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static adenocarcinoma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2초

직장암 유래 전이성 구강 암종의 진단예 (A Case of Metastatic Oral Carcinoma from Rectal Cancer)

  • 신금백;강기현;채규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2호
    • /
    • pp.171-179
    • /
    • 1999
  • 최근 저자들은 좌측 안검하수, 안면마비, 좌측 협궁부의 부종 및 안모비대칭을 호소하는 49세 한국 여성 환자로부터, 임상적으로 우측 하악지 부위에서의 융기성 경결성 병소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감별진단을 위해 (1) 문진상 직장 선암(直腸 腺癌)에 대한 과거 수술병력 소견, (2)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사진상 우측 하악지 전내방에서의 비교적 균질한 괴(塊)의 존재와 이것에 의한 우측 하악지 내측 피질골의 파괴, 또한 경사대(傾斜臺)를 중심으로 뇌실질 조직에 비해 약간 고밀도를 보이는 불규칙한 괴(塊)의 존재와 이것에 의한 접형동(蝶形洞)과 주변 골 및 좌측 상악골의 파괴, 그리고 전신 골스캔상 비강 부위와 좌측 상악골 부위에서의 hot spot의 존재, 그리고 후전방 흉부 일반방사선촬영사진상 전폐야에 걸친 다양한 크기의 수 많은 결절의 산재를 나타낸 영상화 검사 소견, (3) 과거 전신병력 추적 소견상 간 우엽에서의 중심부에 hyperechoic focus를 가진 과녁 모양의 경계가 양호한 괴(塊)의 존재를 나타낸 간부위 초음파 검사 소견을 채득한 후 이들 자료를 종합, 분석, 평가한 결과, 과거 전신병력상의 원발성 직장 선암의 원격 전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영상화 검사에서 관찰된 우측 하악지 내측 피질골의 파괴상 및 좌측 상악골의 파괴상 역시 원발성 직장 선암의 원격 전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환자들에 대한임상적 고찰 (Clinical Features in Patients with Amylase-Rich Pleural Effusion)

  • 이기동;신민기;이강완;조유지;김호철;황영실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54권5호
    • /
    • pp.563-569
    • /
    • 2003
  • 목적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된 경우에는 많은 원인 질환들이 있으며, 흔한 원인으로 췌장 질환과 식도 파열, 악성 질환 등이 있다. 여러 연구자들에 의하면 악성 질환이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하는 가장 흔한 원인이라고 보고되었다. 이처럼 다양한 원인 질환들과 아밀라제가 증가되어 있는 흉막 삼출액 사이의 여러 임상적인 면에 관한 국내의 보고는 아직 없는 실정이다. 방법 : 이에 연구자는 1998년 1월부터 2002년 8월까지 경상대학 병원에 내원한 흉막 삼출액 환자들 중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가 증가된 36명의 환자들을 대상으로 각 경우의 아밀라제 수치, 원인 질환, 악성 흉막액에서의 조직학적 세포 유형, 그리고 악성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결과 : 흉막 삼출액에서 아밀라제가 증가한 환자 36명의 평균 연령은 57.2세(범위 32~73)였으며 50대와 60대가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원인 질환별분포는 악성 질환 18명, 부폐렴 흉막 삼출액 8명, 췌장 질환 7명, 기타 질환 3명이었다. 췌장 질환의 경우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원인에 의한 경우보다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악성 질환이 원인인 18예 중 원발성 폐암이 13예, 전이성 암이 5예있었고 조직학적 세포 유형은 선암 10예, 편평상피 세포암 2예, 세포 유형이 확실치 않은 6예가 있었으며 선암에서 흉막액의 아밀라제 농도는 다른 세포 유형의 암종에 비해 높게 측정되었다(p<0.01). 아밀라제가 증가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간의 연관성은 없었다. 결론 : 본 연구의 결과 흉막 삼출액의 아밀라제가 증가한 원인 질환은 종전의 연구와 차이가 없었고, 그 원인으로 악성 질환에 의한 경우가 가장 많으며, 이중 원발성 폐암과 선암종이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고 또한 선암에서 아밀라제 농도가 높았다. 아밀라제가 증가된 악성 흉막액에서 아밀라제 농도와 포도당 농도와의 관계는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간외 담관계암의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의 병용요법 (External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Hyperthermia in the Carcinoma of Extrahepatic Biliary System)

  • 배훈식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10권1호
    • /
    • pp.49-58
    • /
    • 1992
  • 1986년 1월부터 1990년 9월까지 7예의 간외담도계 암 환자를 대상으로 외부 방사선치료와 온열치료를 병행하였다. 7예중 3예는 간외담도암으로 이중 2예는 원발성 담도암 이었고 1예는 위암에서 담도주위로 전이된 암이었다. 7예중 나머지 4예는 담낭암으로 이중 2예는 담낭 절제후 국소적으로 재발된 암이었고 나머지 2예는 원발성 담낭암 이었다. 그리고 7예는 모두 선암으로 확인 되었다. 조사된 방사선의 양은 3000 cGy/2주 조사한 1예를 제외하고 6예에서는 $4500\~5040\;cGY/6\~7$주 조사되었다. 온열치료는 모든 환자에서 방사선치료후 30분 이내에 시행되었으며 방사선치료 기간동안 주 1회 내지 2회씩 총 4회에서 12회까지 시행되었다. 치료효과의 판정은 T-관 T-관 담도촬영술. PTC, 그리고 CT등의 소견으로 하였으며 7예중 6예($86\%$)에서 부분관해를 보였으며 완전관해는 없었다. 7예중 6예는 4개월에서 11개월 애내 사망하였으며 나머지 1예는 현재 11개월째 생존하고 있으나 치료부위 밖에서 국소전이가 관찰되었다. 그리고 7예환자의 정중생존기간은 7개월이었다. 사망환자 6예의 사망원인으로는 원발성 담도암환자 1예에서 폐혈증, 전이성 담도암환자에서 원격 전이, 나머지 4예에서는 원발병소의 진행이 확인되었다. 관찰기간이 짧았으나 모든 환자에서 치료에 잘 적응하였으며 간, 십이지장, 위내의 합병증은 없었고 전이성 담도암 환자에서 일과성 카보닐산혈증이 관찰되었다.

  • PDF

Phase II Study of Pemetrexed as Second or Third Line Combined Chemotherapy in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

  • Wu, Xue-Yan;Huang, Xin-En;You, Shan-Xi;Lu, Yan-Yan;Cao, Jie;Liu, Jin;Xiang, Jin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제14권3호
    • /
    • pp.2019-2022
    • /
    • 2013
  • Purpose: To investigate the safety and efficacy of pemetrexed combined with chemotherapy as second or third line in patients with stage IV colorectal cancer (CRC). Patients and Methods: This trial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and safety of pemetrexed given to patients with recurrent or metastatic colorectal carcinoma who previously received 5-FU-based chemotherapy. All patients were required to have a histological diagnosis of colorectal adenocarcinoma with measurable metastatic disease and prior chemotherapy. Patients received pemetrexed at a dose of 500 $mg/m^2$ by 10 minute infusion on day 1, repeated every 21 days. Doses were modified depending on nadir counts. Combined chemotherapy included Oxaliplatin, Irinotecan and cis-platinum. Results: Thirty patients were enrolled and twenty-nine were evaluable for response. One patient did not have repeat radiological testing to determine response because he went off study after only one cycle of treatment for economic reasons. For 29 evaluable patients, 1 partial response, 6 stable disease and 22 progressive disease were recorded. Response rate was 3.45% (1/29). All responses occurred in patients receiving a starting dose of pemetrexed 500 $mg/m^2$. Median time to progression for all eligible patients was 2.5 months. The most common toxicities experienced were mild to moderate fever, hepatic damage, myelosuppression, nausea, vomiting, constipation, abdominal pain, diarrhea, and skin rash. Conclusion: Pemetrexed at 500 $mg/m^2$ given every three weeks combined with chemotherapy is associated with moderate response and good tolerability in patients with stage IV CRC.

위 점막암에 동반된 간전이 1예 (Early Gastric Mucosal Cancer Associated with Synchronous Liver Metastasis)

  • 봉성준;전경화;진형민;조현민;원용성;박우배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4권4호
    • /
    • pp.277-281
    • /
    • 2004
  • 조기위암은 림프절 전이에 상관없이 위점막이나 점막하층까지 암이 국한된 것으로 정의된다. 진행성 위암에 동반된 간전이율은 $5\~12\%$이나 조기위암에 동반된 간전이는 드물다. 64세 여자 환자나 상복부 통증을 주소로 성빈센트 병원에 내원하여 시행한 위내시경 검사에서 위전정부에 폴립형 종괴가 있었으나 간전이 소견은 없었다. 수술 시 간에 단일 전이가 발견되었으며, 2군 림프절을 포함하여 원위부 아전절제술과 전이된 간이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조직검사에서 위전정부의 종괴는 선종의 일부에 선암성 변화가 있었고 이는 위점막에 국한되어 있었으며, 절제된 간은 선암의 소견을 보였다. 저자들은 조기위암에 동반된 간전이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소세포 폐암에서의 위 전이 2예 (Two Cases of Gastric Metastasis from Small Cell Lung Cancer)

  • 유광하;김형중;안철민;이세준;김성규;이원영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6권2호
    • /
    • pp.273-280
    • /
    • 1999
  • 저자들은 소세포 폐암으로 확진된 환자에서 오심 구토 혈변등 위장관 증상을 호소하여 상부 위 내시경 검사 및 조직 생검을 시행하여 위장으로의 전이를 확인한 2 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악성 단계별 인간 전립선 암세포에서 라미닌에 의한 metallothionein 유전자 발현유도 현상 연구 (Induction of Metallothionein Gene by Laminin in Normal and Malignant Human Prostate Epithelial Cells)

  • 옥미선;차희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529-533
    • /
    • 2011
  •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HSG 및 PC-12에서는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었지만 반면 분화 역량을 지니지 않은 암세포인 유방암(MDA-231, MDA-435) 세포와 전립선 암인 PC-3 세포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가 MT 유전자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라미닌-1에 의해 분화가 유도되는 현상 및 이에 따른 MT 유전자의 발현증가가 암의 전이 능력 및 악성화와 관계가 있는지를 관찰하기 위해 정상에서부터 전이 및 악성 정도가 다른 5가지 종류의 전립선 암을 대상으로 라미닌-1에 의한 MT 유전자의 발현 변화를 관찰한 결과 정상적인 전립선 외피세포인 RWPE-1과 전이 및 악성화가 낮은 WPE1-NA22의 경우 라미닌-1에 의해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였으며, 악성화 정도가 높은 WPE1-NB14, WPE1-NB11, 및 WPE1-NB26에서는 라미닌-1의 처리에도 MT 유전자의 발현이 증가하지 않는 것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라미닌-1은 정상 세포의 분화를 유도하며 이에 따라 MT 유전자를 유도하며 분화가 유도되지 않는 악성 암에서는 MT 유전자의 발현이 유도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Performances of Prognostic Models in Stratifying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Receiving First-line Chemotherapy: a Validation Study in a Chinese Cohort

  • Xu, Hui;Zhang, Xiaopeng;Wu, Zhijun;Feng, Ying;Zhang, Cheng;Xie, Minmin;Yang, Yahui;Zhang, Yi;Feng, Chong;Ma, Tai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3호
    • /
    • pp.268-278
    • /
    • 2021
  • Purpose: While several prognostic models for the stratification of death risk have been developed for patients with advanced gastric cancer receiving first-line chemotherapy, they have seldom been tested in the Chinese popula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erformance of these models and identified the optimal tools for Chinese patients. Materials and Methods: Patients diagnosed with metastatic or recurrent gastric adenocarcinoma who received first-line chemotherapy were eligible for inclusion in the validation cohort. Their clinical data and survival outcomes were retrieved and documented. Time-dependent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and calibration curves were used to evaluate the predictive ability of the models. Kaplan-Meier curves were plotted for patients in different risk groups divided by 7 published stratification tools. Log-rank tests with pairwise comparisons were used to compare survival differences. Results: The analysis included a total of 346 patients with metastatic or recurrent disease. The median overall survival time was 11.9 months. The patients were different into different risk groups according to the prognostic stratification models, which showed variability in distinguishing mortality risk in these patients. The model proposed by Kim et al. showed relative higher predicting abilities compared to the other models, with the highest χ2 (25.8) value in log-rank tests across subgroups, and areas under the curve values at 6, 12, and 24 months of 0.65 (95% confidence interval [CI]: 0.59-0.72), 0.60 (0.54-0.65), and 0.63 (0.56-0.69), respectively. Conclusions: Among existing prognostic tools, the models constructed by Kim et al., which incorporated performance status score, neutrophil-to-lymphocyte ratio, alkaline phosphatase, albumin, and tumor differentiation, were more effective in stratifying Chinese patients with gastric cancer receiving first-line chemotherapy.

Oncologic Feasibility of Proximal Gastrectomy in Upper Third Advanced Gastric and Esophagogastric Junctional Cancer

  • Yun, Won-Gun;Lim, Myung-Hoon;Kim, Sarah;Kim, Sa-Hong;Park, Ji-Hyeon;Kong, Seong-Ho;Park, Do Joong;Lee, Hyuk-Joon;Yang, Han-Kwa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21권2호
    • /
    • pp.169-178
    • /
    • 2021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ncologic safety and identify potential candidates for proximal gastrectomy (PG) in upper third advanced gastric cancer (AGC) and esophagogastric junction (EGJ) cancers. Materials and Methods: Among 5,665 patients who underwent gastrectomy for gastric adenocarcinoma between January 2011 and December 2017, 327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gastrectomy with standard lymph node (LN) dissection for upper third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s were enrolled. We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tastatic rates of distal LNs (No. 4d, 5, 6, and 12a) around the lower part of the stomach and the clinic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We identified subgroups with no metastasis to the distal LNs. Results: The metastatic rate of distal LNs in proximal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s was 7.0% (23 of 327 patients). On multivariate analysis, pathological T stage (P=0.001), tumor size (P=0.043), and middle third invasion (P=0.003)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distal LN metastases. Pathological 'T2 stage' (n=88), or 'T3 stage with ≤5 cm tumor size' (n=87) showed no metastasis in distal LNs, regardless of middle third invasion. Pathological T3 stage with tumor size > 5 cm (n=61) and T4 stage (n=91) had metastasis in the distal LNs. Conclusions: In the upper third AGC and Siewert type II EGJ cancer, pathological T2 and small-sized T3 stage groups are possible candidates for PG in cases without distal LN metastasis. Further validation studies are required for clinical application.

Metastatic tumors to the pancreas: Balancing clinical impression with cytology findings

  • Mohamed A. Abdallah;Kimberlee Bohy;Ashwani Singal;Chencheng Xie;Bhaveshkumar Patel;Morgan E. Nelson;Jonathan Bleeker;Ryan Askeland;Ammar Abdullah;Khalil Aloreidi;Muslim Atiq
    • 한국간담췌외과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91-97
    • /
    • 2022
  • Backgrounds/Aims: Metastatic lesions of the pancreas (PMET) account for 1%-5% of all malignant solid pancreatic lesions (SPL).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utility of endoscopic ultrasonography with fine needle aspiration (EUS-FNA) in diagnosing PMET.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EUS-FNA at a community referral center between 2011-2017 for SPL were identified. Clinical, radiologic, and EUS-FNA features of those with PMET were compared to those with primary solid tumors of the pancreas: pancreatic adenocarcinoma (PDAC) and neuroendocrine tumors (PNET). Results: A total of 191 patients were diagnosed with solid pancreatic malignancy using EUS-FNA: 156 PDAC, 27 PNET, and eight (4.2%) had PMET. Patients with PMET were less likely to have abdominal pain (25.0% vs. 76.3% vs. 48.2%; p < 0.01) or obstructive jaundice (37.5% vs. 58.3% vs. 0%; p < 0.01) compared to PDAC and PNET. Those with PMET were more likely to have mass lesions with/without biliary or pancreatic ductal dilatations (100% vs. 86.5% vs. 85.2%; p < 0.01) and lower CA19-9 (82.5 ± 43.21 U/mL vs. 4,639.30 ± 11,489.68 U/mL vs. 10.50 ± 10.89 U/mL; p < 0.01) compared to PDAC and PNET. Endosonographic features were similar among all groups. Seven (87.5%) patients with PMET had a personal history of malignancy prior to PMET diagnosis. The primary malignancy was renal cell carcinoma in five PMET. Conclusions: PMET are exceedingly rare, comprising less than 5% of SLP. Patients with PMET are less likely to present with symptoms and mostly identified by surveillance imaging for the primary malignanc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