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ntal lexicon

Search Result 21,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Acoustic and phonological processes in the repetition tasks (따라 말하기 과제에서의 음향적 처리와 음운적 처리)

  • Yoo, Se-Jin;Lee, Kyoung-Min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10.05a
    • /
    • pp.42-47
    • /
    • 2010
  • Speech shares acoustic features with other sound-based processing, which makes it difficult to distinguish phonological process from acoustic process in speech processing.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difference between acoustic process and phonological process during repetition tasks. By contrasting various stimuli in different lengths, we localized neural correlates of acoustic process within bilateral superior temporal gyrus, which was consistent with the previous studies. The activated patterns were widely overlapped between words and pseudowords, i.e., contents-free. In contrast, phonological process showed left-lateralized activation in middle temporal gyrus located at anterior temporal areas. It implies that phonological process is contents-specific as shown in our previous study, and at the same time, more language-specific. Thus, we suggest that phonological process is distinguished from acoustic process in that it is always accompanied with the obligatory access to available phonological codes, which can be an entry of the mental lexicon.

  • PDF

The difference in the representation of Korean Noun Eojeol in the mental lexicon based on its etymology (한국어 명사어절의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

  • Yoon, Ji Min;Nam, Ki 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2009.10a
    • /
    • pp.258-261
    • /
    • 2009
  • 한국어에서 어절은 띄어쓰기 단위이며 한국어의 두드러진 특징 가운데 하나이다. 본 연구에서는 명사에 조사가 결합된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에 대해서 밝히고자 이 과정에 관여하는 빈도효과를 측정하였다. 즉, 명사의 빈도와 어절의 빈도를 조작하여 어절의 의미를 판단하는데 걸리는 반응시간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자극을 제시한 방법에 차별을 둔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에서 모두 어절빈도의 주효과가 유의미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그러나 명사빈도의 주효과는 실험 2에서만 관찰되었고, 상호작용효과는 실험1과 실험2 모두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한국어의 어원에 따른 즉 다시 말해, 한국어 명사를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로 분류하여 어원에 따른 심성어휘집 표상 양식의 차이를 구별하여 보고 이를 토대로 더욱 세부적인 한국어 명사어절의 처리 과정을 규명하여 보고자 한다.

  • PDF

Processing of allophonic variants from optional vs. obligatory phonological processes

  • Han, Jeong-Im
    • Phonetics and Speech Sciences
    • /
    • v.7 no.3
    • /
    • pp.27-35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xical representation of phonological variants derived from optional vs. obligatory phonological processes. Given that place assimilation is optionally processed, whereas nasal assimilation is obligatory in Korean, a long-term repetition priming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a shadowing task. Korean speakers shadowed words containing either assimilated or unassimilated consonants in three priming conditions and their shadow responses were evaluated. It was shown that in both place and nasal assimilations, shadowing latencies for unassimilated stimuli were longer than those for assimilated stimuli in the mismatched condi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even in the optional assimilation, assimilated variants were processed more easily and faster than the canonical variants. The present results argue against the frequency-based account of multiple lexical representation (Connine, 2004; Connine & Pinnow, 2006; Ranbom & Connine, 2007; $B{\ddot{u}rki$, Ernestus, & Frauenfelder, 2010; $B{\ddot{u}rki$, Alario, & Frauenfelder, 2011).

The Lexical Access of Regular and Irregular Korean Verbs in the Mental Lexicon (한국어 규칙 동사와 불규칙 동사의 심성 어휘집 접근 과정)

  • Park, Hee-Jin;Koo, Min-Mo;Nam, Ki-Chun
    • Korean Journal of Cognitive Science
    • /
    • v.23 no.1
    • /
    • pp.1-23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lexical access processing of inflected Korean verbs in the mental lexicon. In Korean, verbs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in types of inflections, which are regular and irregular inflections, which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hree types of regular inflections and two types of irregular inflections. A masked priming lexical decision task was used and the priming effects were compared. Experiments were carried out using the five different types of verbal inflections in Korean: (1) No change-regularity (regular verbs with no orthographical or phonological changes), (2) Phonological change-regularity (regular verbs with phonological changes to the stem only), (3) Orthographical change-regularity (regular verbs that only undergo orthographical changes), (4) Stem change-irregularity (the stem is omitted or alternated with the other phoneme of the stem in irregular verbs), (5) Ending change-irregularity (irregular verbs with changes in the endings by phoneme substitution). The first three types are regarded as regular verbal inflections whereas the latter two types are regarded as irregular verbal inflections. The infinitive forms of the verb were presented as target words and three different conditions were presented as prime words. The three conditions included regular verbal inflection, irregular verbal inflection, and a control condition in which morphologically and semantically unrelated primes were presented. In addition, different stimulus onset asynchrony (SOA) were manipulated (43ms, 72ms, 230ms) to examine the time frame of the morphological decomposition process in word recognition.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priming effects in all three SOAs across conditions. Hence,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iming effects between regular and irregular verbal inflection conditions. This may suggest that Korean verb processing does not adopt different processing routes for regular and irregular inflections, which can also be an indication of earlier morphological information processing for Korean verbs.

  • PDF

Lexical Status of Main and Supportive Verbs in Mental Lexicon (본용언과 보조용언의 의미 처리에 관한 연구 : 일반인과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 Moon, Young-Sun;Kim, Dong-Hwui;Pyun, Sung-Bum;Hwang, Yu-Mi;Jung, Jae-Bun;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447-454
    • /
    • 1999
  • 본 연구에서는 국어의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어떠한 방식으로 처리되는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 목적이다. 영어와 달리 국어는 보조용언이 조동사의 역할을 담당하여 화자의 심리적인 상태나 상(想)을 나타내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같은 어휘가 본용언으로 쓰일 때와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그 의미적 차이는 뚜렷하다. 특히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는 어휘적 의미가 대부분 사라지고 추상적 의미만 남기 때문에 본용언과의 관련성을 따져보는 것도 중요한 연구과제이다. 또한 우리의 심성어휘집(mental lexicon)에서 본용언과 보조용언이 동일한 영역에서 처리되는지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만일 동일한 심성어휘집을 사용한다면 보조용언으로 쓰인 환경에서도 본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활성화될 것이다. 이에 대해 본 연구에서는 정상인 피험자와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 실험을 하였다. 정상인 피험자를 대상으로는 SOA가 짧은 조건과 긴 조건에서 각각 보조용언을 어떻게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고, 실어증환자를 대상으로는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서 어떤 양상으로 보조용언을 처리하는 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정상인 피험자는 SOA가 짧은 조건에서는 본용언과 보조용언을 모두 동일한 방식으로 의미처리하였다. 즉 보조용언의 어휘적 의미가 본용언과 마찬가지로 SOA가 짧을 때는 활성화되었다. 그러나 SOA가 길어지면 보조용언은 문맥 정보로 인해 어휘적 의미가 억제되어 본용언과 다른 의미로 해석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런 정상인 피험자와 비교해 보았을 때, 실어증 환자는 두 가지 양상이 나타났다. 명칭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정상인과 비슷한 결과가 나왔으나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본용언보다 어휘적 의미가 다소 불안정하게 활성화됨을 보였다. 그러나 이해성 실어증환자의 경우, 보조용언으로 쓰일 때 어휘적 의미가 전혀 활성화되지 않아 정상인과는 다른 언어처리를 하고 있음이 밝혀졌다.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으며, 레드 클로버 + 혼파 초지가 건물수량과 사료가치를 높이는데 효과적이었다.\ell}$ 이었으며 , yeast extract 첨가(添加)하여 배양시(培養時)는 yeast extract 농도(濃度)가 증가(增加)함에 따라 단백질(蛋白質) 함량(含量)도 증가(增加)하였다. 7. CHS-13 균주(菌株)의 RNA 함량(含量)은 $4.92{\times}10^{-2 }\;mg/m{\ell}$이었으며 yeast ext

  • PDF

English visual word recognition of Korean: lexical access and word length effect (한국인의 영어단어 재인과정:어휘접근과 단어길이효과)

  • 이윤형;최원일;정유진;남기춘
    • Proceedings of the Korean Society for Cognitive Science Conference
    • /
    • 2000.05a
    • /
    • pp.279-284
    • /
    • 2000
  •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 단어 재인시에 주로 단어빈도와 단어길이가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단어빈도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져 왔지만 단어길이와 관련된 연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편이다. 또한, 단어빈도와 단이길이에 따라 단어가 성 어휘집(mental lexicon)에 어떻게 표상되어 있으며, 상호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아직 구체적으로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시각적으로 제시된 영어단어 어휘접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아 단어길이효과가 어휘접근단계에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며 둘째, 단어길이와 빈도가 미국인과 한국인의 어휘접근시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아 한국인과 미국인의 영어단어 정보처리의 차이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단어 명명과제와 어휘판단과제를 사용한 실험결과 한국인과 미국인에게 모두 단어 길이와 빈도가 어휘접근에 영향을 주었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어휘판단과제에서 보다는 단어명명과제에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볼 때 한국인이 영어단어 어휘에 접근할 때에도 미국인과 유사한 방식으로 처리를 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한국인의 경우는 미국인보다 조음과정에 상대적으로 더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보이며, 이것은 영어교육시 단순한 어휘암기보다 음운부호를 산출하고 단어를 말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는 방법을 좀 더 강조해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 PDF

Speaker-specific Implementation of VOT Values in Korean

  • Han, Jeong-Im;Kim, Joo-Yeon
    • Speech Sciences
    • /
    • v.15 no.4
    • /
    • pp.7-18
    • /
    • 2008
  •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test whether VOT values of the Korean plain stops in intervocalic position are encoded differently by individual speakers. In Scobbie (2006), the VOT values to the /p/-/b/ voicing contrast in Shetland Isles English were found to demonstrate a high degree of inter-speaker variation. More importantly such variation was not arbitrary: first, there was an inverse relationship between the amount of prevoicing for /b/ and the duration of aspiration for /p/. Second, the inter-speaker variation was shown to be similar between the subjects and their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phonetic targets for VOT are specified in fine detail by speakers. The present study further explores this issue in terms of testing 1) whether the likelihood and the amount of voicing for the intervocalic plain stops in Korean show inter-speaker variation; 2) whether the likelihood and the exact amount of voicing for the intervocalic plain stops in Korean are closely related to the amount of aspiration for the Korean intervocalic aspirated stops.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voicing of intervocalic plain stops in Korean varied according to the individual speakers, but it did not seem to be directly interrelated with the amount of aspiration of the aspirated stop sin the same phonological position.

  • PDF

Ultrasonographic Features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a Comparison with Other Breast Cancer Subtypes

  • Yang, Qi;Liu, Hong-Yan;Liu, Dan;Song, Yan-Qiu
    • Asian Pacific Journal of Cancer Prevention
    • /
    • v.16 no.8
    • /
    • pp.3229-3232
    • /
    • 2015
  • Background: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TNBC) is known to be associated with aggressive biologic features and a poor clinical outcome. Therefore, early detection of TNBC without missed diagnosis is a requirement to improve prognosis. Preoperative ultrasound features of TNBC may potentially assist in early diagnosis as characteristics of disease. Purpose: To retrospectively evaluate the sonographic features of TNBC compared to ER (+) cancers which include HER(-) and HER2 (+), and HER2 (+) cancers which are ER (-). Materials and Methods: From June 2012 through June 2014, sonographic features of 321 surgically confirmed ER (+) cancers (n=214), HER2 (+) cancers (n=66), and TNBC (n=41)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by two ultrasound specialists in consensus. The preoperative ultrasound and clinicopathological features were compared between the three subtypes. In addition, all cases were analyzed using morphologic criteria of the ACR BI-RADS lexicon. Results: Ultrasonographically, TNBC presented as microlobulated nodules without microcalcification (p=0.034). A lower incidence of ductal carcinoma in situ (p<0.001), invasive tumor size that is>2 cm (p=0.011) and BI-RADS category 4 (p<0.001)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NBC. With regard to morphologic features of 41 TNBC cases, ultrasonographically were most likely to be masses with irregular (70.7%) microlobulated shape (48.8%), be circumscribed (17.1%) or have indistinct margins (17.1%) and parallel orientation (68.9%). Especially TNBC microlobulated mass margins were more more frequent than with ER (+) (2.0%) and HER2 (+) (4.8%) cancers. Conclusions: TNBC have specific characteristic in sonograms. Ultrasonography may be useful to avoid missed diagnosis and false-negative cases of TNBC.

Construction of Korean Wordnet "KorLex 1.5" (한국어 어휘의미망 "KorLex 1.5"의 구축)

  • Yoon, Ae-Sun;Hwang, Soon-Hee;Lee, Eun-Ryoung;Kwon, Hyuk-Chul
    • Journal of KIISE:Software and Applications
    • /
    • v.36 no.1
    • /
    • pp.92-108
    • /
    • 2009
  • The Princeton WordNet (PWN), which was developed during last 20 years since the mid 80, aimed at representing a mental lexicon inside the human mind. Its potentiality, applicability and portability were more appreciated in the fields of NLP and KE than in cognitive psychology. The semantic and knowledge processing is indispensable in order to obtain useful information using human languages, in the CMC and HCI environment. The PWN is able to provide such NLP-based systems with 'concrete' semantic units and their network. Referenced to the PWN, about 50 wordnets of different languages were developed during last 10 years and they enable a variety of multilingual processing applications. This paper aims at describing PWN-referenced Korean Wordnet, KorLex 1.5, which was developed from 2004 to 2007, and which contains currently about 130,000 synsets and 150,000 word senses for nouns, verbs, adjectives, adverbs, and classifiers.

Hemispheric Asymmetry in Processing Semantic Relationship Shown in Normals and Aphasic (형태소 공유 어휘의 심성 어휘집 표상 양식)

  • Jung, Jae-Bum;Lee, Hong-Jae;Moon, Young-Sun;Kim, Dong-Hyu;Pyun, Sung-Bum;Nam, Ki-Chun
    • Annual Conference on Human and Language Technology
    • /
    • 1999.10e
    • /
    • pp.359-367
    • /
    • 1999
  • 형태소를 공유하고 있는 어휘가 심성 어휘집(mental lexicon)에 어떻게 저장되어 있고 어떻게 어휘 접근되는지에 관하여 여러 설명이 제기되었다 첫 번째 가설은 형태소 공유 어휘는 심성 어휘집에 모두 같은 어근 혹은 어간을 중심으로 저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두 번째 가설은 어간이나 어근으로의 분석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하는 것이 아니라 일단 활용된 형태의 어휘를 심성 어휘집에서 찾고, 만일 해당되는 것이 발견되면, 그 활용된 어절의 이해가 끝나게 되고, 만일에 해당되는 것이 심성 어휘집에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부수적인 과정으로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이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세 번째 가설은 어휘의 품사, 어휘의 빈도, 형태소 활용의 규칙성 등에 따라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하거나 아니면 활용된 어휘의 직접적인 접근을 통해 활용된 단어를 이해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 세 종류의 가설 중에 어느 가설이 옳은 것인지를 조사하기 위해, "먹은" 흑은 "쥐어"와 같은 한국어 어절을 이용하여 형태소 표상 양식과 이해 과정을 다루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점화 어휘 판단 과제(primed-lexical decision task)를 사용하였다. 실험 1은 "먹은"처럼 동사 "먹다"로도 해석이 가능하고 명사 "먹"으로도 가능한 중의적 어절을 점화 문자열로 제시하고 이 문자열이 두 의미와 관련된 목표 단어 재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를 조사하였다. 만일에 "먹"이라는 어근 혹은 어간으로의 분석을 통해 이 어절을 이해한다면 두 종류의 의미와 관련된 조건 모두에서 촉진적 점화 효과(facilitatory priming effect)가 나타날 것이고, 어절 전체로의 어휘 접근 과정이 일어난다면 사용빈도에서 높은 동사 뜻과 관련된 조건에서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실험 1의 결과는 두 종류의 의미가 모두 활성화되는 것을 보여 주었다. 즉, "먹은"과 간은 어절 이해는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과 구성 형태소 어휘 접근을 통해 어절 이해가 이루어진다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실험 2에서는 실험 1과 다르게 한 뜻으로만 안일 수밖에 없는 "쥐어"와 같은 어절을 사용하여 이런 경우에도(즉, 어절의 문맥이 특정 뜻으로 한정하는 경우) 구성 형태소로의 분석 과정이 일어나는지를 조사하였다. 실험 2의 결과는 실험 1의 결과와는 다르게 어간의 한가지 의미와 관련된 조건만 촉진적 점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다. 특히, 실험 2에서 SOA가 1000msec일 경우, 두 의미의 활성화가 나타나는 것을 보여주었는데, 이 같은 결과는 어절 문맥이 특정한 의미로 한정시킬 경우는 심성어휘집에 활용형태로 들어있다는 것이다. 또한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즉시적 점화과제에서는 일반인과 같은 형태소 처리과정을 보였으나, 그이후의 처리과정이 일반인과 다른 형태를 보였다. 실험 1과 실험 2의 결과는 한국어 어절 분석이 구문분석 또는 활용형태를 통해 어휘 접근되는 가설을 지지하고 있다. 또 명칭성 실어증 환자의 경우에는 지연된 점화과제에서 형태소 처리가 일반인과 다르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 결과가 옳다면 한국의 심성 어휘집은 어절 문맥에 따라서 어간이나 어근 또는 활용형 그 자체로 이루어져 있을 것이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