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hanol activation

검색결과 227건 처리시간 0.027초

Dimethyl Naphthalate와 Ethylene Glycol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ster Interchange Reaction of Dimethyl Naphthalate with Ethylene Glycol)

  • 소순용;정성일
    • 폴리머
    • /
    • 제25권1호
    • /
    • pp.25-32
    • /
    • 2001
  • ${\circ}C$ 범위에서 아연과 망간촉매를 사용하여 에스테르 교환반응시켜 반응속도를 살펴보았다. 반응은 반회분식 반응기에서 비등온 조건으로 진행되었고 반응온도와 메탄올 유출량으로 반응성을 평가하였다. 반응모델로서는 관능기 모델과 분자종 모델을 적용하여 상호 비교하였다. 아연촉매를 사용할 경우 DMN과 EG의 반응속도는 methyl hydroxyethyl naphthalate(MHEN)와 EG의 반응속도에 비해 1.4배정도 였으나 망간촉매를 사용할 경우 4.3배정도로 촉매 종류에 따라 반응성이 크게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아연촉매의 경우 DMN 및 MHEN과 EG의 반응에 대한 촉매농도의 반응차수는 1보다 작았으나, 망간촉매의 경우 오히려 1보다 컸다. 활성화에너지는 DMN과 MHEN의 분자종 차이에 관계없이 아연과 망간촉매의 경우 각각 25000, 28750 cal/mol이었다. 두 가지 반응모델을 비교하여 본 결과 분자종 모델이 반응현상을 잘 표현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머위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LLC-PK1 세포에서의 Nrf-2 매개 항산화 효과 (Ethyl Acetate Fraction from Petasites japonicus Attenuates Oxidative Stress through Regulation of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2 Signal Pathway in LLC-PK1 Cells)

  • 김지현;이재민;이상현;조은주
    • 생약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5-61
    • /
    • 2016
  • Antioxidant effects and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2 (Nrf-2) signal pathway of methanol extract and 4 fractions [n-hexane, methylene chloride, ethyl acetate (EtOAc), and n-butanol fractions] from Petasites japonicus were investigated. The EtOAc fraction showed highest polyphenol and flavonoid contents among other fractions. In addition, EtOAc fraction showed stronger scavenging activity against superoxide anion radical than other fractions. Furthermore, we investigated antioxidants effects of the EtOAc fraction under cellular system using $LLC-PK_1$ cells. The EtOAc fraction dose-dependently increased the antioxidant protein expressions of heme oxygenase 1 (HO-1) and thioredoxin reductase 1 (TrxR1) known to be involved in oxidative stress, through activation of Nrf-2. The treatment of EtOAc fraction ($100{\mu}g/mL$) led to the elevation of the high expression of Nrf-2-dependent factor such as HO-1 and TrxR1.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EtOAc fraction of P. japonicus showed high antioxidant activity by regulation of Nrf-2 signaling pathway.

지의류 추출물의 구강세균에 대한 항균효과 (Antimicrobial activities of oral bacteria by lichen extracts)

  • 김은미;조민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81-91
    • /
    • 2012
  • Objectives : By investigating antimicrobial activity of natural extracts, identifying its usefulness as antibiotic material to oral bacteria. Methods : Antimicrobial activity tests of 25 natural extracts were implemented on 6 type strains alleged to cause dental caries and 10 clinical strains isolated and identified from dental caries. Results : Among medicinal plants, Coptis japonica, Scutellaria baicalensis, Dictamnus dasycarpu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Among lichens, 3 methanol extracts and 6 acetone extracts showed antimicrobial activity.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MIC) test of Usnea aurantiacoatra KoLRI 004184, an acetone extract of lichen with th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on 6 type strains involved in dental caries and 10 strains isolated from dental caries resulted as follows; Actinomyces oris 1041 $12{\mu}g/ml$, for Corynebacterium durum 3151 $13{\mu}g/ml$, for Rothia dentocariosa KCTC $3204^T$ $14{\mu}g/ml$, for R. dentocariosa 911 $15{\mu}g/ml$, for R. dentocariosa 1822 $12{\mu}g/ml$, for Lacto-bacillus casei KACC $12413^T$ $12{\mu}g/ml$, for L. acidophilus KACC $12419^T$ $16{\mu}g/ml$, for L. rhamnosus 2421 $15{\mu}g/ml$, for Streptococcus mutans KCTC $3065^T$ $15{\mu}g/ml$, for S. mutans 121 $13{\mu}g/ml$, for Streptococcus oralis 2221 $18{\mu}g/ml$, for S. salivarius KCTC 5512 $14{\mu}g/ml$, for S. salivarius 122 $12{\mu}g/ml$, for S. sanguinis KCTC $3284^T$ $14{\mu}g/ml$, for S. sanguinis 912 $14{\mu}g/ml$, for Neisseria sp. KEM232 $12{\mu}g/ml$. Conclusions : Even a small amount of extract from lichen Usnea aurantiacoatra KoLRI 004184 showed very high level of antimicrobial activation against all 16 bacterial strains involved in dental caries.

참그물 바탕말 추출물에 의한 Wnt/${\beta}$-Catenin 신호전달체계 저해 (Inhibition of Wnt/${\beta}$-Catenin Pathway by Dictyota dichotoma Extract)

  • 조문주;오상택
    • 한국해양바이오학회지
    • /
    • 제1권4호
    • /
    • pp.305-310
    • /
    • 2006
  • Wnt/${\beta}$-catenin 신호전달계의 비정상적인 활성화는 ${\beta}$-catenin response transcription (CRT)를 증가시킬 뿐 아니라 대장암의 발생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따라서 Wnt/${\beta}$-catenin 신호전달계는 대장암에 대한 항암제 개발 및 대장암 치료에 중요한 표적이 된다. 본 연구에서는 세포기반 초고속 스크리닝 기법을 사용하여 Wnt/${\beta}$-catenin 신호를 저해하는 참그물 바탕말 추출물을 발굴하였다. 참그물 바탕말 추출물은 세포내 ${\beta}$-catenin 단백질 수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며 ${\beta}$-catenin/TCF에 의해 조절되는 유전자 중의 하나인 cyclin D1의 발현을 저해하였다. 또한 참그물 바탕말 추출물은 다양한 대장암의 증식을 저해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들로부터 참그물 바탕말 추출물이 잠재적으로 대장암을 포함하는 새로운 암 예방 및 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Caspase-3을 경유한 동충하초 자실체 유래 4-Acetyl-12, 13-epoxyl-9-trichothecene-3, 15-diol의 방광암 세포주(NBT-II) Apoptosis (Apoptosis of 4-Acetyl-12, 13-epoxyl-9-trichothecene-3, 15-diol isolated from the fruiting bodies of Isaria japonica Yasuda via Caspase-3 in Bladder cancer Cell line (NBT-II))

  • 김형진;장선일;오기수;홍경환;김윤철;배현옥;윤용갑;정헌택;권태오
    • 대한한의학방제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213-223
    • /
    • 2002
  • The fruiting bodies of Isaria japonica have been traditionally used in Korea to treat cancer. An apoptosis-inducing compound, 4-Acetyl-12, 13-epoxyl -9-trichothecene-3, I5-diol (AETD), was isolated from the methanol extract of fruiting bodies of Isaria japonica Yasuda by bioassay -guided fractionation. The apoptosis of murine bladder cancer cell line (NBT-Ⅱ) by the compound was accessed by propidium iodide staining flow cytometric analysis, and apoptosis-inducing activity at $IC_{50}$ concentration (5 nmol/L) was further confirmed by a nuclear morphological change, a ladder pattern of DNA fragmentation, and an activation of caspase-3. These results indicate that AETD induces apoptosis of NBT-Ⅱ cells via expression of caspase-3.

  • PDF

치환 피리딘 존재하에서의 염화아렌 슬포닐의 가메탄올 분해반응의 속도론적 연구 (Kinetics of Methanolysis of Arenesulfonyl Chloride in the Presence of Pyridines)

  • 김형태;이익춘;임명수
    • 대한화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468-476
    • /
    • 1989
  • 여러가지 피리딘 존재하에서 1-염화안트라센술포닐(1-ASC) 및 3-페난트렌술포닐(3-PSC)이 메탄올 속에서 각각 일으키는 반응의 메카니즘을 속도론적으로 논의하였다. 이들 반응에 대한 Bronsted계수(${\beta}$)는 $20^{\circ}C$에서 1-ASC : 0.55, 3-PSC : 0.43였고 Hammett 반응상수(${\rho}$ 온도에서 1-ASC : -3.5, 3-PSC : -2.6이었다. 두 반응계에 대한 반응성-선택성 원리를 검토한 결과, 등선택성 온도는 $34.3^{\circ}C$였으며 이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이 원리가 성립하지 않음을 알았다. 활성화 파라미터와 함께 위의 결과로부터 이들 반응은 속도 결정단계에서 synchronous $S_n2$메카니즘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결론 지어졌다.

  • PDF

손바닥 선인장 분말로부터 추출된 항균물질의 특성 (Identification of Anti-Microbial Material Originated from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 김해남;조대원;윤웅찬;전홍기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7호통권87호
    • /
    • pp.915-922
    • /
    • 2007
  • 본 연구자들은 동${\cdot}$서양에서 오랫동안 민간요법으로 사용되어져 왔고, 문헌에도 약리적인 작용이 기록되어 있는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 (손바닥 선인장, 백년초) 줄기 분말을 사용하여 항균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줄기 분말을 황산으로 가수분해 처리한 후 메탄올, 메틸클로라이드,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하였다. 용매추출물 가운데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의 경우 가장 탁월한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생리활성 물질을 분리 분석하기 위하여 조제용 TLC를 이용하여 산 가수분해 추출물로부터 7개의 분획물을 분리하였다. 7개 분획물 가운데 가장 광범위한 항균활성을 나타내는 유효 분획물로 분리된 것을 MBT-01108이라 명명하였다. 산가수분해로 추출된 분획물 MBT-01108을 구조 분석한 결과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이 levulinic acid임을 밝혀냈다. Opuntia ficus-indica var. Saboten Makino로부터 분리된 levulinic acid는 식품 또는 화장품의 천연 보존제로써 사용가능하리라 판단되며, 또한, 세균성 질병예방, 여드름, 노화 예방, 미백 화장품 성분, 그리고 항생제로도 사용 가능한 물질임을 밝혀냈다.

In-Jin-Ho-Tang as a potential anti-cancer drug by induction of apoptosis in HepG2 cells

  • Yun, Hyun-Jeong;Heo, Sook-Kyoung;Park, Won-Hwan;Park, Sun-Dong
    • Advances in Traditional Medicine
    • /
    • 제9권2호
    • /
    • pp.106-114
    • /
    • 2009
  • Hepatocellular carcinoma is the world's most common primary malignant tumor of the liver. In-Jin-ho-Tang (IJHT)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Chinese herbal medicine since ancient times, and today it is widely used as a medication for jaundice associated with inflammation of the liver. In-Jin-Ho-Tang is a drug preparation consisting of three herbs: Artemisiae Capillaris Herba (Artemisia capillaries $T_{HUNS}$, Injinho in Korean), Gardeniae Fructus (Gardenia jasminodes $E_{LLIS}$, Chija in Korean) and Rhei radix et rhizoma (Rheum palmatum L., Daehwang in Korean). This study investigated whether or not methanol extract of IJHT could induce HepG2 cancer cell death. Cytotoxic activity of IJHT on HepG2 cells was measured using an XTT assay, with an $IC_{50}$ value of $700{\mu}g/ml$ at 24 h Apoptosis induction by IJHT in HepG2 cells was verified by the cleavage of poly ADP-ribose polymerase, and a decrease in procaspase-3, -8, -9. Treatment of IJHT resulted in the release of cytochrome c into cytosol, loss of mitochondrial membrane potential (${\Delta}{\Psi}_m$), decrease in anti-apoptotic Bcl-2, and an increase in pro-apoptotic Bax expression. Thus, IJHT induced apoptosis in HepG2 cells via activation of caspase and mitochondria pathwa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IJHT has potential as an anti-cancer agent.

고체 산 촉매를 이용한 고산가 음폐유의 에스테르화 반응 동역학 연구 및 반응 최적화 (Kinetics of esterification of food waste oil by solid acid catalyst and reaction optimization)

  • 이화성;이준표;이진석;김덕근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683-693
    • /
    • 2017
  • 지구 온난화, 석유 고갈, 환경 오염에 대한 방안으로 수송부문에서 국제적으로 바이오연료에 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 바이오디젤은 이산화탄소 감소 효과와 인체에 무해하며 세탄가가 높아 석유디젤을 대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국내 바이오디젤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원료부족으로 인해 수입의존도가 커지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현재 사용되지 않는 음폐유(약 33 % 유리지방산 함유)를 Amberlyst-15촉매를 이용한 에스테르화 반응을 통해 바이오디젤 원료로서 활용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다양한 반응 조건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한 실험을 수행한 결과 반응온도 383 K에서 97.62 %의 전환율을 얻었으며, 반응속도는 353 K에서 373 K로 증가 할 때 최대 1.99 배까지 상승하였다. 또한 동역학적 결과를 이용하여 29.75 kJ/mol의 활성화 에너지를 확인하여 선행연구에서 연구된 타 고체촉매에 비해 에스테르화반응에 Amberlyst-15 더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메탄올 몰 비가 증가함에 따라 최대 91.43 %의 반응 전환율을 확인하였고, 촉매량 영향의 경우 0 wt%에서 20 wt%까지 증가시킨 결과 반응 전환율이 43.78 %에서 94.62 %까지, 초기 반응 속도는 1.1~1.4 배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교반속도의 경우 100~900 rpm의 조건에 따라 실험을 수행하였으나 반응 전환율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음을 확인하였고 반응 시간에 따른 영향의 경우 240 분 까지 산가 감소를 보이다가 300 분이 지나면서부터 산가가 상승하는 결과를 가져왔다. 그리고 위 실험들을 통해 도출된 최적 조건을 적용하여 음폐유 에스테르화 반응에 적용하였고 그 결과 반응시간 60 분에서 음폐유와 모사 폐유지간의 13 %의 반응 전환율 차이를 보였으나 최종 240 분 반응 전환율은 모사 폐유지 98.12 %, 음폐유는 97.62 %로 거의 유사한 결과를 얻었다.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에 있어서 Zanthoxylum schinifolium 줄기의 methylene chloride 추출물에 의해 유도되는 세포자살기전 규명 (Apoptosis of Human Jurkat T Cells Induced by the Methylene Chloride Extract from the Stems of Zanthoxylum schinifolium is Associated with Intrinsic Mitochondria-Dependent Activation of Caspase Pathway)

  • 전도연;우미희;박해선;김준석;이인구;김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1호
    • /
    • pp.1499-1506
    • /
    • 2008
  • 식용 및 약용으로 이용되는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의 줄기로부터 항암활성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산초 줄기를 유기용매로 추출하고 각 추출물의 인체 급성백혈병 암세포에 대한 독성 및 세포자살 유도 활성을 조사하였다. Methanol (SS-7), methylene chloride (SS-8), ethyl acetate (SS-9), n-butanol (SS-10)로 추출한 각 시료와 유기용매 추출 후 잔여분획 (SL-14)의 세포 독성을 인체 급성백혈병 Jurkat T 세포주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암세포에 대한 세포독성이 주로 methylene chloride 추출분획인 (SS-8)에서 확인되었다. Methylene chloride 추출물 (SS-8)의 Jurkat T 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의 기전은 mitochondria로부터cytochrome c 방출, caspase-9 및 caspase-3의 활성화, PARP 분해, internucleosomal DNA fragmentation 등의 일련의 생화학적 반응을 수반하며, 항 세포자살단백질인 Bcl-xL단백질의 과발현에 의해 억제되는 세포자살 기전임을 확인하였다. FADD가 disruption된 Jurkat T cell clone I2.1 ($FADD^{-/-}$) 및 caspase-8가 결핍된 Jurkat T cell clone I9.2 (caspase-$8^{-/-}$)와 함께 the wild-type Jurkat T cell clone A3에 미치는 SS-8의 세포독성작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wild-type Jurkat A3, FADD-deficient Jurkat clone I2.1및 caspase-8-deficient Jurkat clone I9.2 모두는 SS-8의 세포독성에 대해 유사한 정도의 감수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SS-8에 의해 유도되는 apoptosis에 있어서, Fas/FasL system이 관계되지 않음을 시사한다. 한편, SS-8를 GC-MS 분석하여, 9,12-octadecanoic acid (18.62%), 2,4-dihydro-5-methyl-4-(1-methylethylidene)-2-(4-nitrophenyl)- 3H-pyrazol-3-one (14.97%), hexadecanoic acid (14.23%), (z,z)-6,9-pentadecadien-1-ol (13.73%), 5,6-dimethoxy- 2-methyl benzofuran (10.95%), 그리고 4-methoxy-2-methylcinnamic acid (5.38%) 등을 포함한 16가지의 구성 성분과 그 조성비를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산초 줄기에 함유된 항암 활성에 대한 규명과 이해를 증진시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