전자코와 HS-SPME-GC-MS를 이용함에 따라 향기성분의 조성 및 상대적 강도, 함량에 대한 패턴분석이 가능하였으며, 이와 같은 결과로 디카페인 커피에 대한 향미 특성 연구에 도움이 될 것이라 기대된다.

EC:MA 혼합전해질에서 카본 전극의 용량 특성 - I. 전기화학적 특성에 대한 혼합비의 영향 - (Properties of Capacity on Carbon Electrode in EC:MA Electrolytes - I. Effect of Mixing Ratio on the Electrochemical Properties -)

  • 박동원;김우성;손동언;김성필;최용국
    • 공업화학
    • /
    • 제17권2호
    • /
    • pp.183-187
    • /
    • 2006
  • 리튬-이온 전지에서 전해질 용액에 대한 용매의 선택은 충방전 특성의 개선을 위해 매우 중요하다. 여러 가지 용매 시스템이 리튬-이온 전지의 전해질로서 광범위하게 연구 되어졌다. 본 연구는 다양한 혼합비에서 제조한 1 M $LiPF_6/EC$ (ethylene carbonate) : MA (methyl acetate) (x:y) 전해질 용액의 용매 분해 전위와 카본 부극 표면에 형성된 Solid Electrolyte Interphase 피막의 전기화학적 성질을 시간대 전위법, 순환 전압- 전류법, 임피던스법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용매분해 전위는 전해질의 이온 전도도에 따라 전위가 달라졌고, 용매의 혼합비에 따라 피막의 전기화학적 특성이 변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1 M $LiPF_6/(EC+MA)$ 시스템에서 가장 적절한 EC와 MA의 혼합비는 대략 1:3 (EC:MA, 부피비)이었다.

SOS Chromotest에서 숙지황 물 추출물의 세포내 항돌연변이 효과 (Bio-antimutagenic effects of water extract from Rehmannia glutinosa Liboschitz in SOS Chromotest)

  • 안병용;이갑상;맹일경;송근섭;최동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2호
    • /
    • pp.439-445
    • /
    • 1998
  • 숙지황 물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활성을 4-nitroquinoline 1-oxide (4-NQO), 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 (MNNG), mitomycin C (MMC), $aflatoxin\;B_1\;(AFB_1)$, benzo(a)pyrene [B(a)P]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SOS Chromotest로 조사하였다. 숙지황 물 추출물을 메탄올 가용성 부분과 불용성 부분으로 분리하여 시험한 결과 5종의 변이원의 활성에 대하여 메탄올 가용성 분획은 불용성 분획 보다 강한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탄올 가용성 분획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물 분획 순으로 순차용매 분리하였고 그 분획물 중, 물 분획이 5종 변이원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가장 강한 억제효과$(4.5{\sim}29.5%)$를 나타내었고,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은 $AFB_1$의 변이원성을 촉진하였다.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물 분획을 정제하여 9 분획을 얻었으며, 이들 중 fraction III가 시험한 5종의 변이원으로 각각 유도된 변이원성에 대하여 용량반응의 억제효과와 함께 가장 강한 억제활성을 나타내었다. $400\;{\mu}g/assay$ 농도의 Fraction III는 4-NQO, MNNG, MMC, AFB1 및 B(a)P의 돌연변이원성에 대하여 각각 29, 35, 38, 25, 24%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Fraction III는 4-NQO, AFB1의 변이원성에 대하여 40% 이상의 강한 세포내 항돌연변이원성을 나타내었다.

  • PDF

고추를 첨가한 발아현미 식초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Germinated Brown Rice Vinegar Added with Red Pepper)

  • 박찬순;김기식;노재관;노창우;윤향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567-572
    • /
    • 2010
  • 본 연구는 발아현미와 고추첨가량을 달리하여 제조한 술을 초산발효 시켜 식초를 제조한 후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초산발효는 고추첨가량을 달리한 발아현미 술을 알코올 농도 6%로 희석하여 초산균을 접종한 후 $30^{\circ}C$, 150 rpm의 속도로 진탕배양기에서 17일간 발효시켰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pH는 발효초기 4.27~4.41이었으며 발효가 진행되면서 감소하여 발효말기 pH 3.20~3.59를 나타내었으며, 총산은 발효초기 0.29~0.41%에서 발효가 진행되면서 계속적으로 증가하여 발효말기에 3.68~4.51%를 나타내었다. 초산 발효 후 색도는 L값(명도)은 48.72~76.54이고 a값(적색도)은 0.40~10.24이며 b값(황색도)은 17.86~35.11이었다. 검출된 주요한 향기성분은 ethyl acetate, 3-methyl-1-butanol, acetaldehyde, ethanol, acetic acid이었으며, capsaicin은 발효 전에 0.17~0.26 mg%이었고 발효 후 0.16~029 mg%로 약간 변화하였다. 항산화 활성은 발효 전 48.1~79.1%를 나타냈으나 발효 후 감소하여 38.9~64.9%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인 기호도는 대조구에 비해 고추를 첨가한 발아현미 식초가 더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피부 흡수 증진을 위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 및 이의 항균활성 연구 (Nano-emulsion Containing Parthenocissus tricuspidata Stem Extracts for Enhanced Skin Permeation and the Antibacterial Activity of the Extracts)

  • 조나래;박민아;전소하;박수남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320-326
    • /
    • 2013
  • 이전 연구에서 저자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 효과를 연구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우수한 활성을 갖는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피부흡수를 증진시키고자 이를 함유한 나노에멀젼을 제조하고 물리적 특성 및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고압유화기(microfluidizer)를 이용하여 제조한 나노에멀젼은 평균 입자 크기가 302 nm를 나타내었으며 포집 효율은 86% 이상으로 나타났다. 나노에멀젼은 단분산의 입도 분포를 나타내었고 고압유화과정을 거치지 않은 일반 에멀젼보다 2주간 높은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Franz diffusion cell을 이용하여 제조된 담쟁이덩굴 추출물 함유 나노에멀젼의 피부흡수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으로 사용된 1,3-butylene glycol 용액이 32.59%의 피부흡수율을 나타내었고, 나노에멀젼은 42.47%의 피부 흡수능을 나타내었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의 화장품에 있어 천연 항균제로써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피부 상재균에 대한 항균작용을 측정하였다. 항균활성 측정결과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은 Staphylococcus aureus, Bacillus subtilis에 대해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으며, 화장품에 주로 사용되는 항균제인 methyl paraben 보다 높은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들은 담쟁이덩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에멀젼이 피부흡수능 증진을 통해 향후 화장품 제형으로서 이용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또한 담쟁이덩굴 줄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의 Gram (+) 세균에 대한 항균활성을 바탕으로 이전 연구에서 밝혀진 항산화 활성 및 세포보호효과와 더불어 기능성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큼을 시사한다.

식품 중 3-monochloropropane-1,2-diol의 분석법 비교 연구 (Comparison of the Analytical Method for 3-Monochloropropane-l,2-diol in Food)

  • 유승석;오창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9권4호
    • /
    • pp.360-365
    • /
    • 2007
  • 간장 중 3-MCPD 분석을 위한 HFBI, PBA, BSTFA 및 MBTFA를 사용한 유도체화 방법 및 시료 정제를 위한 흡착제, 용출용매 및 Surrogate, 내부표준물질 등을 검증한 결과 MBTFA를 이용한 acylation 방법을 제외한 나머지 세가지 유도체화 방법 모두 0.01 mg/kg 이하의 검출한계를 확인하였으며 정량한계(검출한계 ${\times}$3배)를 고려하더라도 현재의 국내 0.3 mg/kg 기준을 분석하는데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유럽의 허용치 0.02 mg/kg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PBA방법이나 BSTFA를 사용한 유도체화 방법의 경우 최종 시료액을 약 5배 이상 농축할 필요가 있다. 한편, 유도체화를 위한 반응조건으로 가열시간 및 온도는 HFBI와 BSTFA를 사용하는 경우 $70^{\circ}C$에서 각각 30 및 60분 그리고 PBA는 첨가 직후부터 가열 없이 반응이 완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제는 Extrelut20 혹은 Florisil 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흡착제로부터의 3-MCPD 용출용매로는 ethyl acetate가 상대적으로 높은 추출능을 보여 주었다. 또한 고가의 3-MCPD 중수 소치환 동위원소 surrogate 물질을 대체하기 위한 surrogate 표준물질로는 1,2-butanediol이 그리고 내부표준물질로는 1,2-dibromo-3-chloropropane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하였다.

메밀싹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유전독성억제 효과 (Antioxidation and Antigenotoxic Effects of Buckwheat Sprout Extracts)

  • 김수현;이의용;함승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8호
    • /
    • pp.955-959
    • /
    • 2007
  • 메밀싹을 건조 후 세절하여 70% 에탄올을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과 용매의 극성에 따라 분별분리를 행하여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올 및 물 분획물로 조제하여 여섯 가지의 추출물 및 분획물을 얻었다. 이들 시료들에 대하여 항산화활성을 측정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에서 $RC_{50}$ 값이 26.1 ${\mu}g/mL$의 강한 항산화활성을 나타내었다. 염색체 유발 물질인 MNNG(N-methyl-N'-nitro-N-nitro-soguanidine)를 마우스에 50, 100, 150 그리고 200 mg/kg으로 투여한 경우의 소핵생성은 각각 3.7${\pm}$0.7, 4.3${\pm}$0.6, 12.8${\pm}$0.8 그리고 15.6${\pm}$1.1로써 농도증가에 비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대조군에서는 1.4${\pm}$0.5의 소핵생성을 나타내었다. MNNG를 150 mg/kg과 메밀싹 추출물을 각각 10, 20, 40 그리고 80 mg/kg으로 동시에 투여한 경우 각각 23.4, 40.6, 56.3 그리고 73.4%의 소핵생성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 메밀싹 용매 분획물 실험에서는 핵산,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부탄올 그리고 물 분획물이 시료농도 80 mg/kg의 투여군에서 양성대조군에 비해 각각 64.1, 67.9, 75.8, 74.2 및 63.3%의 소핵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메밀싹은 건강식품으로서의 개발가능성을 가진 매우 유용한 원료임을 알 수 있었고, 추후 이러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부분만을 분리, 정제하여 추가적인 검색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충분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메틸 아세테이트 생산을 위한 반응증류 공정의 동적 최적화 (Dynamic Optimization of a Reactive Distillation Column Producing Methyl Acetate)

  • 김지용;김정환;문일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6권4호
    • /
    • pp.739-746
    • /
    • 2008
  • 반응증류 공정은 전형적인 반응공정과 증류공정을 통합하여 증류탑에서 반응과 동시에 분리를 수행하는 공정이다. 반응증류 공정의 가장 큰 장점은 반응 전환율의 제약과 공비점으로 인한 제약을 효율적으로 극복할 수 있다는 데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에스테르화반응으로 얻어지는 대표적인 물질인 메틸 아세테이트를 합성, 생산하는 연속 반응증류 공정의 상세한 수학적 모델을 구성하여 동적 모사 및 동적 최적화를 수행하였다. 상평형을 가정한 평형단 모델에 반응속도 식을 적용하여 분리와 반응이 함께 일어나는 증류탑과 재비기 및 응축기를 수학적 모델로 구성하여 동적모사를 수행하여 실제 공정이 운전되는 시나리오대로 공정전체를 모사함으로써 공정 개시부터의 공정의 동적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동적 모델과 연계되어, 반응증류 공정으로 얻어지는 메틸 아세테이트의 순도를 목적함수로 하는 최적화 문제를 구성하여 그 결과로 최적의 원료주입 분율 및 재비기의 열량 및 환류비 등을 구할 수 있었다. 또한 여기서 얻어진 운전 변수의 값을 변화시킬 때 반응 전환율의 변화를 살펴봄으로써, 최적화 문제의 해로 구해진 운전 변수의 값의 타당성을 증명하였다.

블렌드 조성과 상용화제가 폴리프로필렌/ABS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Blend Composition and Compatibilizer on the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propylene/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Blends)

  • 박정훈;승유택;김우년;홍존희;홍병권;유태욱;윤호규
    • 폴리머
    • /
    • 제29권1호
    • /
    • pp.19-24
    • /
    • 2005
  • 폴리프로필렌(PP)을 포함한 고분자 블렌드에 상용화제를 첨가하여 이축압출기를 통해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lzod 충격 시험기를 사용하여 물성을 측정하였다. PP/acrylonitrile-butadiene-styrene(ABS) 블렌드의 경우, PP-g-styrene acrylonitrile(PP-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 기계적 물성이 증가하였으며, ethylene-ethyl acrylate-maleic anhydride(E-EA-MAH-g-SAN) 상용화제의 첨가에 의해서 연성이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olycarbonate(PC)/Nylon-6,6 블렌드의 경우, ethylene glycidylmethacrylate(E-GMA) 상용화제를 0.5 phr 첨가함에 따라 충격강도가 증가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PP/ABS/PC/Nylon-6,6/poly(methyl methacrylate)(PMMA)/poly(oxymethylene)(POM)/poly(vinyl acetate)(PVC)/poly(butylenes terephthalate)(PBT) 블렌드에서 PP-g-SAN 같은 물리적 상용화제와 E-GMA 와 E-EA-MAH-g-SAN 같은 반응상용화제의 복합적인 작용으로 인해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이 증가된 결과를 나타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