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bolic syndrome factors

검색결과 50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성인의 김치 섭취와 대사증후군과의 상관성 : 2007~2012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분석 (Relationship between Kimchi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 Data from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s (KNHANES) 2007~2012)

  • 김현지;주세영;박채린;박유경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22권3호
    • /
    • pp.151-162
    • /
    • 201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Kimchi intake and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over 19 years old), using data from the Korean National Health &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2007~2012. A total of 30,630 participant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Metabolic syndrome was diagnosed using the NCEP ATP III criteria standards. Out of the 30,630 participants, 8,230 (23.45%) had meatabolic syndrome. When the subjects were grouped by their Kimchi intake, those who consumed a sufficient amount (36.0~82.125 g) showed a lower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P<0.001). However,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results after adjusting for sex and age, exercise status, smoking status, drinking status, energy intake, income level, occupation, area, frequency of eating-out, showed that the Kimchi intake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odds ratio of metabolic syndrome. High sodium contents of Kimchi was the major cause of various cardiovascular diseases, and was associated with the hypertension risk factors of the metabolic syndrome. However, in this study, the Kimchi intake, even after adjusting sodium intake, did not have negative influence on the development of metabolic syndrome.

아동.청소년의 대사증후군 및 대사이상 지표의 분포와 영양소 섭취 -2008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 이용-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Metabolic Abnormalities in Korea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Nutrient intakes -Using 2008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남행미;최미자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33-141
    • /
    • 2014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imate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MS), metabolic abnormalities, and nutrient intakes in Korea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from 2008. Methods: A sample of 838 children and adolescent males (n=442) and females (n=396) aged 10-18 was used from the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The diagnosis of the metabolic syndrome subjects was adapted from modified National Cholesterol Education Program-Adult Treatment Panel III by Ford. To compare nutrient intakes, we used a judgment sampling. The first group was composed of all children and adolescents (n=46) with MS. The second one along with the first group ha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the same age, sex, and body mass index (BMI) but without MS (n=46). The control group like the first two had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same sex and same age but with normal BMI and without MS (n=46). Results: In this randomized controlled controlled trial, the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was 5.8%. The risk factors was associated with the MS were abdominal obesity 9.4%, hypertriglyceridemia 25.0%, low HDL-cholesterol 10.3%, hypertension 23.4%, and hyperglycemia 7.1%. Among metabolic abnormalities, blood pressure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sex, age and obesity. On the other hand, HDL-cholesterol, triglycerides, and waist circumference were directly linked to obesity.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s among the three groups. Conclusions: The prevalence of MS was higher in children (10-11 years old) than in adolescents (12-18 years old). There was a difference in hypertension among risk factors by gender,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s.

한국 비만성인의 대사증후군 유병에 따른 내장지방지수와 인슐린저항성, 췌장 베타세포기능과의 관련성 (Relationship between Visceral Adiposity Index, Insulin Resistance and Pancreatic Beta Cell Function According to the Prevalence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Obese Adults)

  • 신경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267-276
    • /
    • 2020
  • 본 연구는 비만성인을 대상으로 대사증후군 유병에 따라 VAI와 인슐린저항성, 췌장 베타세포기능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분당지역 일개 종합병원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만 19세 이상 비만성인 1,797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대사증후군은 NCEP-ATP III의 기준에 근거하였다. 인슐린저항성 및 췌장 베타세포기능은 HOMA 지수를 이용하였다. 대조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VAI가 높았으며,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개수가 증가할수록 높은 VAI값을 보였다(각각 p<.001). 또한 VAI 사분위수가 증가함에 따라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증가하였다(p<.001). VAI는 대조군에서 HOMA-IR 및 HOMA-β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는 HOMA-IR 및 HOMA-β간에 관련이 없었다.

일부 농촌지역 주민들의 부부간 고혈압 위험요인의 일치성 (Concordance of Hypertension in Husband and Wife Living in a Rural Area)

  • 유동균;이소영;이태용;이은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3호
    • /
    • pp.634-641
    • /
    • 2009
  • 보건복지가족부 질병관리본부의 건강관리를 위한 지역 코호트사업으로 금산군 1개읍 9개면에 거주하는 만 40세이상부터 70세까지의 주민 중 본 연구에 참여의사를 밝힌 임의 추출된 총 2,007명(남: 868명, 여: 1,139명) 중 부부가 함께 조사된 297쌍(594명)을 대상으로 배우자의 고혈압 위험요인이 상대 배우자의 고혈압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고혈압 위험요인은 아내가 대사증후군이 있는 경우(OR=2.879), 현재 음주자(OR=1.892)에서 높았다. 아내 고혈압에 대한 남편의 고혈압 위험요인은 연령(OR=1.037), 비만(OR=1.922), 대사증후군(OR=4.100), 중성지방(OR=1.793)에서 높았다. 결론적으로 농촌지역 부부들에서 함께 공유하는 공간과 시간에서 고혈압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연령, 체질량지수, 대사 증후군이 중요하므로 이에 대한 관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일개 종합병원 건강검진 수진자들의 대사증후군 발생 수준과 위험요인 (The incidence of metabolic syndrome and its risk factor in who under went medical check-up in a health promotion center)

  • 천해경;이태용;권인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186-1193
    • /
    • 2012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의 위험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관리함으로써 심혈관질환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2004년부터 2008년까지 2년 간격으로 검진을 받은 동일인 1,668명을 추적 관찰하여 대사증후군의 발생 및 이의 관련 요인을 조사하기 위한 후향적 코호트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연도변화에 따른 대사증후군 발생률의 변화는 2004년을 기준으로 2006년 8.3%, 2008년 12.0%로 증가하였다. 동일기간 중 대사증후군 발생의 위험요인을 파악하고자 다중로지스틱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위험요인의 상대위험도와 95%신뢰구간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발생위험 요인으로 연령, 흡연, 총콜레스테롤, ALT, 요산 등이 유의한 변수로 선정되었다.

간호사의 대사증후군 유발 위험요인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 (The Relationship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General Hospital Nurses)

  • 박현희;이광옥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314-325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의 대사증후군 위험 요인과 건강 증진 행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료는 경기도에 있는 일 종합병원의 450명 간호사들이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다. 자료수집 기간은 2014년 10 월 6 일부터 10 월 31일까지였으며 분석은 SPSS/WIN 21.0 통계검증을 하였다.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의 대사증후군 유병률은 8.0%이었으며 건강증진행위 점수는 평균2.53점(범위 1.22~3.44)이었다. 대사증후군의 유병률이 높은 위험그룹은 나이가 26세~30세, 중환자실근무간호사, 음주를 주 1~2회하는 그룹이었다. 병원관리자는 대사증후군 유병률의 위험 개선과 예방을 위한 간호사들의 직업환경, 특히 대사증후군 유병률이 높은 위험군으로 분류된 그룹의 간호사들에게 집중관리가 이루어져야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Relationship between Meal Regularity and Oral Health and Metabolic Syndrome of Adults in Single Korean Households

  • Jung, Jin-Ah;Cheon, Hye-Won;Ju, On-Ju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3호
    • /
    • pp.185-197
    • /
    • 2021
  • Background: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meal regularity, health, and oral health habits of single Korean households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se factors on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addition to preventing and managing metabolic syndrome. Methods: Using raw data from the 8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9), 274 study subjects, aged 19 to 64, were selected primarily from single adult households. Complex sampl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Predictive Analytics Software Statistics ver. 18.0 program. Results: Regarding the meal regularity in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the younger group outperformed the middle-aged group, and those who drank more than once a month performed better than those who drank less than once a month. In terms of oral health, regardless of the age and the income level, participants who ate three meals a day had a higher rate of speech problems and chewing difficulties than those who ate irregularly or regularly on a regular day. Factors influencing the risk of developing metabolic syndrome were age, speech problems, and frequency of toothbrushing. Compared to the younger group, there were 0.361 times more people in the middle-aged group; and compared to those without speech problems, there were 1.161 more people with speech problem. Compared to those who tooth brushed more than four times a day, there were 1.284 more people who tooth brushed 2 to 3 times a day and there were 5.673 times more people who tooth brushed less than once. Conclus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implement a program that can plan and apply customized management measures and prevent metabolic syndrome by improving and correcting the health and oral health behaviors of single-person households in Korea. Therefore, active mediation measures, such as support and publicity at the local or national level, should be planned.

대사증후군 유형에 따른 건강행위 비교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s according to Types of Metabolic Syndrome)

  • 장태정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5호
    • /
    • pp.385-392
    • /
    • 2021
  • 본 연구는 대사증후군을 진단받은 대상자가 가지고 있는 진단지표와 건강행위간의 관련성을 파악함으로써 대사증후군 예방과 증진을 위한 근거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2017년 7월부터 2018년 7월까지 대전 지역 1개 대학병원과 4개의 보건소에 방문한 성인 633명이었으며, 분석방법은 SPSS/WIN 22.0 program으로 독립 t-test, ANOVA, Scheffe test, Pearson's Correlation 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의 대상자는 연령, 종교유무, 교육수준, 진단지표의 수에 따라 건강행위의 차이를 보였다. 고혈당을 기준으로 대사증후군 유형을 구분했을 때, 진단유형에 따라 건강행위 중 스트레스 관리에 차이를 보였고, 고혈당이 있는 그룹에서 고지질혈증이 건강행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대사증후군 증진을 위해 건강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할 때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중재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하다.

정상 갑상샘 기능을 보이는 성인 남성에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과의 관계 (Association between Thyroid Hormone and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 Adult Men of Normal Thyroid Function)

  • 신경아
    • 대한임상검사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24-331
    • /
    • 2015
  • 갑상샘 호르몬은 교감신경계와의 상호작용으로 세포의 에너지 대사조절 및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는 건강검진을 실시한 성인 남성을 대상으로 갑상샘 호르몬과 대사증후군 위험요인간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경기지역 일개 종합병원에서 2011년 1월부터 2013년 12월까지 건강검진센터에서 종합건강검진을 실시한 20세 이상 80세 이하의 남성 12,25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대사증후군은 American Heart Association/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 (AHA/NHLBI, 2005)에서 제시한 진단 기준에 따랐으며, 3개 이상의 위험요인을 가진 경우 대사증후군으로 진단하였다. 정상군보다 대사증후군 진단군에서 FT4가 낮았으며(p<0.001), TSH는 대사증후군 유무에 따른 차이는 없었다. 또한 FT4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 중 허리둘레,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각각 p<0.001), FT4의 가장 낮은 사분위수가 가장 높은 사분위수보다 HbA1c, 인슐린, HOMA-IR, hs-CRP 농도가 높았다(각각 p<0.001). FT4는 허리둘레, 중성지방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TSH는 대사증후군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FT4의 가장 높은 분위수의 대사증후군 발생위험이 가장 낮은 분위수보다 낮게 나타났다.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이 비만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및 대사증후군 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Walking and Behavior Modification Program on Body Composition, Physical Fitness and Metabolic Syndrome Related Factors in Obese Girls)

  • 김종원;전재영;김태운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2호
    • /
    • pp.1744-1753
    • /
    • 2007
  • 비만 여중생을 대상으로 하여 12주간 행동수정 프로그램을 포함한 걷기운동을 실시한 결과 비만 여중생의 체조성, 체력, 대사증후군의 유병률 및 대사증후군 위험인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다중선형회 귀분석 결과 체조성의 상완위팔근육둘레, 허리둘레, 신체발달지수, 체수분, 체지방량의 개선과 체력의 50m달리기 향상이 BMI, WHR, HDL-C, 공복혈당, 수축기혈압, HOMA지수를 개선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나 유산소성 걷기운동과 행동수정 프로그램에 의한 식사량조절과 식습관 변화가 비만청소년에 있어서 대사증후군에 의한 심혈관질환과 당뇨병, 심리적 우울증에 효과적인 프로그램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피험자 수가 적고, 실험기간이 짧아 실험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주의가 필요하며, 실험이후에 학생들의 지속적 운동 습관을 유지하기 위한 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