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ta-cognitive level

검색결과 43건 처리시간 0.031초

모델링 실천을 통한 과학 영재학생들의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 분석 (Analysis of the Cognitive Level of Meta-modeling Knowledge Components of Science Gifted Students Through Modeling Practice)

  • 김기향;백성혜
    • 대한화학회지
    • /
    • 제67권1호
    • /
    • pp.42-53
    • /
    • 2023
  • 본 연구는 화학교과 내용 맥락 하에서 모델링 실천을 통해 드러난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진단함으로써 메타모델링 지식과 통합된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 구성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A 과학 영재학교 2학년 재학생 16명을 대상으로 화학 교사가 변칙현상이 포함된 탐구기반 모델링을 진행하였으며, 모델의 가변성, 모델의 다중성, 모델링 과정 등 메타모델링 지식 구성요소별 인식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학생이 기록한 탐구노트와 연구자가 기록한 관찰노트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인식수준은 0단계부터 3단계까지 분류하였다. 분석 결과, 메타모델링 지식의 구성요소 중 모델링 과정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높았으며 모델의 다중성 다음으로 모델의 가변성에 대한 인식수준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모델 가변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학생들이 개념모델을 객관적 사실로 인식하는 것과 관련이 깊고, 모델 다중성에 대한 낮은 인식수준의 원인은 주어진 현상에 대해 오직 하나의 올바른 모델이 존재한다는 신념과 관련이 있다. 학생들은 개념모델을 화학기호와 같은 상징적 모델을 이용하여 정교화하였으나 모델링 전 과정에 영향을 주는 자료해석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하였다. 모델의 본성을 명시적으로 안내할 수 있는 사전활동의 도입하고, 자료해석의 중요성을 구체적 예시를 통해 안내할 필요가 있다. 다른 관점에서 제안된 모델의 수용 가능성을 고려하고 검증하는 훈련이 모델링 실천 프로그램을 통해 이루어져야 한다.

메타분석을 통한 또래교수 수업이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peer tutoring on the mathematics learning achievements and affective domain by meta-analysis)

  • 조창호;최송희;김동중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60권1호
    • /
    • pp.41-59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를 종합하는 데 있다. 이에 총 61편의 개별연구 결과를 메타분석하여, 또래교수가 학생의 수학 학업성취도와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 결과,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의 인지적·정의적 교육효과가 전반적으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짐을 확인하였다. 또한, 또래교수를 활용한 수학 수업이 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에서 학교 급, 학생 유형, 학습 장소, 수업 시간, 또래교수자 훈련 또는 사전교육 실시 유·무를 중요한 변수로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학교 수학 수업에서 또래교수의 설계와 운영에 대한 다양한 변인들을 바탕으로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안할 수 있다.

산전우울 임부를 위한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for Perinatal Depression: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신현희;신영희;김가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7권11호
    • /
    • pp.271-284
    • /
    • 2016
  • 본 연구는 임부의 산전우울에 대한 인지행동치료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연구이다. 데이터베이스는 CINAHL, PubMed, EMBASE 및 Koreamed, 국회도서관, 한국학술정보(Korean studies Information Service System, KISS), 한국의학논문데이터베이스 등 국내외 domain을 활용하였다. 검색은 ((Perinatal OR Antenatal OR Antepartum OR Pregnant) AND Depression) AND Women AND (CBT OR (Cognitive behavioral AND (Therapy OR Treatment)))와 '산전우울', '임부', '인지행동치료' 등의 검색어로 2016년 5월까지 출판된 문헌을 검토하였다. 분석은 R을 이용한 임의효과모형을 적용하여 산전우울과 불안의 효과크기를 각각 산출하였으며, 효과크기의 이질성을 검증하기위해 메타 ANOVA를 활용하여 조절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funnel plot, Egger's regression test, fail-safe N, trim-and-fill 분석을 활용한 출간오류분석과 민감성 분석을 실시하여 전체 연구 결과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총 180편의 문헌이 검색되었으며, 선택배제기준에 따라 최종적으로는 clinical trials 16편을 분석하였다. 분석에 포함된 개별문헌은 Scottish Intercollegiate Guideline Network (SIGN)의 checklist를 통해 비뚤림 위험을 평가하였으며, 대체로 비뚤림 위험은 낮았다. 연구결과 본 연구에서 중재의 산전우울에 대한 효과크기는 Hedges' g=-0.55(95% CI: -0.76~-0.33)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으며, 불안에 대한 효과크기는 Hedges' g=-0.20(95% CI: -0.48~-0.08)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문헌의 이질성, 출판오류의 위험성 등은 낮았다. 본 메타분석결과에 의하면 인지행동치료는 임신부의 산전우울 증세 완화에 보통 정도의 효과가 있음이 밝혀졌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슬기로운 생활 교과의 수업 목표 분석 (Analyse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이은영;신명경;최취임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1권1호
    • /
    • pp.1-12
    • /
    • 2012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Wise Lif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It was to extend understanding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as well. The written objectives of two curriculum of Wise Life were divided into two,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Major activity subjects presented in the 7th and the revised Wise Life 2007 were dominantly the basic inquiry activity types. It was found from this research that the 'factual' knowledge of the 'knowledge' dimension and the 'understand'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took a large proportion of the revised Wise Life 2007 objectives. The 'meta-cognitive' knowledge was increased. 'Remember' of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decreased and the high level objectives as 'analyze' and 'create', in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was increased from the 7th to the revised curriculum. The 'factual' knowledge, 'conceptual' knowledge and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engaged with 'understand' and the 'procedural' knowledge were engaged with 'apply'. The 'meta- cognitive' were engaged with 'create' is the 'procedural' knowledge in the revised Wise Life 2007. 'Remember' was decreased. 'Create' was increased in the basic inquiry activities. It was analysed in zero percent of 'Observing', 'Investigating and Presenting', and 'Making'.

간호학과 학생의 진로준비행동 영향요인: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nursing students: A systemic review and meta-analysis)

  • 김선녀;방미선;신해윤;손수경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25-237
    • /
    • 2020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review and conduct meta-analysis on factor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Methods: Related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and English were collected based on search terms and converted into a numerical database. Data extraction, quality assessment and analysis including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mpleted. Results: The review included 27 studies. There were 25 factors influenc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Korean nursing students. Factors were categorized into four sub-factors: personal, contextual, cognitive-emotional, and goal-related. In the meta-analysis of 27 articles the total effect size (ESr) was .34. The effect sizes of the four sub-factors were .37 for individual factors, .25 for situation factors, .34 for cognitive and emotional factors, and .41 for target factors. The main factors were .53 for career-related efficacy, .43 for self-leadership, and .43 for career decision level. Conclusion: Nursing students with high career-related efficacy and self-leadership are more likely to demonstrate career preparation behavior. Based on these results,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nursing students must improve students' self-leadership and career effectiveness through education so that they can set career goals.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수학학습부진학생의 인지적.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효과 메타분석 (The Effect of Cooperative Learning and Peer Tutoring Program on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 A Meta-Analysis)

  • 이형주;고호경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5권1호
    • /
    • pp.113-137
    • /
    • 2015
  • 본 연구는 수학학습부진학생 대상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이 초 중 고 학생의 인지적 정의적 영역에 주는 효과를 메타분석을 통해 체계적으로 정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을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한 선행연구 31편을 선정하여 각 논문에서 제시한 결과를 메타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수학학습부진학생을 위한 협동학습 및 또래교수 프로그램은 인지적 영역에서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특히 초등학교 급에서 큰 효과크기가 나타났고, 두 프로그램 중 또래교수의 효과크기가 매우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정의적 영역에서도 두 프로그램 모두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를 보였고, 또래교수가 협동학습 보다는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또한 학교급으로 비교해 보았을 때는 초등, 중등, 고등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으며, 정의적 영역을 세부 범주로 나타냈을 때에는 수학적 자기효능감, 수학학습태도, 수학학습흥미 순으로 효과크기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학습부진학생 지도와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국내 민간조종사-관제사의 항공영어 수용오류의 인지적 특성측정 및 평가 (An Analytic Study of the cognitive features of the Korean civilian pilot-ATC controller aviation English language use which affects job performance)

  • 신현삼
    • 대한안전경영과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81-88
    • /
    • 2007
  • This study deals with the overall meta-cognitive aspects of ATC-Pilot miscommunications pertinent to cognitive human errors based on the previous literature research which it has been focused on the issue of the global aviation English use in regard with aircraft accident and incident. Especially, it addresses the concern over the ICAO aviation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program which will be implemented globally in March, 2008. In addition, It presents the analysis related to the on-going English language proficiency level four test conducted for Korean civil airlines pilots and air traffic controllers.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에게 미치는 영향 : 체계적 고찰 및 메타분석 (Effects of the Dual-Task Training on Stroke Patients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 원경아;임승주;박혜연;박지혁
    • 재활치료과학
    • /
    • 제9권2호
    • /
    • pp.7-25
    • /
    • 2020
  • 목적 : 본 연구는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한 이중과제 훈련(Dual-task training)의 효과를 알아본 연구들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 NDSL, RISS, PubMed, CoChrane, EMBASE를 통해 지난 10년 간 국내외 학술지에 게재된 논문들을 검색하였고, 최종적으로 10개의 논문을 선정하였다. 이를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에 따른 질적평가를 시행하고, Comprehensive Meta Analysis 3.0 프로그램을 통해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과 : 선정된 10편의 논문의 질적 수준은 모두 전통적 단일계층 근거 모형의 I과 II에 해당되어 높은 편에 속했다. 이중과제 훈련을 구성하고 있는 운동과제로는 7편의 문헌에서 보행 또는 균형 과제를 선택했으며, 3편의 연구에서 상지운동 관련 과제를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이 0.65, 인지기능이 0.64로 보통(medium) 효과크기로, 하지운동 기능과 상지운동 기능은 각각 0.34와 0.22로 작은(small) 효과크기를 보였다.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과 인지기능의 효과크기만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하였다(p<0.05). 결론 : 본 연구를 통해 이중과제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활동 수행능력 및 인지기능 회복에 유용한 중재기법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국내 임상 환경에서 뇌졸중 환자에게 적절한 중재방법을 선정할 때 도움이 될 만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학습 활동 주제별 프로그래밍 교육 효과 메타분석 (A meta analysis of programming education effects according to learning activity themes)

  • 전성균;이영준
    • 컴퓨터교육학회논문지
    • /
    • 제19권2호
    • /
    • pp.21-29
    • /
    • 2016
  •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의 도입은 다양한 학습활동을 전개할 수 있도록 교육환경을 변화시켰다. 이러한 학습 활동들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지 분석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8가지 주요 학습 활동 주제별로 메타 분석 하였다. 연구 대상은 1993년부터 2015년까지 논문지에 게재된 프로그래밍 교육 논문이다. 분석 기준에 부합하는 총 44편의 논문에서 추출한 77개의 연구 자료를 선정했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에서 .595와 .594로 중간 수준의 효과 크기를 나타냈다. 인지적 영역에서는 학습 주제별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수리,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영역에서 중간 수준의 효과크기로 비교적 일관된 결과를 나타냈다. 정의적 영역에서는 학습 주제별 효과크기는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개별 연구 간에 그리고 학습 주제 간에 동질성이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첫째, 학습자들은 다양한 학습 활동 주제에 따라 학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교수자들은 시뮬레이션, 애니메이션, 수리 활동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셋째, 연구자들은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다른 요인을 찾아보는 연구가 필요하다.

Bloom의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기초한 초등학교 과학과 수업 목표 분석 (Classifications of Instructional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based on Bloom's Revised Taxonomy of Educational Objectives)

  • 김영신;이혜숙;신애경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26권5호
    • /
    • pp.570-579
    • /
    • 2007
  • Instructional objectives clearly show what teachers should teach in the class and how they lead the class, focusing on a certain activity for their students in the class. Clear instructional objectives are a prerequisite for teachers to accomplish effectively their curriculum. The revised Bloom's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been introduced in 50 years since the publication of his original taxonomy table in 1956.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of educational objectives has two-dimensions, the "cognitive process" dimension and the "knowledge" dimension, and it classifies class objectives more elaborately and clearly. This study was designed to classify instructional objectives stated in elementary science guidebooks for teachers into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and see how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were categorized by grade level and areas. In addition, this study examined how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by study area were classified into the new taxonomy table. This study classified 618 elementary science instructional objectives of third- to sixth-grade science guidebooks for teachers into Bloom's revised taxonomy tabl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objectives of elementary science classes emphasized disproportionately some of the knowledge and cognitive process dimensions. In the area of subjects while the percentages of factual knowledge were very high, those of meta-cognitive knowledge were low.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