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rchants

검색결과 278건 처리시간 0.026초

조선후기 청포와 삼승의 개념 및 용도 -청포전의 판매 물종을 중심으로- (Concept and Use for Cheongpo and Samseu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Focused on Goods of the Cheongpo-jeon Merchants-)

  • 김순영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40권5호
    • /
    • pp.855-866
    • /
    • 2016
  • This study explored the concept and use of two kinds of textiles goods (Cheongpo [blue textile] and Samseung) sold by Cheongpo-jeon merchants in the Joseon Dynasty of Korea. Research was conducted based on an analysis of relevant documents published during the Joseon Dynasty. The Cheongpo-jeon was a merchant group that predated 1637. They sold various imported goods such as Cheongpo, Samseung, cotton textiles, felts, hats, incense, and needles. Cheongpo and Samseung were the main products among these imported goods. Cheongpo was a blue cotton textile imported from China that was sold by Chengpo-jeon merchants. The Samseung sold by merchants was a kind of imported textile whose surface provided a feeling like cotton flannel. The concept of the two textiles were different from existing ideas. Generally, the Cheongpo was believed to be a hemp fabric dyed in blue and the Samseung was a textile with a density of three seung (a traditional density unit of textiles). Cheongpo was used as a currency for war supplies during the two Japanese invasions of Korea (1592 to 1598). In addition, it was also used to make military uniforms, tents, and flags after the Japanese invasion. Samseung was used in the combat uniforms of Chinese soldiers from Ming China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addition, it was continuously used to make quilted gambeson amour and some of military uniforms until the $19^{th}$ century.

통합·이설방식의 전통시장 현대화 사업에 대한 상인과 고객의 만족도 분석 - 나주목사고을시장을 사례로 (Analysis of Satisfaction of Merchants & Customers on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by Integration & Move Method of Traditional Market - in the Case of Naju Moksagoeul Market)

  • 조진상
    • 농촌계획
    • /
    • 제19권3호
    • /
    • pp.75-88
    • /
    • 2013
  • This study aims at reviewing satisfaction on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 by case study on integration & move method of 2 markets (Seongbuk 5 day market & Geumgye daily market). Following this study, it asked 182 merchants & customers at Naju Moksagoeul Market about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on integration & move and the facility modernization project of traditional markets. According to results of the survey, not only merchants but also customers are satisfied with the modernization project. But in detail, valuations between 5 days market and daily market, and between merchants and customers are different. For example, merchants regard as negative, but customers as positive about move of the markets from city to outside. About half of respondents answer that number of market visits and sales volume after move of the markets are higher than before. More than 80% of respondents answer that culture & tourism market programs are helpful to the market revitalization.

개화기의 염료와 염색업에 관한 연구 (Dyes and Dyeing in Korea, from 1876 to 1910)

  • 김순영
    • 복식
    • /
    • 제60권9호
    • /
    • pp.77-94
    • /
    • 2010
  • It was the era, from 1876 to 1910, that some dramatic changes, including an influx of foreign dyes and the beginning of the modern dyeing manufacture, happened in Korea. This paper explores what dyes were sold in the market in this period, who was the main seller of the goods, and how the dyers produced their products. A wide range of natural dye stuffs coexisted with the various kinds of aniline dyes, alizarin dye and synthetic indigo in the market. Coloring materials had been sold by hwapi-jeon, a group of official merchants who acquired a privilege of monopoly from the government. However, the dyes were also traded by sang-jeon and yakguk merchants in the nineteenth century. Most of the synthetic dyes sold in Korea were produced in Germany or in Japan later, and imported in large amount by Chinese, Japanese and German merchants. Yet there also existed Korean merchants and peddlers who sold the goods to the local consumers. Dyers were male and female who belonged to the middle class. They received the orders and payments from the government or merchants. Not only did they dye textiles, threads, cotton, paper and leather, but they also redyed clothes. Indigo dyers were differentiated from other dyers. Modern dyeing manufacture, which was presumably forced to keep pace with the productivity of the weaving process, appeared in the 1900s. It was a branch of the modern weaving manufacture.

전통시장 여성상인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 (Influential factors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of Women Merchants at Traditional Markets)

  • 배영실
    • 한국보건간호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55-367
    • /
    • 2020
  • Purpose: This study aims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women merchants at traditional markets. Methods: Participants in this cross-sectional descriptive study included 121 women merchants. Data were collected from May 01 to June 30, 2019 using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PHQ-9), psychosocial well-being index-short form (PWI-SF),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HRQoL. Se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applying the SPSS/WIN program 22.0. Results: The HRQoL was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 (F=5.87, p=.001), education (F=2.98, p=.022), working period (F=4.70, p=.004), exercise (t=2.20, p=.030), chronic disease (t=-2.57, p=.011), BMI (F=5.04, p=.008), depression (F=4.70, p=.004), stress (F=7.82, p<.001),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F=7.91, p=.001). Factors influencing the HRQoL for women merchants included BMI (β=-.35, p<.001), subjective health status (β=.33, p<.001), and stress (β=-.18, p=.021). The explanation power of this regression model was 29.8% (F=5.51, p<.021). Conclusion: BMI, subjective health status, and stress affect the HRQoL of the subjects evaluate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health management programs that may decrease stress, control the BMI, and improve the subjective health status of women merchants at traditional markets.

Mobile Payments from Merchants' Perspective: An Empirical Study Using the TAM Model in Saudi Arabia

  • Altwairesh, Reem;Aloud, Monira
    • International Journal of Computer Science & Network Security
    • /
    • 제21권8호
    • /
    • pp.317-326
    • /
    • 2021
  •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of merchants to adopt mobile payments in Saudi Arabia. The underlying model used in the study is the technology acceptance model, which includes two factors: perceived ease of use and perceived usefulness. The effects of trust, cost, and compatibility are also examined because these are among the common factors used based on the literature. An online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42 merchants in Saudi Arabia who had already adopted mobile payment service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as identified between perceived usefulness and compatibility in terms of merchants' intention to adopt mobile payment systems, while an insignificant relationship was identified with perceived ease of use, trust, and cost.

고도 보존 기본계획 수립 이후 부여 일반상업지역의 변화 (Changes in General Commercial Area of Buyeo since the Establishment of the Master Plan to Preserve and Promote Ancient City)

  • 이경아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6호
    • /
    • pp.117-126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general commercial area of Buyeo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master plan to preserve and promote ancient city and to analyze the survey results of the merchants. After the plan was made, there was a positive effect such as a decrease in population decline and the influx of new merchants. There are many people who want to continue to operate with affection for the region, but it seems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for new merchants to settle well and to take countermeasures for relieving the anxiety of existing merchants.

현대기업과 개성상인의 해외진출전략의 비교분석 (A Comparative Study of the Foreign Trade Strategies of Gaisong Merchants and Modern Companies in Korea.)

  • 박상규
    • 산학경영연구
    • /
    • 제17권
    • /
    • pp.153-183
    • /
    • 2004
  • 해외진출을 목적으로 바다를 건넌 인류 최초의 민족인 수메르인과 견줄만한 우리나라의 해외진출 선봉장으로서는 고려시대 때 세계에 그 명성을 떨쳤던 개성상인을 꼽는다. 개성상인은 조선초기에 사무역(私貿易)의 형태에서 조선중기에는 관무역(官貿易)뿐만 아니라 밀무역 등으로 해외진출을 진행했으며, 18세기 이후에는 대(對)중국무역과 대(對)일본무역으로 활발한 무역활동을 펼쳐왔던 거상이다. 국제경제 및 정치의 급격한 변화와 기타 특수한 상황 등의 위험을 감소시키기 위해 해외에 생산, 판매, 연구개발 법인을 설립하거나 현지기업과의 합작투자, 인수합병, 전략적 제휴 등을 통한 해외진출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탁월한 상술과 상혼을 밑거름으로 한 개성상인들의 해외진출과 그 정신을 계승 발전한 현대기업들((주)태평양, 한일시멘트공업(주), (주)신도리코)의 해외진출 사례를 비교 분석하였다. 이러한 비교분석의 목적은 현대기업이 개성상인의 경영활동을 밑바탕으로 내실있는 기업으로 성장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는데 있다. 연구가설을 설정하고 검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들은 모두 마케팅, 생산기술, 연구개발, 인적자원관리/개발 등의 공통된 기능별 경영핵심역량이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원동력이 되었다. 둘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국제화를 위한 공통된 조직상의 핵심역량이 존재하여 해외진출을 성공적으로 이끌었다. 셋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기획 재무 회계 MIS 등으로 구성되는 공통된 하부조직활동이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기반이 되었다. 넷째, 개성상인과 현대기업에는 경영이념 경영철학 등과 같은 공통된 조직문화가 존재하여 성공적인 해외진출의 근본이 되었다. 연구상의 한계점이 있었지만, 사례분석에 의하면 전통적인 한국인의 정서를 대변하는 개성상인들의 상업활동은 현재까지 부분적으로 한국기업경영에서 그 맥락을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개성상인의 정신이 계승된 현대기업의 경영철학을 기반으로 하는 가치관과 행동양식은 향후 한국적 경영학의 정체성을 찾고, 확립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 PDF

"복선(福船)"과 복건해상(福建海商)에 관한 연구(硏究) (A Study on Fujian Ships and Fujian Maritime Merchants)

  • 최운봉;우요동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101-105
    • /
    • 2007
  • 중국 동남연해에 거주하고 있는 복건타성 거주민들은 일적부터 배를 건조하여 바다에 나가 고기를 잡았다. 따라서 그들은 풍부한 항해경험을 쌓았으며, 이는 대규모적인 해외무역을 진행할 수 있는 기초를 닦았다. 중국 당나라시기 동남연해에 거주하던 복건타성 거주민들은 생산력의 발전과 더불어 복건타성을 떠나 해외로 진출하여 해외무역에 종사하였다. 송원시기 복건타성의 해외교통이 비약적인 발전을 가져왔으며, 신상(紳商), 선상(船商), 산상(散商), 선원 및 화교상인(華僑商人)들로 구성된 복건타성의 해상들은 빠르고 안전하며, 순조롭게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는 복선(福船)을 이용하여 해외무역에 종사하였다. 복선(福船)은 복건해상(福達海商)들로 하여금 시간을 단축하고 상업기회를 신속하게 잡을 수 있어 무역의 성공률을 높이고 자금이용률을 높였다. 따라서 복선(福船)해상들은 신속한 발전을 가져왔으며, 발자취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서아시아 및 아프리카 동부지역까지 이르렀다. 본 연구에서는 복건해상(福建海商)의 발생원인과 무역현황 및 해외무역에서 결정적인 역할을 한 복선(福船)에 대하여 논술하려고 한다.

  • PDF

청주시 지역 아파트 신정기시 이동상인의 공간적 특성 (Spatial Characteristics of Travelling Merchants of Apartment's New Periodic Market in Cheongiu City, Korea)

  • 한주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9권3호
    • /
    • pp.341-357
    • /
    • 2006
  • 소농사회의 정기시가 정해진 날짜와 장소에 이동상인과 소비자, 생산자가 모였다면 최근에는 소비자가 거주하는 도시지역의 대규모 아파트 단지에 신정기시가 나타났다. 아파트 신정기시의 폐장시간은 소농사회의 정기시에 비하여 늦고, 규모나 상인수가 소농사회 정기시보다 적다. 신정기시가 개시되는 아파트의 평균 동수와 가구수는 약 10개 동으로 평균 920가구이나 인접한 아파트 단지의 가구수와 합치면 이 보다 훨씬 많다. 그리고 아파트 신정기시는 아파트 단지에서 약 1.2km 전후에 재래시장과 대형마트가 분포하고 있는 곳에서 개시되고 있다. 청주시 아파트 신정기시는 대전시 상권에 포함되며, 이동상인의 지역적 이동은 인접한 $2{\sim}3$개 동들을 하나의 방문로로 조합시키는 유형과 좀 더 광역인 4개 이상의 동들을 방문로로 조합시키는 유형으로 나눌 수 있다. 그리고 광역의 이동로를 나타내는 경우 청주시의 남동부와 남부 및 남서부지역을 연결시키는 이동상인 방문로 유형과 남동부와 남서부지역을 결합시키는 방문로의 유형이 존재한다. 이동상인의 약 85%가 5개 정기시를 방문하고, 이 가운데 토요일에 선택 방문을 하는 이동상인은 약 12%를 차지하고, 4일만 신정기시를 방문하는 이동상인은 약 2%에 불과하다.

  • PDF

상인 연령별 영업환경만족도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Factors Influencing Satisfaction of Business Environment by Merchant Age: Focusing on the Jongno-gu Historical and Cultural Street)

  • 문해주;이명훈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0호
    • /
    • pp.559-568
    • /
    • 2017
  • 그 동안 서울시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는 북촌, 서촌, 인사동, 삼청동을 중심으로 전통 및 골목상권에 진입하고 있는 대형유통시설과 대규모 민간 투자로 인하여 월 임대료가 급속도로 상승하였고, 상인은 경제적 부담으로 인하여 영업환경이 점점 악화되고 있다. 이에 상인들의 영업환경을 유지하기 위해 입지적, 경제적, 문화적, 정책적 환경을 개선하여 기존 상권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잠재적 가치를 발굴하여 지역 상권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종로구 역사문화거리를 중심으로 상인의 연령을 30-40대, 50대, 60대 이상으로 구분하고, 입지적, 경제적, 문화적, 정책적 환경을 고려하여 영업환경만족도 영향요인을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30-40대 상인은 타 연령층과 비교하여 교통 접근성, 상권 내 유동인구, 권리금, 월 임대료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업환경만족도가 증가하였다. 50대 상인은 타 연령층과 비교하여 문화단체 및 예술가 활동, 커뮤니티 지원시설 확대, 프랜차이즈 선별적 입지불허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업환경만족도가 높았다. 60대 이상 상인은 타 연령층과 비교하여 보행 접근성, 월 매출액, 상인 공동체, 역사문화보존, 정부의 상권보호에 대한 만족도가 높을수록 영업환경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