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te M2

검색결과 286건 처리시간 0.025초

이상저온 시 글루탐산 엽면 처리에 의한 배추의 ABA, 탄수화물 및 Glucosinolate 대사체 변화 (Changes in Abscisic Acid, Carbohydrate, and Glucosinolate Metabolites in Kimchi Cabbage Treated with Glutamic Acid Foliar Application under Extremely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심하선;조정수;우의정;문유현;이태연;이희주;위승환;김성겸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170-179
    • /
    • 2022
  • 글루탐산은 식물의 생장과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아미노산의 전구체이며, 저온 보호 물질로 이어지는 생합성 경로를 자극하여 저온 피해를 줄이는 생물자극제 중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저온 스트레스 조건에서 글루탐산 엽면 처리가 배추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글루탐산 2가지 엽면시비 농도(0 및 10mg·L-1)와 3가지 주/야간 온도 수준(11/-1℃ extremely low, E; 16/4℃ moderately low, M; 21/9℃ optimal, O)을 결합하여 6개의 처리가 수행되었다. 글루탐산의 엽면 처리는 정식 후 10일에 1회살포하고, 글루탐산 처리 직후 온도 처리는 최대 4일 동안 실시하였다. 처리 4일 후, ABA, PA, DPA 및 ABA-GE 함량은 M 처리에서 Glu 0 처리보다 Glu 10 처리에서 함량이 더 높았다. Glucose 함량은 E 및 Glu 10 처리에서 가장 높은 반면(52.1mg·100g-1 dry weight), fructose 함량은 O 및 Glu 0 처리에서 함량이 가장 높았다(134.6mg·100g-1 dry weight). GLP, GBS, 4MGBS, GNBS 및 GNS 함량은 E 및 Glu 10 처리에서 모든 처리 중 가장 높았다(0.72, 2.05, 1.67, 9.40 및 0.85µmol·g-1 dry weight). 처리 2일 후 E 및 Glu 10 처리의 PA와 DPA함량에서 급격한 변화를 확인하였고, 몇몇 개별 glucosinolate 함량(GLP, GBS, 4MGBS, GNBS 및 GNS)은 저온과 글루탐산 처리에 따라 유의적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fructose는 glucose 대신 fructan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하였기 때문에 처리 4일후 E와 M처리에서 O 처리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낮은 함량을 보였다. 따라서, 저온과 글루탐산 엽면 처리에 따른 PA, DPA, glucose, fructose 및 개별glucosinolate 물질들의 변이를 확인하였지만, 저온과 글루탐산의 효과에 관한 명확한 상관관계를 평가할 수는 없었다. 배추과 작물은 호냉성 채소로서 저온에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고, 대부분 내한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토양(土壤)과 채소중(菜蔬中) Phorate(0,0-diethyl S-ethylthiomethyl phosphorithio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의 GLC분석(分析) (Determination of Phorate (0,0-diethyl S-ethylthiomethyl phosphorithioate) and its Metabolites in Soil and Vegetables by GLC)

  • 홍종욱;이해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6권2호
    • /
    • pp.104-109
    • /
    • 1983
  •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의 잔류분(殘留分) 분석방법(分析方法)을 확립(確立)코자 10% DC-200+8% Reoplex-400+2% QF-1(2 : 1 : 1, w/w/w) on Gas Chrom Q( $80{\sim}100$ mesh), $1.8m{\times}2mm$ ID, borosilicate glass column인 mixed phase column을 이용(利用), flame photometric detector가 부착(附着)된 gas chromatograph로 조사(調査)하였다. 본(本) mixed phase column은 비록 phorate와 5가지 대사산물(代謝産物)을 동시(同時)에 분리(分離)하지는 못하였으나 column온도(溫度)를 programming$(130{\sim}200^{\circ}C,\;5^{\circ}C/min)$함으로써 phoratoxon sulfoxide를 제외(除外)한 5가지 화합물(化合物)의 분리(分離)가 가능(可能)하였다(phoratoxon sulfoxide는 phoratoxon과 중첩되었음). 또는 검출감도(檢出感度)도 매우 높아 $0.05{\sim}3.15ng$범위(範圍)이었다. 한편 토양(土壤)과 채소(菜蔬)에 처리(處理)한 phorate와 그 대사산물(代謝産物)들을 methanol-acetone-benzene(1 : 1 : 1, v/v/v)으로 Soxhlet장치(裝置)에서 12시간(12時間) 추출(抽出)한 후 benzene으로 이들 화합물(化合物)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90%이상(以上)의 높은 회수율(回收率)(phoratoxon은 약(約) 84%)을 얻었다. 따라서 본(本) mixed phase column은 분리(分離)와 감도면(感度面)에서 그 성능(性能)이 우수(優秀)하여 phorate의 분해(分解)와 대사(代謝)의 연구(硏究)에 효율적(效率的)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 PDF

IPA and its precursors differently modulate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integrity of intestinal epithelial cells

  • Shamila Ismael;Catarina Rodrigues ;Gilberto Maia Santos ;Ines Castela ;Ines Barreiros-Mota ;Maria Joao Almeida ;Conceicao Calhau ;Ana Faria ;Joao Ricardo Araujo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7권4호
    • /
    • pp.616-630
    • /
    • 2023
  • BACKGROUND/OBJECTIVES: Indole-3-propionic acid (IPA) is a tryptophan-derived microbial metabolite that has been associated with protective effects against inflammatory and metabolic diseases. However, there is a lack of knowledge regarding the effects of IPA under physiological conditions and at the intestinal level. MATERIALS/METHODS: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aco-2 cells were treated for 2, 24, and/or 72 h with IPA or its precursors - indole, tryptophan, and propionate - at 1, 10, 100, 250, or 500 μM to assess cell viability, integrity, differentiation, and proliferation. RESULTS: IPA induced cell proliferation and this effect was associated with a higher expression of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 2 (ERK2) and a lower expression of c-Jun. Although indole and propionate also induced cell proliferation, this involved ERK2 and c-Jun independent mechanisms. On the other hand, both tryptophan and propionate increased cell integrity and reduced the expression of claudin-1, whereas propionate decreased cell differentiation. CONCLUSIONS: In conclusion,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IPA and its precursors distinctly contribute to the proliferation, differentiation, and barrier function properties of huma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Moreover, the pro-proliferative effect of IPA in intestinal epithelial cells was not explained by its precursors and is rather related to its whole chemical structure. Maintaining IPA at physiological levels, e.g., through IPA-producing commensal bacteria, may be important to preserve the integrity of the intestinal barrier and play an integral role in maintaining metabolic homeostasis.

Effect of optimal sodium stearoyl-2-lactylate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during the early fattening period

  • Lee, Shin Ja;Lee, Sang Suk;Kim, Eun Tae;Jeong, Jin Suk;Lee, Ji Hoon;Jeong, Joon;Park, Joong Kook;Park, Beom Young;Jeong, Ha Yeon;Ki, Kwang Seok;Kim, Chang Hyun;Lee, Sung Sil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1권9호
    • /
    • pp.1442-1448
    • /
    • 2018
  • Objectiv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and sodium stearoyl-2-lactylate (SSL) supplementation on growth performance and blood and carcass characteristics in Hanwoo steers during the early fattening period. Methods: Sixty Hanwoo steers (average body weight, $333{\pm}36.4kg$) were randomly allotted to 3 treatments, with twenty steers per treatment, and ten steers per pen with a size of $80m^2$. Dietary treatments were as follows: CON, basal diet; treatment (TRT) 0.5, 0.5% down-spec of TDN with 0.1% SSL; TRT 1.0, 1.0% down-spec of TDN with 0.1% SSL. Results: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average daily gain and feed efficiency increased with TRT 0.5 (0.85 kg and 11.68) vs CON (0.82 kg and 11.27) or TRT 1.0 (0.78 kg and 10.74), indicating that 0.1% SSL supplementation in the feed of early fattening steers may result in a saving of 0.5% TD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amongst all treatments (p>0.05) for blood metabolite concentration and blood corpuscle values, which were all within the normally accepted range for healthy steers. Conclusion: Our study suggests that a TDN 0.5% down spec with 0.1% SSL supplemented feed may be effective and profitable for the early fattening period of Hanwoo steers without causing adverse effects.

배양액의 종류 및 광질이 물냉이의 생육 및 Glucosinolate 함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fferent Nutrient Solution and Light Quality on Growth and Glucosinolate Contents of Watercress in Hydroponics)

  • 최재윤;김성진;복권정;이광야;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371-380
    • /
    • 2018
  • 배양액의 종류 및 LED를 이용한 다양한 광질 조건이 물냉이의 생장과 glucosinolates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3주간의 수경재배를 통하여 살펴보았다. 물냉이 종자를 암면배지에 파종 후 발아시켜, 2주간 육묘하였다. 유묘들은 semi-DFT 시스템에 이식하였다. 환경조절실은 주간온도 $20{\pm}1^{\circ}C$와 야간온도 $16{\pm}1^{\circ}C$, 주간습도 $65{\pm}10%$와 야간습도 $75{\pm}10%$의 범위에서 조절되었으며 16/8h 조건의 광주기와 $180{\pm}10{\mu}mol{\cdot}m^{-2}{\cdot}s^{-1}$ 광강도를 유지하였다. 배양액은 오오츠카 하우스 1A(OTS), 한국원시(HES)과 화란온실작물연구소(PBG) 배양액을 초기 EC 1.0-1.3, pH 6.2와 형광등을 광원으로 실험하였다(실험-1). 광질에 대한 생육과 glucosinolates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단색광(적색: R10, 백색: W10) 처리구와 혼합광(적청녹색: R2B1G1, 백청녹색: W2B1G1, 적색: R10, 적청색: R5B1, 적청색: R3B1)처리구를 두었다. 물냉이 지상부의 생육은 3개의 배양액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지만, 뿌리의 생체중은 HES와 비교하여 PBG와 OTS에서 13.7%와 55.1% 증가하였다. OTS 처리는 PBG와 HES 처리구에 비해 gluconasturtiin 함량이 96%, 65% 증가하였다. 백색광조건(W10)과 비교하여 적색광(R10) 처리는 초장이 101.3% 증가하였다. 청색광비율의 증가는 지상부 생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물냉이의 건물중 당 glucosinolates 함량은 R2B1G1 처리구와 비교하여 R3B1 처리구에서 144.5% 증가하였으며, W10 처리구와 비교 시, 약 70%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R3B1 처리구에서 물냉이의 생육과 총 glucosinolates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기능 제거 및 MCP 발현 형질전환 돼지의 대동맥 혈관내피세포에 CD37/CD73 발현 세포주 개발 (Development of aortic endothelial cells to express CD37 and CD73 isolated from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and MCP expressing pig)

  • 노진구;변승준;양현;옥선아;우제석;이휘철;황인설;김지윤;박상현;이주영;오건봉
    • 한국수정란이식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129-137
    • /
    • 2018
  • Acute vascular rejection has been known as a main barrier occurring in a xenograted tissue of alpha 1,3-galactosyltransferase knock-out (GalT KO) pig into a non-human primate (NHP). Adenosine which is a final metabolite following sequential hydrolysis of nucleotide by ecto-nucleotidases such as CD39 and CD73, act as a regulator of coagulation, and inflammation. Thus xenotransplantation of CD39 and CD73 expressing pig under the GalT KO background could lead to enhanced survival of recipient NHP. We constructed a human CD39 and CD73 expression cassette designed for endothelial cell-specific expression using porcine Icam2 promoter (pIcam2-hCD39/hCD73). We performed isolation of endothelial cells (pAEC) from aorta of 4 week-old GalT KO and membrane cofactor protein expressing pig ($GalT^{-MCP/-MCP}$). We were able to verify that isolated cells were endothelial-like cells using immunofluorescence staining analysis with von Willebrand factor antibody, which is well known as an endothelial maker, and tubal formation assay. To find optimal condition for efficient transfection into pAEC, we performed transfection with GFP expression vector using four programs of nucleofection, M-003, U-023, W-023 and Y-022. We were able find that the program W-023 was optimal for pAEC with regard to viability and transfection efficiency by flow cytometry and fluorescent microscopy analyses. Finally, we were able to obtain $GalT^{-MCP/-MCP}/CD39/CD73$ pAEC expressing CD39 and CD73 at levels of 33.3% and 26.8%, respectively. We suggested that pACE isolated from $GalT^{-MCP/-MCP}$ pig might be provided as a basic resource to understand biochemical and molecular mechanisms of the rejections and as an alternative donor cells to generate $GalT^{-MCP/-MCP}/CD39/CD73$ pig expressing CD39 and CD73 at endothelial cells.

식물추출 혼합제재인 phyto-extract mixture의 니트로세이션 억제능과 항산화능 분석 (Analysis of Nitrosation Inhibition and Antioxidant Effect by Phyto-Extract Mixture)

  • 김지훈;신미정;조희재;이상원;정종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656-663
    • /
    • 2001
  • 본 연구는 흡연에 의해 체내로 유입된 독성 물질들로 유발될 수 있는 폐암을 비롯한 각종 질병 기전을 in vitro 상에서 재현한 실험적 모델을 이용하여 8개의 식물로부터 추출한 phyto-extract mixture의 작용에 의하여, 체내 니코틴이 니트로사민으로의 전환되는 대사효율과 NNK의 활성화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in vitro 상에서 phyto-extract mixture에 의한 니트로소모폴린의 생성 억제와 CYP효소 활성 억제를 분석하였다. Phyto-extract mixture에 의한 니코틴으로부터 니트로소모폴린이 생성되는 대사 억제능 실험 결과, phyto-extract mixture(75%)는 비타민 C(64%)와 가루녹차(37%) 보다 우수한 억제 효능을 나타내므로서, phyto-extract mixture는 니코틴으로 부터 유독한 중간 대사물질이 생성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간에서 NNK 활성화에 관여하는 CYP 효소들에 대한 phyto-extract mixture의 효소 활성 억제능 분석 결과, phyto-extract mixture이 가루녹차보다 NNK로부터 발암물질이 생성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결론적으로 phyto-extract mixture는 흡연으로 체내에 유입된 니코틴이 NNK와 같은 강력한 발암 물질인 니트로사민 유도체로 전환되는 경로를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암 발생율을 효과적으로 낮출 수 있는 기능성 첨가제 혹은 식 음료로 활용될 수 있음을 in vitro 실험으로 증명하였다.

  • PDF

핵소체 단백 B23과 세포질 단백 p80의 유사성에 관한 연구 (Study of an ER bound p80 Homologous to Nucleolar B23)

  • 이혜정;윤상인;최용천;안영수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241-250
    • /
    • 1995
  • Protein B23 is one of the major nucleolar phosphoproteins associated with pre-ribosomal particles, and is localized in the granular region of the nucleolus. Recent studies suggest that protein B23 shuttles between nucleus and cytoplasm and also interacts with HIV Rev.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protein B23 is important in nucleocytoplasmic relationship and viral replication. However, the exact function of protein B23 is not clear yet. In acute nucleolar hypertrophy of rat liver, treated with thioacetamide, there was observed an increase of not only protein B23 but also B23-like protein p45 when anti-B23 monoclonal antibody (MAb) was used for identification. On the basis of the large B23 specific epitope structure composed of 68 amino acids, a hypothesis was formulated to examine that p45 is the pre-B23 resulting from excessive production of B23.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precursor of B23, we analyzed the subcellular fractions and microsomal subfractions. Subsequently, we analyzed the finger printings of B23-like proteins using the tryptic peptide mapping. The results are summarized: 1) Using B23 MAb, we observed the presence of B23-like proteins in nucleolar fraction, nucleoplasmic fraction and microsomal fraction. 2) In the further microsomal subfractionation, we could partially purify B23-like protein in 2M layer of sucrose gradient. 3) When ion exchange chromatography was employed, there were protein species 80kDa(p80), 65kDa(p65) and 60kDa(p60). 4) Based on the tryptic map analysis of $^{125}I$ labeled proteins, the similarity between B23 and p80 was found only in 9 out of 14(B23) and 21(p80) peptides, and difference was found in the remaining peptides. p80 and p60 had 18 common peptides, and all the peptides of p60 were similar to those of p80. From these results, it is proposed that p45 is an abnormal metabolite resulting from carcinogenesis by thioacetamide, and it is not the precursor of B23. In addition, we suggest that p80 may be a precursor of p45.

  • PDF

Beauveria bassiana 배양여액 분획추출물의 진딧물 살충활성 (Aphicidal Activity of Different Fraction Extracts of Culture Filtrate of Beauveria bassiana Isolate against Aphids)

  • 정가영;한지희;김정준;이상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113-124
    • /
    • 2017
  •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은 채소를 포함한 다양한 작물에 큰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이들 해충의 친환경 방제를 위해 진딧물에 병원성이 높은 곰팡이(B. bassiana) 유래 대사물질을 이용한 방제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 균주의 배양여액의 살충율은 목화진딧물에 처리 3일 후 100%, 복숭아혹진딧물에 처리 5일 후 99%였다. 이 추출물을 $CHCl_3$ : MeOH 비율을 달리하여 silica gel column chromatography 한 결과, 50:1 ($CHCl_3$ : MeOH)의 추출물 분획의 살충률이 목화진딧물과 복숭아혹진딧물에 각 80%와 75.4%로 다른 분획에 비해 현저하게 높았다. 또 각 용매비율별 추출물을 1:1로 혼합하여 처리한 결과, 분획 추출물 혼합에 의한 상승효과는 보이지 않았으며 두 진딧물에 모두 50:1 ($CHCl_3$ : MeOH) 단독처리에서 살충률(목화진딧물 77.3%, 복숭아혹진딧물 76.4%)이 가장 높았으며 50:1 + 70:1이 두 번째로 높았다(목화진딧물 72%, 복숭아혹진딧물 70.2%). 앞으로 안정적인 진딧물 방제를 위해 50:1 분획 추출물 내 진딧물 살충성 물질을 분리 동정 및 대량생산 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흰쥐를 이용한 Methidathion의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 측정 (Determination of Urinary Metabolites of Methidathion after Oral Administration and Dermal Application to Rats)

  • 민경진;김화선;차춘근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153-160
    • /
    • 2003
  • Methidation을 흰쥐에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GC/MS로 분석하였고, 투여경로에 따른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뇨 중 dialkyl phosphte의 시간별 배설량과 그 외 대사물질을 측정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유기인계 농약의 공통적인 대사물질인 dialkyl phosphtes 중 세 가지 물질인 DMP, DMTP 및 DMDTP로 동일하게 배설되었다. GC/MS로 주요조각이온을 확인한 결과 DMP는 m/z=153, 127, 109, DMTP는 m/z=198, 142, 109 그리고, DMDTP는 m/z-158, 125, 93에서 분자이온을 확인할 수 있었다.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dialkyl phosphtes의 시간별 배설량을 측정한 결과 경구투여의 경우 DMP는 12시간 이내에 79.2%, DMTP는 24시간 이내에 93.3% 그리고, DMDTP는 12시간 이내에 83.0%가 배설되었고, 피부도포의 경우 DMP는 24시간 이내에 71.1%, DMTP와 DMDTP는 48시간 이내에 각각 82.8%, 87.7%가 배설되었다. 이 결과 경구투여 한 실험에서는 48시간 이내에 뇨 중 dialkyl phosphtes가 완전히 배설되는 반면 피부도포 한 실험에서는 각 개체의 상태에 따라 대사물질들이 늦게는 168시간까지 배설이 지연됨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면, 흰쥐에 methidathion을 경구투여 및 피부도포 후 뇨 중 대사물질을 측정한 결과 dialkyl phosphate 중 DMP, DMTP로 검출되었으며, 경구 투여와 피부도포 시 뇨 중 대사물질의 차이는 없었으나, 경구투여보다 피부도포의 경우 배설이 더 지연되었다. 결론적으로, methidathion의 뇨 중 대사물질인 DMP, DMTP 및 DMDTP는 이 농약의 생체모니터링 지표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