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ntee

검색결과 75건 처리시간 0.021초

초임 과학교사를 위한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분석 (Analysis on Components of Conflict between Mentor Teachers and Mentee Teachers in Collaborative Mentoring for Beginning Science Teacher)

  • 정도준;이임일;남정희
    • 과학교육연구지
    • /
    • 제43권1호
    • /
    • pp.119-135
    • /
    • 2019
  • 이 연구에서는 초임 과학교사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교사와 멘티교사의 갈등 요소 및 변화 과정을 분석하고 갈등의 원인을 고찰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연수에 참가한 30명의 교사 중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 및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를 바탕으로 갈등이 있었다고 응답한 3팀(6명)을 연구의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연구를 위해 멘토교사와 멘티교사가 실시한 5차례의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과 전사본을 추가로 분석하였다. 멘토링 대화에서 나타나는 갈등의 요소를 살펴보면 교수방법에 대한 지식 중 수업 전략에 관한 갈등이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학생들의 이해에 대한 지식 요소 중 학생특성에 적합한 교과내용지식 측면과 교과내용지식 요소 중 과학개념에 대한 지식 측면에서 갈등이 나타났다. 또한 멘토교사의 효능감 검사지와 멘티교사의 만족도 설문지로부터 수업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및 역할, 서로 다른 교육관, 멘티교사의 수업에 대한 인식 변화 및 노력 부족 등의 원인으로도 갈등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멘토링의 횟수가 거듭됨에 따라 멘토교사의 의도를 멘티교사가 잘 이해하고 받아들여 결국에는 멘티교사의 인식 변화를 가져와 대부분의 갈등이 감소되었지만, 멘티교사의 요청에도 멘토교사가 적극적인 해결 방안을 제시하지 못하는 경우에는 갈등이 심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할모형을 적용한 원격대학교 e-멘토링 시스템 (Cyber University e-Mentoring System with Role Modeling)

  • 이정훈;우진운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1권4호
    • /
    • pp.1285-1293
    • /
    • 2010
  • 본 연구는 원격대학교 신입 성인학습자의 성적향상과 중도학습포기의 방지를 위하여 신입생에게 e-멘토링 활동을 참여시키고, 하나 이상의 역할모형을 설정하여 운영할 수 있는 e-멘토링 시스템의 설계 및 구축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시스템의 장점으로, 첫째 원격대학교 멘토링 참가자들이 역할모형을 설정하고 멘토-멘티 매칭 시 상호요구사항을 반영한 자동 매칭시스템을 구축하여 참가자들의 참여율을 높이고, 성적향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둘째 멘토링 활동 종료 후 역할모형 및 활동내역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우수 참가자에는 보상체계를 수립하고, 우수 멘토에게는 연속참여를 유도하여 경험이 풍부한 멘토가 지속적으로 신입생 성인학습자의 학습부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멘토의 자격요건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연구 (A Study on Teacher's Recognition in Early-Childhood Education Institutes of Mentor Qualifications for Mentoring)

  • 김옥주;김정주
    • 한국지역사회생활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77-187
    • /
    • 2012
  • The research aimed at analyzing how the differences between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affect their awareness on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program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By fulfilling the purpose of the research, proper qualifications for a mentor of outstanding abilities, which would be desired by teachers in infant educational organizations, should be established while preliminary data on the mentor teacher training to improve the professionalism of a mentor is expected to be provided.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targeting 319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located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measuring instrument used was a recognized survey on how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conducted by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The survey consisted of 22 questions. The researcher personally designed the survey based on results generated from preliminary research. SPSS 14.0 was used to analyze selected data a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one-way layout dispersion. In addition, a post-analysis on the one-way layout dispersion was conducted via the Scheffe posteriori test.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the mentor qualifications for the mentoring were differently recognized by teachers in infants' educational organizations according to both teacher's personal backgrounds (age, teaching experience, educational background and position) and experiences with the mentee and the mentor.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 변화 (Changes in Characteristics of Mentor Interaction in Collaborative Mentoring)

  • 박지훈;손은지;이선우;남정희
    • 대한화학회지
    • /
    • 제61권5호
    • /
    • pp.251-262
    • /
    • 2017
  • 이 연구에서는 협력적 멘토링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 특징과 멘토의 멘토링 경험에 따른 상호작용 특징의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연구참여자는 교직경력 17년 이상의 멘토 3명과 초임중등과학교사 6명을 선정하였다. 일대일 멘토링 대화 녹음본 및 전사본을 수집하였고 이를 상호작용 분석틀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을 분석 결과, 대체로 멘토들은 대화를 시작할 때 지원과 단순질문의 방법을 가장 많이 쓰고 있었다. 협력적 멘토링 과정에서 나타나는 멘토의 상호작용의 특징 변화를 보면, 멘토 3명의 멘토링 대화에서 대체로 1년차 멘토링에 비해 2년차 멘토링에서 사고질문이 많아졌으며, 이로 인하여 멘티의 반성 및 반성적 실천이 나타난 비율이 높아졌다. 멘토 인터뷰를 통하여 멘토들은 자신의 멘토링이나 멘티의 수업 변화를 보고 자신의 멘토링을 돌아보는 모습을 보였으며 이는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하여 멘토의 반성이 일어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다문화학생을 위한 멘토링 활동 효과 : 논리모델을 중심으로 (Mentoring activity Effects for Multicultural Students : Using Logic Model)

  • 이미정;김진희;박미숙
    •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 /
    • 제5권4호
    • /
    • pp.435-442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논리모델을 통해 다문화학생 멘토링 사업의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2014년 다문화 멘토링 사업에 참여한 I 대학교 멘토 40명에게 논리모델의 투입, 활동, 산출, 성과 등 네 단계에 따라 구성된 혼합형 질문지로 조사하여 내용분석 및 분류분석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투입단계에서 멘토링 프로그램 홍보, 선발과정, 매칭 방법, 사전교육, 활동비 등에 대해 대부분 적당하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활동단계를 보면 멘토와 멘티의 첫 만남은 교사와 함께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멘토링 활동은 80%가 학습지도로 진행되었으며, 인성지도와 체험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산출단계에서는, 대부분의 멘토가 멘토링 활동 시간, 기간, 장소가 적당하다고 응답했다. 마지막으로, 성과단계는 멘토와 멘티의 인지적, 정서적, 행동적 측면에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멘토링 사업에 대한 체계적인 효과 검증이 가능하고, 향후 진행하게 될 사업을 위한 개선점을 얻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건강가정지원센터 내 한부모가정 관련 사업 현황과 개선방향에 관한 연구 (A Study of Programs for Single-parent Families in a Family Support Centers)

  • 박정윤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28권3호
    • /
    • pp.167-178
    • /
    • 201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healthy family education, healthy family counseling, a healthy family culture, and healthy families integrated programs for single parent families in family support centers, The data collected came from 59 family support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Kyunggi-Do, Korea. Subjects included both single parents and their children. The children were of elementary school age. The types of programs were education, counseling, culture, and integrated program. Education programs were process separately for the parents and for the children. Counseling programs were mostly group-type program that aimed at improving the parent-children relationship. The contents included sections on anger management, reducing stress, enriching self-esteem. The culture programs involved experiences, camps that included cooking, watching movies, similar activities. Integrated programs involved respite support, rearing support, mentor-mentee partnerships, and the formation of self-help groups.

대학생을 위한 멘토링 기능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연구 (A study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entoring-fun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8권1호
    • /
    • pp.49-57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of mentoring-function scale for college students. This research collected preliminary data from 219 college students' response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and collected 289 college students' for item and scale quality analyses. Data were analyzed to obtain item quality, reliability, and validity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entoring-function scale was defined by 4 factors. The 4 factors were 'psycho-soical', 'career-development', 'role-modeling', 'friendship'. Criterion-related validity evidence was obtained from the correlation analysis as the criterion measures.

청소년의 전인적 성장을 위한 팀-멘토링 개발 (Development of Team-Mentoring for growth of whole person in adolescent)

  • 박종운;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19권1호
    • /
    • pp.150-160
    • /
    • 2007
  • The school system of fisheries high school was proper to specialist objective school system in order to training for expert human resource development.Training a field of human resources development from fisheries high school is fallow; fisheries production, seamen's training, ship engine and refrigerator, marine electronic tele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fisheries foods production and fisheries foods production and distribution, fishery fisheries self-management, marine distribution,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marine environment, safety and marine prevention of disasters, apparatus of marine development, under water area development.A new department opening and each department was revised toward to department name and department character. The unit-lesson hour of curriculum according to specialist objective school system of fisheries and marine highschool was revised. professional subject 98 unit-lesson hour(52%), normality subject 90 unit-lesson hour(48%), and educational activity of professional subject 10unit-lesson hour, total training activity 10 unit-lesson hour. And the special objective school system need to revise curriculum of 208 total unit-lesson hour.

중학생의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 참여를 통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 경험 (The Learning Experience of 7th Graders on NOS (Nature of Science) as a Process in Research-Based "Becoming a Scientist" Mentor-mentee Program)

  • 정찬미;신동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29-648
    • /
    • 2015
  • 본 연구는 연구 기반 '실제적' 과학 교육 프로그램이 맥락적으로 과정으로서 과학의 본성 학습을 촉진함을 밝히고자 한 사례 연구다. 이에 '과학자 되어보기' 멘토-멘티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7학년 6명에게 8개월간 적용했다. 이 프로그램에서는 과학 교육 연구자인 멘토가 스캐폴딩과 코칭을 제공하며, 멘티 학생들은 연구 문제 선정, 연구설계, 자료 수집과 분석, 논문 작성 및 학회 발표에 이르기까지 과학연구의 전체 과정을 수행한다. 연구 문제는 1)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의 참여자는 연구 단계별 학습 상황에서 무엇을 경험하는가? 2) 암묵적 과학 연구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은 각 학습 상황에서 '과정으로서 NOS'에 대해 어떤 관점을 구성하는가? 등이다. 수업 관찰, 사후 면담, 멘토의 성찰 보고서, 학생 산출물 등이 수집 및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참여 학생들은 1) 연구 문제 망각과 혼란, 2) 자료 오류의 처리와 파기, 3) 연구자 입장에 따른 자료 해석, 4) 전반적 연구 경험과 논문 작성, 5) 학술대회 발표장에서의 경험 등의 다양한 상황에서 연구문제의 역할, 측정값의 유효성, 자료 해석에서의 주관성, 과학 지식의 생성과 동료 심사, 학술 대회의 의의 등 과정으로서의 과학에 대한 각자의 관점을 학습했다. 참여 학생들이 공통적으로 학습한 NOS 관점은 현대적 인식론에 가까웠다. 본 연구는 과학 연구의 구체적 상황과 과정으로서 NOS 학습을 관련지어 보여줌으로써 NOS의 맥락적 학습이 가능함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는 과학자가 하는 일과의 유사성이 아닌 학습자의 주체성 및 의미와 관련지어 '실제성'을 정의했고, 이렇듯 상황학습론적 가정에 입각한 프로그램은 성공적인 NOS 학습을 촉진했다. 본 연구의 가정과 결과는 과학 교육에서 실제성의 의미와 실제적 과학 학습 환경의 구현 방식에 대한 재고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연구 기반 과학 교육 프로그램에서 성공적인 NOS 학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본 프로그램과 같이 1) 과학자가 하는 일의 주요 요소를 포함함으로써 풍부한 맥락을 제공하고, 2) 반구조화된 수업 설계를 바탕으로 학생이 연구의 주도권을 소유하도록 하며, 3) 과학 연구 내용이 연구자에게 관련되고 의미 있도록 해야 한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과 리더십역량 강화를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Mentoring Program Designed to Assist Nursing Students Adjust to Life in College and Strengthen their Leadership Abilities)

  • 신은정;박영숙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595-4603
    • /
    • 2015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대학생활 적응도 향상 및 리더십 역량 증진을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본 연구의 멘토링 프로그램은 멘토링의 기능을 기반으로 선행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총 9회기로 구성되었다. 프로그램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서 비동등성 대조군 전후 유사 실험설계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2014년 3월 3일부터 5월 30일까지 프로그램의 적용 및 자료수집이 진행되었다. 실험군은 멘티20명(1,2학년), 멘토 20명(3, 4학년)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 후에 사전,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멘티 실험군은 멘티 대조군에 비해 대학생활 적응 점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멘토 실험군의 사후 리더십 점수는 사전 보다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멘토 실험군과 대조군의 사후-사전 점수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간호대학생의 대학생활적응도를 향상시키고 리더십 역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멘토링 프로그램 개발은 유의한 효과가 있다고 여겨지며 리더십 역량을 더욱 증진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내용의 보완이 필요하다고 제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