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ercaria

검색결과 126건 처리시간 0.036초

폐흡충 피낭유충 조직에 있어서 특정항원성 단백질의 분포 (The Localization of the Specific Antigenic Protein in the Tissue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 김수진;노태훈;주경환;임한종
    • Applied Microscopy
    • /
    • 제27권4호
    • /
    • pp.403-416
    • /
    • 1997
  • In order to observe the localization of the specific antigenic protein in the tissue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immunogoldlabeling method was applied using IgG of the dog which were infect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and IgG of rabbits which were immunized with purified 23 kDa protein from metacercaria of the Paragenimus westermani. The metacercaria worm tissues obtained from Cambaroides similis were embedded in Lowicryl HM20 medium, treated with infected and immunized IgG and protein A gold complex (particle size; 12 nm) and observed by electron microscope. In the tissue antigen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the content of excretory bladder which was highly dense electron density was constituted in the excretory bladder of the parenchymal tissue. In the metacercaria tissues antigen reacted with IgG of infected dog. Labeled gold particles distributed on the interstitial matrix of parenchymal cells, fibrous granules of parenchymal tissue and the content of excretory bladder. High antigenicity was observed on content of excretory bladder. It was found to be specifically distributed at the tissue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In the tissues antigen reacted with IgG of immunized rabbit. Labeled gold particles randomly distributed on the interstitial matrix and fibrous granules of parenchymal tissue but in the content of excretory bladder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gold particles were richly labeled. Therefore, the 23 kDa protein contained with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was found protein which was specifically constituted at the content of excretory bladder of Paragonimum westermani metacercaria. The 23 kDa protein was commonly contained from of Paragonimus westermani metacercaria to adult and showed strong antigenicity against the immunized and infected IgG.

  • PDF

참붕어내 간흡충 피낭유충의 감염률 및 분포양상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Infection Rate and Distribution Pattern of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in Pseudorasbora Parva)

  • 김기홍;이재현;주경환;이준상;임한종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14권1호
    • /
    • pp.44-53
    • /
    • 1989
  • The distribution pattern of Clonorchis sinensis metacercaria in Pseudorasvora parva population and correlation between P. parva and metacercaria of C. sinensis were studied. The surveved areas were Chomanpo and Bulamdong, Kim-Hae Gun which were endemic area of clonorchiasis, and wansa, Sa-Chon Gun, Souh Kyong-Sang Do.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areas of Chornanpo and Wansa showed high infectivity in 99-100% of infection rate and 282-308 of average infection number per-fish. But the area of Bulamdong showed relatively. low infectivity in 95.8% of infection rate and 44 of average infection number. 2) The distribution patterns of C. sinensis metacercaria in P. parva population which were collected in Chomanpo and Wansa were shown Poisson distribution and the distribution pattern in Bulamdong showed mid-pattern of shifting over from Poisson distribution to Negative binomial distribution. 3) The correlation between P. parva length and average number of C. sinensis metacercaria in the present studied areas represented as direct proportion relationship.

  • PDF

한국 서해산 가무락조개, Cyclina sinensis의 번식생태 및 기생충에 관한 연구 2. 가무락조개에서 검출된 흡충류,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에 대하여 (Studies on Reproductive Ecology and Parasite of th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on the West Coast of Korea. 2. On the Metacercaria of 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 (Trematoda) found in the Venus Clam, Cyclina sinensis)

  • 김영길;정의영;김용호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16권1_2호
    • /
    • pp.43-48
    • /
    • 2000
  • 기생충 감염에 의한 폐사와 생식세포형성 영향여부를 확인하고자 1999년 6월부터 2000년 5월까지 매월1회씩 전북 부안군 계화도와 고창군 부안면 상포 지선의 간석지에서 양식하고 있는 가무락조개를 채집하여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검출된 기생충은 극구흡충과(棘口吸蟲科, Echinostomatidae)에 속하는Himasthla kusasigi Yamaguti ,1939의 피낭유충(metacercaria)뿐이었다. 양 조사지역에서의 년 평균 기생율은 계화도 93%, 고창 상포 81%이었으며, 월간 가장 기생율이 높았던 시기를 보면 먼저 계화도는 1999년 9월 및 2000년 3, 4월에 100% 기생된 반면에 7월이 80%로 가장 낮은 기생율을 나타냈다. 고창 상포구역은 가장 높았던 달이 2000년 1월 99%, 가장 낮았던 달은 1999년 11월의 47%이었다. 조개내의 Himasthla kusasigi의 기생부위는 다리를 포함한 내장낭, 아가미, 외투막으로써 기생율은 계화도와 고창지역 각각 내장낭 76.7%, 81.3%, 아가미 19.1%. 14.5%, 외투막 5.1%, 4.2%이었다. 조개의 크기가 클수록 기생율이 높았다. Himasthla kusasigi의 피낭유충이 감염된 가무락조개 일지라도 조직학적 조사에서 아무런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 PDF

경남 태화강에서 채집된 담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의 변화 (Changing patterns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Iresh-water fish in River Taewha, Kyongnam Province)

  • 주종윤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6권4호
    • /
    • pp.263-274
    • /
    • 1988
  • 1988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경남 청주군의 서북부와 남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태백산맥의 남쪽 끝에 형성된 가지산, 신불산 등에서 기원하여, 청주군과 청주시를 외류한 후 충주호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태화강에서 투망, 낚시 등으로 담수어와 반함수어를 채집하여 어체 부위별로 각종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를 주(1980)의 조사성적과 비교하였다.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는 붕어, 꼬치동자개, 꺽지, 잉어, 몰개, 긴몰개, 파랑볼우럭, 버들치, 납지리, 모래 무지, 참붕어, 돌고기, 흰줄납줄개, 피래미, 갈겨니 및 은어의 16종이었다. 채집된 16종 어류에서 7종의 피낭유충(Clonorchis sinensis, Cyathocotyle orientalis, Echinochasmus sp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agonimus yohogawai, Exorchis oviformis 및 Metorchis orientalis)과 4종의 소속미정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인체에 기생하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7종의 담수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그 기생률은 1980년 주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높았으나, 기생정도에 있어서는 3종의 어류(꼬치동자개, 몰개, 돌고기)에서는 1980연에 비해 낮았으며, 납지리에서는 높았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률은 5종의 담수어(붕어, 몰개, 납지리, 봉치동자개, 파랑볼우럭)에서는 낮았으나, 돌고기, 피래미, 갈겨니에서는 그 율이 높았고, 은어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 정도는 1980연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은어에서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Cythocotyle orientalis, Echinochtl'smus sp., Exorchis owiformis, 및 _Metacercaria hasegawai 피낭유충의 기생율은 어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해 높았다. 비늘, 지느러미 및 꼬리에서의 피낭유충 기생율은 변동이 심하여, 비교할 수 없었으나,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기생율은 일반적으로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에 있어서 간흡충을 비롯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률은 아직도 높으나, 그 기생 정도는 1980연에 비해 어종별로 심한 변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조개류(類)에 기생(寄生)하는 흡충류(吸蟲類)에 관(關)한 연구(硏究) V. 동죽, 가무락조개 및 맛조개에서 검출(檢出)되는 극구흡충류(棘口吸蟲類)의 유충(幼蟲)에 대(對)하여 (Studies on A Trematode Parasitized on Bivalves V. On metacercaria of Echinostomatidae detected from Mactra veneriformis, Cyclina sinensis and Solen strictus)

  • 김영길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1-37
    • /
    • 1988
  • 해산이매패(海産二枚貝)의 흡충류감염종(吸蟲類感染種)과 패류(貝類)의 병해(病害)를 조사할 목적으로 서해안(西海岸) 금강하구(錦江河口) 내초도산(內草島産) 동죽, 가무락 조개 및 맛조개에서 극구흡충과(棘口吸蟲科)의 피낭유충(被囊幼蟲)을 검출(檢出)하였고, 맛조개에서 검출된 피양유충(被襄幼蟲)을 괭이갈매기에 감염(感染)시켜 16일(日)만에 성충(成蟲)을 얻었다. 1. 동죽 및 가무락조개에서는 Himasthla kusasigi의 피낭유충을 검출(檢出)하였으며, 기생율(寄生率)은 각각 70.4%, 85.7% 이었다. 2. 조직부위별(組織部位別) Himasthla kusasigi의 기생율(寄生率)은 족부(足部) 40.4%, 77.3%, 아가미 17.0%, 12.4%, 외투막 12.6%, 10.3% 순으로 기생(寄生)되었다. 3. 맛조개에서 Acanthoparyphium속(屬) 흡충(吸蟲)의 피낭유충(被囊幼蟲)을 검출(檢出)하였으며, 기생율(寄生率)은 63%, 조직부위별 기생율은 foot, mantle, gill 순(順)으로 기생(寄生) 되었다. 4. 맛조개에서 검출(檢出)된 피낭유충(幼蟲)을 괭이갈매기에 감염(感染)시켜 16일만에 성충(成蟲)을 분리하여 충체(蟲體)의 내부(內部)구조를 조사한바 Acanthoparyphium tyosenensis Yamaguti, 1938로 동정(同定) 되었다. 5. 동죽 및 가무락조개는 Himathla kusasigi의 새로운 중간숙주(中間宿主)로 추가되며, 본인(本人)(1968)등(等)이 개량조개에서 검출보고(檢出報告)한 Echinostoma속 흡충(吸蟲)은 Acanthoparyphium tyosenensis흡충(吸蟲)의 유충(幼蟲)임이 밝혀졌다.

  • PDF

간흡충(肝吸蟲)의 제이중간숙주(第二中間宿主)에 관(關)한 연구(硏究) I. 민물 새우의 metacercaria 조사(調査) 및 간흡충(肝吸蟲) cercaria의 Palaemon spp.에 대(對)한 감염시험(感染試驗) (Experimental Studies on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Clonorchis sinensis I. Survey on the metacercariae of some trematodes in fresh-water shrimps and experimental infection of Palaemon spp. with Clonorchis cercariae)

  • 이재구
    • 대한수의학회지
    • /
    • 제9권1호
    • /
    • pp.71-78
    • /
    • 1969
  • The present studies were undertaken to determine accurately whether Korean native fresh-water shrimps can serve as the second intermediate host of Clonorchis sinensis. The experimental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was not discovered in 36 Macrobranchium nipponensis (De Hann), 1992 Palaemon paucidens (De Hann) and Palaemon madestus Heller, and 860 Caridina leucastica Stimpson, collected in Kimhae district, which were digested in artificial gastric juice, using binocular dissecting microscope. 2. Cercariae of the Chinese liver fluke could not approach the body wall of young shrimps due to streaming caused by their motion. 3. Young Palaemon spp. of 247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laced in two different room aquariums, one is at high temperature, the other is normal. Then they were contacted with the cercariae. Only 11 degenerated metacercariae were found in 9 Palaemon spp. It was suggested that they had died immediately or within a few days after penetration. Furthermore the temperature did not affect the infective ratio. 4. At the field experimental aquarium, no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was discovered tn 100 Palaemon spp. which had been brought into contact with 5000 Parafossarulus manchouricus two trials. 5. Specific changes in the cercariae mixed with the extract of shrimps meat were not observed through the dissecting microscope. 6.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Korean native shrimps cannot serve as the intermediate host of Clonorchis sinensis.

  • PDF

참붕어, Pseudorasbora parva의 인두흡충, Clinostomum complanatum 피낭유충 감염증 (Infection of Clinostomum complanatum (Treamdoda: Digenea) metacercaria in cultured southern top mouthed minnow Pseudorasbora parva)

  • 정은빈;김동완;김진도;박성우
    • 한국어병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85-93
    • /
    • 2012
  • 노지 양식장에서 비단잉어와 함께 사육중인 참붕어의 미병부, 체측근, 복부 및 아가미 뚜껑 내부에 황백색의 cyst내의 metacercaria를 탈낭시켜 형태학적 및 분자생물학적으로 조사한 결과 Clinostomum complanatum으로 동정되었다. 병리조직학적으로는 상피세포의 박리와 괴사 및 cyst주변의 근섬유의 위축이외에 다른 조직의 변화는 발견되지 않았다.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Life History of Bacciger harengulae)

  • 김영길;전세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7권5호
    • /
    • pp.449-470
    • /
    • 1984
  • 서해안 금강하구의 내초도에서 1980년 7월부터 1983년 10월까지 맛조개(Solen strictus)의 생식소에 기생한 Bacciger 속 cercaria의 생활사를 구명하고자 sporocyst 및 cercaria의 형태와 발육과정, 기생률을 조사하였다. 또한 제이중간숙주 및 종숙주를 실험실에서 인공감염실험과 함께 내초도자연환경구에서 조사하여 metacercaria와 성충의 발육과정을 조사 연구한 결과 지금까지 밝혀진바 없는 Bacciger harengulae의 생활사가 구명되었다. Bacciger harengulae는 맛조개, 대합, 바지락, 띠조개가 제일중간숙주이고, 밀새우를 제이중간숙주로 하며, 종숙주는 전어, 밴댕이로 밝혀졌다. 맛조개의 생식소에 기생된 성숙한 sporocyst의 크기는 $4.0{\sim}4.3{\times}0.20{\sim}0.21$ mm이고, cercaria는 체부 $270{\times}147{\mu}m$, 미부 $270{\times}147{\mu}m$의 크기로서 꼬리 양측에 27쌍의 강모속과 1개의 강미속은 6본의 가닥으로 되어있다. cercaria의 체내에는 구흡반($52{\times}42{\mu}m$), 인두($32{\times}25{\mu}m$), 복흡반($52{\times}50{\mu}m$)과 2 개의 정소와 V자형의 배설낭이 뚜렷이 나타나며, 화염세포식은 2[(3+3)+(3+3)]=24이다. 3년에 걸쳐 맛조개에 기생하고 있는 cercaria의 평균 기생률은 $9.67\%$ 였는데, 이것은 수온의 변화와는 관계없이 연중기생된다. 기생률이 가장 높은 시기는 수온 $28.8^{\circ}C$인 7월($28.0\%$)이고, 가장 낮은 시기는 수온 $19.5^{\circ}C$인 10월($2.4\%$)이었다. 맛조개의 cercaria 기생률은 각장이 클수록 높았으며, 4.0cm 이하에서는 cercaria가 검출되지 않았다. cercaria가 성숙되는 시기는 년중 수온이 $19.5^{\circ}C$이상 상승하는 $5{\sim}10$월까지며, 수온 $19.5^{\circ}C$이하가 되면 미숙한 cercaria만이 검출된다. Cercaria는 수온 $20^{\circ}C$에서 35시간, $25^{\circ}C$에서는 29시간까지 활력이 있었으며, 생존시간은 각각 71시간, 34시간이었으나 $20^{\circ}C$이하에서는 운동력이 활발하지 못하였다. 맛조개에서 유출된 cercaria를 밀새우에 감염시킨 결과 2{\sim}3시간후에 근육에 기생하였고, 기생한 cercaria는 $7{\sim}8$시간후에 cyst를 형성하였으며, 15일이 경과되어 $420{\times}310{\mu}m$의 성숙한 metacercaria로 발육되었다. 실험실에서 수온 $20^{\circ}C$일때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17.0\%$ 이었고, $25^{\circ}C$때는 $61.0\%$의 높은 감염률을 나타냈으며, 감염된 부위는 제일복절, 두흉부, 제이, 삼, 오복절의 순으로 감염되었다. 내초도의 자연 서식장산 밀새우의 metacercaria 감염률은 수온 $26.5^{\circ}C$인 6월에 $9.6{\sim}11.11\%$, 수온 $28{\sim}29.5^{\circ}C$인 7,8월에는 $1.56{\sim}2.50\%$의 감염률을 나타냈다. metacercaria가 감염된 밀새우를 사육중인 전어에 먹인 결과, 20일후 전어의 장에서 $440{\sim}520{\times}310{\sim}360{\mu}m$의 성충으로 발육되었고, 성숙한 충난은 $20{\sim}24{\times}11{\sim}20{\mu}m$ 크기의 타원형이었다. 실험실에서 검출한 것과 동일한 성충이 내초도의 자연산 전어, 밴댕이에서도 체장과 관계없이 $87.3{\sim}100\%$(평균 $95.2\%$) 검출되었으며, 6, 7월에는 $100\%$ 검출되나, 8, 10월에는 $87.3{\sim}88.9\%$로 그 검출률이 낮아졌다. 전어에서 발육된 성충의 크기와 내부형태를 Yamaguti(1938)가 밴댕이에서 검출한 것과 비교한바, 동일하므로 이 흡충을 Bacciger harengulae로 동정하였다.

  • PDF

간흡충의 이스라엘잉어(향어)에 대한 감염실험 (Experimental Infection of Clonorchis sinensis to Cyprinus curpio nudes)

  • 이재구;김평길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21권1호
    • /
    • pp.11-18
    • /
    • 1983
  • As a part of observation on the suitability as a second intermediate host of Clonorchis sinensis, various infection experiments were tried to Cyprinus carpio nodus. The results obtained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cercariae which attempted to contact with Cyprinus carpio nodus in the water were observed under the stereomicroscope. After contact, cercariae began to separate its tails from the bodies at 4 minutes increasingly, and then the numbers ranged to 80% at 13 minutes after the encounter. But very few cercariae could actually invade into the epidermis of the fish. 2. When Cyprinus carpio nudes were exposed to a number of cercariae in the beaker, only a few cercariae could invade through the epidermis. Most of the invaded cercariae were killed before forming the cyst. Also rare encysted cercariae were found to be dead within 48 hours. 3. Cyprinus carpio nudes were reared with Parafossarulus manchouricus shedding numerous cercariae in the indoor aquarium. When observed after 12 days, to determine the susceptibility, no metacercaria was found infected. 4. Cyprinus carpio nudum were reared with Parafossarulus manchouricus shedding numerous cercariae in Kimhae lake for 2 months in summer of 1982, in order to check the natural infection. No metacercaria of Clonorchis sinensis was found from the fish. 5. In the cases of control fish, Pseudoraibora larva, numerous cercariae were inspected on the course of invasion through epidermis of the fish under the stereomicroscope. And many metacercariae were also found from the Ssh whenever they were kept in beaker, indoor aquarium, or the lake for natural infection. The results suggested that Cyprinus carpio kudus might not be proper intermediate host of Clonorchis sinensis.

  • PDF

감마선 조사가 요코가와흡충의 흰쥐 내 생존 및 발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amma-irradiation on the survival and development of Metagonimus yokogawai metacercariae in rats)

  • 채종일;김상준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33권4호
    • /
    • pp.297-304
    • /
    • 1995
  • 요코가와흡충증에 대한 관리책 모색의 일환으로 감마선 조사의 효용성을 관찰하고자 이 연구를 시행하였다. 은어 근육 내에 있는 요코가와흡충의 피낭유충(은어 조사군)과 근육으로부터 분리시킨 피낭유충(피낭유충 조사군)에 감마선을 조사하여 각 군별로 500개씩을 흰쥐에 감염시킨 후 7일째에 생존과 발육상황을 관찰하였다 피낭유충 조사군의 조사량은 5 Gy, 20 Gy, 50 Gy 및 100 Gy 이었으며, 은어에 조사한 량은 5 Gy, 50 Gy, 200 Gy 및 500 Gy로 하였다. 연구 결과, 조사량 증가에 따라 충체 회수율이 급격히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으며. 은어 조사군의 경우 같은 조사량에 서 피낭유충 조사군에 비하여 더 많은 충체가 회수되었다 피낭유충 조사군의 $LD_{50}$은 4.5 Gy, 은어 조사군은 62 Gy로 계산되었다 회수된 충체들의 형태학적 변화가 피낭유충 조사군은 100 Gy 에서. 은어조사군은 200 Gy 이상에서 인정되었으며. 변화의 예로는 고환의 발육 부진 또는 소실, 자궁내 충란수 감소 또는 소실 등을 들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은어에 200 Gy 정도를 조사한다면 요코가와흡충 피낭유층의 감염력을 소실시킬 수 있으므로 이 흡충증의 관리방법의 하나로 이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