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u items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26초

한식 건강 메뉴의 선정 및 "식료찬요"를 통한 효능성 연구 (Developing a Healthy Korean Food Menu through Sikryochanyo)

  • 정혜경;김미혜;김행란;정혜정;우나리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37-53
    • /
    • 2011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prepare the base on which Korean food can become a globally important health food.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a nutritionist and professor of food and nutrition to select the Korean food for a healthy menu. Five main categories were established to select a healthy menu based on the Korean food philosophy, including Korean food made from beans, Korean food made using fermentation, Korean food made using various colors, Korean food with high dietary fiber, and Korean food made with abundant unsaturated fatty acids. The 52 healthy menu items selected based on these standards were composed of easily available food materials. The efficacy of food materials described in Sikryochanyo, the traditional Chosun dietary therapy, was checked to verify the efficacy of this healthy menu.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basic materials can be efficiently used to enable citizens to select Korean food as an international health food. As such, the results can be utilized to publicize Korean food as a healthy food.

한식레스토랑의 메뉴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Selection Attributes of Korean Restaurant Menu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Revisit Intention)

  • 강연숙;박헌진;정진우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7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 한식호텔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의 메뉴선택속성으로 메뉴디자인, 메뉴품질, 건강, 메뉴선택동기, 메뉴제공이 고객 만족과 재방문의도에 관한 연구이다. 그리고 변수들 관계의 인과관계를 수행하였다. 실증분석을 위한 설문조사는 부산지역 호텔한식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8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실시되었다. 실증분석 유호표본은 310부를 가지고 사회과학 통계프로그램인 SPSS/PC+ for Window 12.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식 레스토랑 메뉴선택 속성 중 고객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건강요인이다. 이는 오늘날 웰빙으로 인한 건강을 지향하는 소비 경향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메뉴 선택 속성의 요인 중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메뉴디자인이다. 이는 호기심을 유발하는 다양하고 독특한 메뉴를 디자인하여 메뉴에 대한 설명을 추가하여 차별화한 요인이 향후 재방문하는 것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메뉴 품질, 건강, 메뉴의 제공이 고객 만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한식 레스토랑을 이용함에 있어 메뉴 선택 고려요인은 맛과 영양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계점으로는 부산지역에 한정되어 연구가 이루어 졌으며, 특히 관광호텔을 대상으로 하여 일반 소비자들의 이용 빈도가 높은 대중의 한식레스토랑의 실증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 PDF

사찰음식을 활용한 단체 급식 식단 개발 (The Development of Institutional Food-Service Menu with Temple Food)

  • 이심열;김진아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338-350
    • /
    • 2015
  • Objectives: This study developed two weeks menu using temple foods, assessed preference for the menu among ordinary people, and determined the possibility of using temple foods to make out institutional food service menu. Methods: To make out the menu, 153 typical types of temple food were selected, under several conditions, thus including balanced food groups, natural foods in season, preparation time, preparation methods, and foods appropriated for institutional foodservice. Results: Developed menu contained 1905.8 kcal, had low fat content, high dietary fiber, vitamin, and mineral content, and good protein content in the nutritional respect, and fit protein requirements with low calorie content and high nutritional value. In the assessment of the food preference for 73 temple food items, most of the foods scored high (4 out of 5 points) for preference in general; therefore, the menu tended to be satisfied to the adults' preference. In particular, boiled rice (rice with chwi, rice with cirsium, rice with mushroom, rice with mushroom & vegetable and gimbap with tofu) and fried foods (fried shiitake with sweet & sour sauce and fried kelp) were highly preferred. Conclusions: The menu using temple foods can be a healthy choice for adults if it is well planned and managed. This study may be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would help developing menu to popularize temple foods. The above results could be applied at home as well as at foodservice institutes and furthermore could offer information for developing temple food products.

산업체급식 메뉴 만족도 조사도구의 활용에 대한 사례연구 (Case Study of Menu Satisfaction Index in Business & Industry Food Service)

  • 이해영;안선정;양일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11호
    • /
    • pp.1443-1451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산업체 급식소의 메뉴 만족도를 평가할 수 있는 조사도구를 개발하고 개발된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산업체 급식소를 대상으로 고객들의 메뉴 만족도를 조사함으로써 도구의 활용 사례를 제시하였다. 그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고찰, 전문가 및 고객 대상 면담, 전문가 검토,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의 3단계로 메뉴 만족도 조사도구를 개발하였다. 메뉴 품질 속성 15개에 대한 문항과 메뉴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는 1개 문항에 대해 고객의 만족도를 매우 불만족, 불만족, 보통, 만족, 매우 만족의 Likert 5점 척도로 자가 평가하도록 하였다. 개발된 도구는 신뢰도와 타당도가 검증되었다. 둘째, 개발된 메뉴 만족도 조사도구를 이용하여 산업체 급식소 1곳을 대상으로 메뉴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15개 속성 모두에 대해 '보통'(3점) 이상의 높은 점수를 보임으로써 고객이 메뉴 품질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특히 '적절하게 익혀짐', '적절한 1인분량', '뜨거운 음식은 뜨겁게 제공' 항목에서는 3.53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은 특성으로 규명되었다. 메뉴 만족도 평가 요인 4개 중 '요인 3. 온도 적정성'(3.52점)에 대해 가장 만족도가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요인 4. 형식충족성' 3.46점, '요인 1. 음식우수성' 3.35점, '요인 2. 웰빙지향성' 3.31 순이었다. 셋째, 고객 특성에 따른 메뉴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연령과 소속사에 따라 메뉴 만족도의 일부 요인에 유의적 차이를 보였으며, 음식의 질 평가에 따른 군과 급식전체에 대한 군에 따라서도 유의적 차이를 보였다. 넷째, 메뉴 만족도 요인과 전반적인 메뉴 만족도간에 유의적인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4개 요인 중 '요인 1. 음식우수성'(p<.001), '요인 2. 웰빙지향성'(p<.01), '요인 4. 형식충족성'(p<.01) 순으로 '전반적인 메뉴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고객의 선택권을 줄 수 있는 푸드코트 형식의 산업체 급식소 1곳을 선택하여 개발된 메뉴 만족도 도구의 활용 가능성을 탐색한 결과, 다음과 같은 메뉴 운영에 대한 총평 및 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15개 문항 모두 만족도가 3점 이상(리커트 5점 척도 중)으로 조사되어 조사대상 급식소의 메뉴 품질에 대해 고객들이 대체로 만족하고 있으며, 메뉴 관리가 잘 되고 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이는 새로운 급식소 운영 형태인 푸드코트가 고객에게 만족감을 유도하는데 일조한 것으로 여겨진다. 특히 메뉴의 1인 분량, 온도, 가격에 대해서는 만족하고 있으나 위생이나 신선도, 맛, 건강에의 도움 등에 대해서는 만족도가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온도의 적절성은 가장 높은 만족을 보이지만 전반적인 메뉴 만족도에는 유의하게 작용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 메뉴로서 당연히 갖추어야 할 요소로 사료된다. 또한 어떠한 급식 분야든 상관없이 영원한 과제로 여겨지는 음식의 맛에 대해서는 꾸준한 개선의 노력이 필요하다. 매스컴에서 음식 및 건강관련 보도가 잇따르고 있고, 고객 스스로도 건강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이때, 산업체 급식소에서 맛있는 음식제공과 더불어 건강과 관련된 급식서비스가 병행된다면 고객의 메뉴 만족도는 증대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제공되는 음식별 영양소 함량 혹은 특정 질환 예방에 도움됨을 제시하거나 그날 메뉴의 영양 정보, 건강 정보를 게시하고, 급식 시간 외에 영양사와의 영양 상담을 통해 고객 맞춤식 영양 및 건강 정보를 제공하는 등의 방법이 제안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메뉴 만족도 도구를 1개 급식소에 시범 적용해 본 것으로 산업체 급식소 전반에 일반화하기 위해서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형태의 산업체 급식소를 대상으로 메뉴 만족도를 조사하여 비교함으로써 메뉴만족도 도구를 검증하고, 급식 유형별 만족도의 차이를 분석하여 문제점으로 도출되는 메뉴 품질 속성에 대해 개선방향을 제시해 보는 것이 필요하다.

합리적인 식단작성을 위한 식품폐기율 조사 연구 (Survey on Waste Rates of Foods for Menu Planning)

  • 문현경;계승희;김우선;이주희;김숙자
    • 대한영양사협회학술지
    • /
    • 제3권1호
    • /
    • pp.55-62
    • /
    • 1997
  • The waste rates of 98 food items after pre-preparation were surveyed to provide database for good menu planning. The waste rates turned out 0-64.27% in vegetables, 6.38-7.03% in potatoes, 6.25-68.75% in fishes and shellfishes, 16.61% in eggs, and 16.00-56.84% in fruits. Foods with high waste rates were vegetables, fishes and shellfishes. Survey results were compared with other food composition tables. Foods with 30% higher waste rate than other food composition tables were squash leaf, pacific ocean perch, sweet potato stalk, water cress, green peas, alaska pollack, bluefin tuna, beka squid, crown daisy, dodok, amaranth, beef ribs. Food which waste rates turned out to be decreased by about 30% in this study were corb shell, pomfret, sea mussel, warty sea squirt. For the menu planning, reasonaly exact waste rates for each food items are essential. Since survey results show significant deviations, there should be more studies for exact waste rates for each food.

  • PDF

전북지역 성인의 연령별 닭 메뉴 인지도와 기호도 연구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a Chicken Menu in Adults in the Jeonbuk Area)

  • 노정옥;김지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2-22
    • /
    • 2013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cognition and preference of a chicken menu according to the age of adults in the Jeonbuk are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94 adults (male 55.3%, female 44.7%) residing in the Jeonbuk area. Descriptive and comparative statistical data analysis was completed using SPSS v. 12.0. The frequency of consumption of chicken-containing foods for the younger group (20~30 years old)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frequency of older groups (over 40) (p<0.001). The younger group also consumed chicken food through a delivery service, whereas the older group consumed chicken through delivery and self-cooking. Approximately 50.0% of the older group preferred the chicken leg whereas 38.1% of the younger group preferred the chicken breast (p<0.001). The most highly recognized chicken menu items, among 36 chicken menus, were Samgyetang (2.93), chicken dori-tang (2.93), and fried chicken (2.93). The older group knew about a chicken menu made by traditional cooking much more than the younger group. The most highly preferred chicken menu item was spicy fried chicken (4.18). The preference for Western-style chicken menu (e.g. Cajun chicken salad, chicken sandwich)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ounger group than the older group (p<0.001, p<0.05). Therefore, to develop a new chicken menu, the consideration of favorite chicken parts and an age-based menu is necessary.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에 대한 성인 기호도 조사 (Survey on Menu Preferences of Adults for Korean Food Made from Korean Traditional Sauces)

  • 부고운;배현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5권1호
    • /
    • pp.126-136
    • /
    • 2016
  • 전국의 성인남녀 총 962명을 대상으로 장류를 이용하여 조리하는 한식 메뉴 65종에 대한 기호도를 조사한 결과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은 메뉴는 돼지갈비찜,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불고기, 떡갈비 순이었고,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낮은 메뉴는 가지나물, 오징어무국, 우엉조림, 도라지오이생채, 마른새우볶음 순이었다. 그리고 여자의 기호도가 남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잡채, 도토리묵무침, 궁중떡볶이, 탕평채, 비빔밥, 쇠고기미역국, 숙주나물, 닭찜, 아귀찜이었고, 남자의 기호도가 여자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더덕구이, 동태찌개, 고추장찌개, 추어탕, 콩비지찌개 등 총 19종이었다. 또한 2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 높은 메뉴는 콩나물국이었고 20세 이상에서 30세 미만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육원전이었다. 한편 40세 이상 그룹의 기호도가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갈치조림, 더덕구이, 조기양념구이, 동태찌개, 추어탕 등 총 15종이었다. 그리고 생산 서비스직군의 기호도가 다른 그룹보다 유의적으로 높은 메뉴는 동태찌개, 추어탕, 북어구이, 북어찜, 북어국, 가지나물, 조기양념구이였고, 사무 전문직군과 학생직군은 쇠갈비찜, 쇠갈비구이, 닭찜, 비빔국수, 육원전, 궁중떡볶이, 순두부찌개, 잡채, 탕평채, 비빔밥, 오징어볶음의 기호도가 생산 서비스직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본 연구 결과는 저나트륨 한식 메뉴 조리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식 외식업체의 식단 개발 시에 유용하게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ilt navigation 을 위한 리스트 아이템 간 이동 속도 제어 알고리즘 (Algorithm for Controlling Speed of Moving Between Menu List Items in Tilt Navigation)

  • 손준일;최은석;방원철;김연배
    • 한국HCI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HCI학회 2007년도 학술대회 1부
    • /
    • pp.903-908
    • /
    • 2007
  • 휴대용 모바일 디바이스의 입력 장치로는 스타일러스나 터치 스크린의 채용이 가장 일반적이나, 이들 방식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는 두 손을 모두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가속도나 자이로 센서를 이용한 tilt navigation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Tilt navigation은 한 손으로 모바일 디바이스를 잡고 기울임으로써 원하는 기능이나 항목을 선택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사용자에게 익숙하지 않아 아직 보편화 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tilt navigation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나 항목을 보다 쉽게 찾아 갈 수 있도록 메뉴 또는 항목 간의 이동 속도를 제어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고자 한다. 제안하는 알고리즘은 목표 항목을 찾아 가는 과정에서 과거의 기울임 정보를 바탕으로 목표 아이템이 존재하는 범위를 설정하고, 항목 간의 이동 속도를 범위의 크기에 비례하도록 설정하여 사용자가 목표 아이템을 보다 편리하게 찾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연구에서는 가속도 센서를 장착한 PDA를 이용하여 기존의 tilt navigation과 제안하는 알고리즘이 적용된 tilt navigation과의 목표 아이템을 찾아가는데 걸리는 소요 시간을 비교하여, 제안하는 알고리즘의 효과를 보이고자 한다.

  • PDF

전자제품 휴먼 인터페이스의 메뉴 설계 방안 (Design of menu structures for the human interfaces of electronic products)

  • 곽지영;한성호
    • 한국경영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산업공학회/한국경영과학회 1995년도 춘계공동학술대회논문집; 전남대학교; 28-29 Apr. 1995
    • /
    • pp.534-544
    • /
    • 1995
  • Many electronic products employ menu-driven interfaces for user-system dialogue. Unlike the software user interfaces, a small single-line display, such as a Liquid Crystal Display, is typically used to present menu items. Since the display can show only a single menu item at a time, more serious navigation problems are expected with single-line display menus(SDM). This study attempts to provide a set of unique guidelines for the design of the SDM based on empirical results. A human factor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four design variables: menu structure, user experience, navigation aid, and number of targets. The usability of design alternatives was measured quantitatively in four different aspects, which were speed, accuracy, inefficiency of navigation, and subjective user preference. The analysis of variance was used to test the statistical effects of the design variables and their interaction effects. A set of design guidelines was drawn from the results which can be applied to the design of human-system interfaces of a wide variety of electronic consumer products using such displays. Since more generalized guidelines could be provided by constructing prediction models based on the empirical data, some powerful performance models are also required for the SDM. As a preliminary study, a survey was done on the performance models for ordinary computer menus.

  • PDF

패밀리 레스토랑 고객의 메뉴 영양정보에 관한 인식 연구 (Family Restaurant Patrons' Perception on Nutrition Information of Restaurant Menus)

  • 장혜자;김태희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0-278
    • /
    • 2003
  •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ustomers' perception on nutrition information provided on a family restaurant menu, to examine customers' intention to use the nutrition information when eating out if nutrition information would be provided, and to identify what kinds of nutrient information the customers want. A total of 265 respondents were answered. Female was sixty-six percents, and eighty-four percent of the respondents was less than thirty-five years old. The patrons' perception about nutrition information on the menu showed the level of 2.5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pointed out that family restaurant patrons were not satisfied with receiving nutr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menu. The customers perceived that restaurants had responsibilities for providing nutritional information about menu items. Sixty-six percent of respondents showed a positive intention to the question item about how much the customer would use nutritional information provided on the menu. The customers, who were female (p<0.05), who had a good health status, who showed higher interest on weight control (p<0.01), and who were health-oriented (p<0.01), showed the higher intention to use nutritional information. Nutrient information in which the customers were interested strongly was a fat content, followed by cholesterol content and calorie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trends of eating out, preferring family restaurants, and increasing interests in a healthful menu, nutrition information demand in restaurant operations would be increased rapidly in the near future.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at the point of menu choice might result in the improvement of customers' nutritional and health status by encouraging proper dietary habits of patrons as well as providing nutritional education. Therefore, it is recommended that government and restaurant firms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utrition information and make strategic plans for the fu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