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nging patterns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from Iresh-water fish in River Taewha, Kyongnam Province

경남 태화강에서 채집된 담수어에 있어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상의 변화

  • 주종윤 (계명대학교 의과대학 기생충학교실)
  • Published : 1988.12.01

Abstract

Recent patterns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in fresh- water and brackish-water ask were studied in three locations of the river Taewha during the period from April to October, 1988, and compared with the data reported previously in the same river, 0(16 species of fish examined, the encysted larvae of Cyathocotyle orientalis were found most frequently from 9 species of fresh.water fish. The metacercariae of Echinochasmus sp. , Metacercaria hasegawai and Metagonimus yokogawai were found from 8 species, those of Clonorchis sinensis from 7 species, and Exorchis oviformis and Metorchis orientalis from 5 species of fish. The infection rates of fish with C. sinensis metacercariae were not lower than those reported in 1980, whereas their intensity of infection was found lowered in 3 species, Ccreobagrus brevicorpus, Gnathopogon atromaculatus, and Funtungia herzi. The infection rates of 3 species of fish with M. yokogawai metacercariae were lower than the results in 1982, while the rate was higher in 2 species, Zacco platypus, and Z. temmincki, and rather stationary in Flecoglossus altivelis. The intensity of infection in several species of fish appeared rather higher than in 1980. The encysted larvae of C. orientalis, Echinochasmus sp., E. oviformis and Metacercaria hasegawai showed variations in infection rates of fish in 1980 and in the present study. It was found that the rate of infection with digenetic larval trematodes in fresh- water fish was still relatively high in the river Taewha, and the metacercarial burden in the fish varied greatly by different fish in 1980 and in the present study.

1988년 3월부터 동년 10월까지 경남 청주군의 서북부와 남서부 사이에 위치하고, 태백산맥의 남쪽 끝에 형성된 가지산, 신불산 등에서 기원하여, 청주군과 청주시를 외류한 후 충주호에 하구를 형성하고 있는 태화강에서 투망, 낚시 등으로 담수어와 반함수어를 채집하여 어체 부위별로 각종 흡충류 피낭유충의 기생상을 조사하였다. 한편 얻은 결과를 주(1980)의 조사성적과 비교하였다.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는 붕어, 꼬치동자개, 꺽지, 잉어, 몰개, 긴몰개, 파랑볼우럭, 버들치, 납지리, 모래 무지, 참붕어, 돌고기, 흰줄납줄개, 피래미, 갈겨니 및 은어의 16종이었다. 채집된 16종 어류에서 7종의 피낭유충(Clonorchis sinensis, Cyathocotyle orientalis, Echinochasmus species, Metacercaria hasegawai, Metagonimus yohogawai, Exorchis oviformis 및 Metorchis orientalis)과 4종의 소속미정 피낭유충을 검출할 수 있었다. 인체에 기생하는 간흡충의 피낭유충은 7종의 담수어에서 검출할 수 있었고, 그 기생률은 1980년 주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높았으나, 기생정도에 있어서는 3종의 어류(꼬치동자개, 몰개, 돌고기)에서는 1980연에 비해 낮았으며, 납지리에서는 높았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률은 5종의 담수어(붕어, 몰개, 납지리, 봉치동자개, 파랑볼우럭)에서는 낮았으나, 돌고기, 피래미, 갈겨니에서는 그 율이 높았고, 은어에서는 변동이 없었다.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의 기생 정도는 1980연의 조사성적에 비하여 일반적으로 증가되었으나, 은어에서는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Cythocotyle orientalis, Echinochtl'smus sp., Exorchis owiformis, 및 _Metacercaria hasegawai 피낭유충의 기생율은 어종에 따라 심한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해 높았다. 비늘, 지느러미 및 꼬리에서의 피낭유충 기생율은 변동이 심하여, 비교할 수 없었으나, 요꼬가와흡충 피낭유충 기생율은 일반적으로 1980연의 조사 성적에 비하여 높았다. 이상의 성적으로 미루어 태화강에서 채집된 어류에 있어서 간흡충을 비롯한 흡충류 피낭유충 기생률은 아직도 높으나, 그 기생 정도는 1980연에 비해 어종별로 심한 변동을 나타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