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orial ston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8초

<윤관 지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Yun Gwan)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65-84
    • /
    • 2004
  • 본고는 김연수에 의하여 찬술된 <윤관 지석>에 관한 금석학적 연구이다 지석의 재질은 오석이며, 크기는 세로 25.0cm, 가로 31.0cm, 두께 2.5이다. 지석문은 양면에 해서체로 음각되어 있으며, 주로 윤관의 전기가 기록되어 있다.

  • PDF

백제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의 재질 및 표면손상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Deterioration and Materials for Stone Guardian and Stone Memorial Tablets from Muryeong Royal Tomb of Baekje Kingdom in Ancient Korea)

  • 박준형;이찬희;최기은
    • 보존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241-254
    • /
    • 2017
  • 무령왕릉 석수와 지석은 같은 암종으로 심성화성암에 속하는 각섬석암(hornblendite)이다. 이 암석은 녹회색에 중립의 등립질 입상조직을 보이며, 주요 조암광물은 각섬석과 사장석이다. 석수의 전암대자율은 0.15~0.63(평균 $0.42{\times}10^{-3}SI\;unit$), 왕의 지석은 0.11~0.38(평균 $0.24{\times}10^{-3}SI\;unit$), 왕비의 지석은 0.10~0.33(평균 $0.18{\times}10^{-3}SI\;unit$)으로 거의 동일한 낮은 값을 보였다. 이 암석은 공주 부근에서 대규모 산출지를 찾기가 어려우나 암맥상으로 여러 곳에서 확인된다. 그러나 산출상태와 암상으로 보아 석수와 지석의 암석은 맥암과는 달리 심성암의 특징을 보인다. 석수와 지석의 표면에 분포하는 적갈색 및 담갈색 오염물의 분석 결과, 적갈색 오염물은 Fe에 의한 산화물로, 담갈색 오염물은 Ca의 용출에 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갈색 오염물은 암석 내부 기원과 철제 부장품의 산화가 모두 작용하였으며, 담갈색 오염물은 왕릉에 사용된 석회질에서 유입되어 약간의 철산화물이 더해진 것으로 판단된다. 석수와 지석은 균열, 탈락과 같은 물리적 요인과 화학적 오염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손상이 진행되었다. 그러나 모두 물리적 손상은 극히 적으며, 석수 일부분과 왕비 지석 앞면을 제외하고는 화학적 풍화에도 안정한 상태이다.

서울 정릉(貞陵) 재실(齋室)에 대한 소고 (Study on the Memorial Structure(齋室) in Front of Jeongreung Royal Tomb(貞陵) in Seoul)

  • 최득준
    • 건축역사연구
    • /
    • 제22권2호
    • /
    • pp.21-30
    • /
    • 2013
  • This study is related to excavation from ruins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ere are experimental assertion on the basis of results of the excavation, historical records. The location of the memorial structure is identified in picture of Sunwonbogam(선원보감), records of Chunkwantongho(春官通考).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where lay in 250 steps(步) from the south of Hongjeonmun gate, lotus pond lay in southeast of the structure recorded on Chunkwantongho that's guide book to manners. It's matched in the location as result of excavation. The building site consists of main house(윗채), outhouse(아래채) that's stationed in stepped. It seems that main house as the memorial structure have 6 rooms. It's used as outhouse for facilities attached to the main. It's characterized the memorial structure within the Jeongreung royal tomb that's stationed main house, outhouse in stepped it using natural ground. It's estimated that it's tried to conservation for building site, fence etc. in next several time. With regard to constructing time of the structure, traces involved to first construction is simple: 2 chimneys in flower bed, fence, a part of stone elevation, drains by using rectangular stone. It shows that the building site had been reconstructed or renovated during Gho-jong King 37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900). It seems that the memorial structure during approximately 300 years in existence from Hyeon-jong King 10s year of the Choson dynasty(A.D.1669) to the late 1960s.

<홍정명 지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one Epitaph of Hong Jeong-Myeong)

  • 박문열
    •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135-154
    • /
    • 2004
  • This study is a physical and textual analysis on an epigraph, the Stone Epitaph of Hong Jeong-Myeong(홍정명 지석). This was edited by Lee Deuk-Sin and transcribed by Gang Se-Hwang. On the view of physical point the Stone Epitagh is made of black stone and its size is 27.8∼28.2cm high, 20.3∼20.7cm wide, and 2.0∼3.6cm thick. On the view of textual point, the text of Stone Epitaph is about the career of Hong Jeong-Myeong, and the printed style of writing is by depressed engraving on 8 black stone plane.

  • PDF

정암사 수마노탑 탑지석(塔誌石) 연구 (A Study on the Memorial stone of the Sumanotap in Jeongamsa Temple)

  • 손신영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116-133
    • /
    • 2014
  • 수마노탑 탑지석은 1석부터 5석까지 차례로 1719년, 1773년, 1874년, 1653년, 1874년에 제작된 것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연호(年號)와 간지(干支)를 분석해본 결과, 제2석과 제4석 모두 1713년의 기록임을 알게 되었다. 동시기의 기록이 둘로 나눠진 것은, 중수대상을 탑신과 찰간으로 나누어 각기 소임을 맡은 이와 시주자를 기록한 것으로 파악하였다. 수마노탑 탑지석 5매에는 모두 중수불사의 역할을 맡은 승려들의 이름은 물론이고 일반인 시주자들의 이름이 기록되어 있다. 이중 법호법명(法號法名)으로 기록된 제3석의 승려들 이름을 19세기 후반 불사 기록과 비교하여 12명의 동명(同名)을 파악하였다. 이들 대부분이 수마노탑 중수불사 전후로 강원도 서울 경상북도 사불산 일대와 경남 해인사 등지에서 활약했다는 사실은, 당대 불사의 경향과 수마노탑의 위상을 시사하고 있다. 1874년 탑 내에 봉안된 금은합 시주자인 김좌근은 청신녀양씨와 함께 기록되어, 수마노탑 시주자 중 유일하게 알려진 인물이다. 그러나 실재는 그의 애첩, 나합이라 불리던 나주 출신 기생 양씨가 그의 사망 이후 시주한 것이다. 영의정을 지낸 김좌근의 애첩이던 양씨가 왕과 왕비 왕대비 대비 부대부인 등이 대거 참여한 불사에 개인적으로 참여했다는 점은 이례적이다. 더구나 1874년 수마노탑중수는 원자 즉 순종의 탄생 '백일'을 기념하기 위해 왕실에서 사적(私的)으로 이루어진 것이고, 할아버지인 흥선대원군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탑지석에 기록된 10여 곳의 사찰 중 빈번히 등장하는 곳은 경북 봉화의 각화사와 강원도 영월 보덕사이다. 각화사는 사고사찰(史庫寺刹)로서 조정의 관리대상이었고, 보덕사는 단종 능의 원찰로서 왕실에서 돌보는 곳이었다. 따라서 이 두 사찰이 수마노탑 중수 불사에 참여했다는 기록은 이 두 사찰의 조력으로 수마노탑이 중수되었다는 점과 당시 수마노탑의 위상이 사고사찰이나 능침수호사찰 못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남원(南原) 소재 명장 유정(劉綎) 유적과 작품 고찰

  • 박현규
    • 중국학논총
    • /
    • 제68호
    • /
    • pp.235-251
    • /
    • 2020
  • This study collected and intensively analyzed the works and remains in Namwon(南原) province by Liu Ting(劉綎) of Ming Dynasty during the Imjin War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1598; 壬辰倭亂). Liu Ting engraved characters on the rocks as passing by the Yeowon hill(女院峙) twice. A local official of Namwon built a memorial stone at the guest residence of Namwon district to appreciate the contribution of Liu Ting to care for the local people. During the second Japanese invasion in 1597-1598(丁酉再亂), Liu Ting often climbed up the Yongdu pavilion(龍頭亭) located at Mt. Yongtu(龍鬪山) and fell in love with the splendid scenery while enjoying fishing at Jogi(釣磯). Immediately after the war, Liu Ting renovated the Guanwang Shrine(關王廟) in Namwon and built the memorial stone claiming that he defeated the Japanese army with the divine power from Guanyu(關羽).

제주도 마을의 돌문화 요소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 김형남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11권1호
    • /
    • pp.25-36
    • /
    • 2009
  • Coastal village and Inland village was village in jeju. This study was cultural elements of stone to village in jeju. Memorial Stone and Stone Monument Street, Shrine, An altar of sarificial s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Bangsatap(pagoda), 25 Bongsu(25 beacon fire stations) and 38 Yeondae(38 signaling sites), Hwanhaejangseong Fortress, Grave wall and Horse pasture walls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history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An altar of sarificial rite for village tutelary spirits was generally on the a hill near a village, built of Stone wall. Bangsatap(pagoda) was the kind and the size of stone to a location, that expresses the form and the scale. the form of grave wall was the oval or the rectangle, the latter was frequent. Thatched houses in jeju and facilities in a house, Stone wall, Tongsi(pigsty), Paeng namu and A heights of stone, Spring water and Water collected in a depression, Stone Weir, Horse mill and Dodaebul(Old Lighthouse) were included in elements of life and culture to village in jeju. Stone wall has the multiplicity of the size and the building method in the use, the function and the region. The form of Stone weir was the rectangular figure or the curvilinear figure, the section of that was the right triangle or the rectangular form.

  • PDF

景觀構成要素로서의 石造形物의 造形美와 機能에 關한 硏究 (A Study on Structural Function and Beauty of Stone Monuments as Landscape Elements)

  • 이재호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18권3호통권39호
    • /
    • pp.11-22
    • /
    • 1990
  • Culture has long been associated with and advanced by stone as observed in prehistoric dolmen, menhir, megalith monuments, memo-rial stones, and others. The closs association of monuments is seen even in an earlist form of culture and is witnessed to evolve with human history. Korea, with its large quality granite repository, has been active with granite-based monuments in various forms of towers, bridges, and larterns. These stone structures are so abundant throughout Korea that Korea has been called the country of stone tower in Asia. With this historical background, we survey these Korean memorial stone and monuments, found at roadsides, momerial buildings, village entrances, scenic places, schools, sermon halls, public pleasure ground, and other common places. Based on installation orientation, location, and size, a particular emphasis is on the structural value, meaning, beauty, and function of these momnuments coupled with trees, shrubs, water and appropriative landscapes.

  • PDF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에 나타난 기념성 (A Study on Design Characteristics of Korean War Memorials in the United States)

  • 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1호
    • /
    • pp.12-24
    • /
    • 2010
  •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설계요소인 설계개념, 공간적 특성, 조경디테일 및 조각의 특성을 분석하고, 메모리얼에 나타난 기념성을 고찰하는 것이다. 연구를 위해 현장답사, 문헌연구 및 사례연구, 인터넷 검색을 통하여 외부공간 설계가 이루어진 25개의 연구대상지를 선정하였으며, 이를 대상으로 평면도, 위성사진, 관련사진을 수집 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한국전쟁 메모리얼에서 나타나는 주요한 개념으로 희생자 추모, 지역 부대 국가의 명예 고양, 집단적 헌신과 정체성 등을 기본으로 하여 전쟁의 의미와 감정, 한국전쟁의 사실적 묘사 및 상징적 표현이 나타났다. 2. 한국전쟁 메모리얼은 기념공원이나 광장의 제한된 부지에 조성되어 독립적인 공간의 완성을 추구하였다. 공간형태 다양하여 원형이나 사각형 형태가 축을 이루는 것이 많이 나타났지만 일부 부정형도 있었으며, 공간적 연속성과 같은 간적 질서가 일부 메모리얼에서 나타났다. 3. 조경디테일은 희생자를 추모하기 위한 요소로서 기념벽과 기념석, 집단의 정체성을 나타내기 위한 기(旗)와 엠블렘 (emblem)이 주로 사용되고 있었다. 또한 한반도 지도 및 태극문양이 한국과 한국전쟁을 상징하기 위해 자주 도입되었으며, 잊혀진 한국전쟁을 기억하고 미군의 한국참전의 타당성과 의미를 나타내고자 'Forgotten War(잊혀진 전쟁)'과 'Freedom is not Free(자유는 거저 얻어지는 것이 아니다)'가 사용되었다. 4. 조각은 기념성을 다양하게 구현하기 위한 중요한 매체로서 활용되었다. 주로 사실적인 조각이 사용되었고, 일부는 추상적 형태를 갖는 것도 있었으며, 한국전쟁을 상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였다. Washington D.C. 한국전쟁 참전용사 메모리얼(Korean War Veterans Memorial: KWVM)이나 Minnesota 한국전쟁 메모리얼(Korean War Memorial: KWM)의 조각은 현대적인 메모리얼의 상징적 매체로서 뛰어났다. 향후 한국과 미국에 있는 한국전쟁 메모리얼의 비교문화적 연구와 설계양식론 관점에서 메모리얼의 특성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기념성을 구현하기 위한 조경디테일의 특성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for Memorialization)

  • 이상석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71-83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in representing symbolic images in memorials on the themes of war, tragedy, and the democratization movement. In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morial landscapes, the researcher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landscape details into 3 analysis categories. They are the symbolic application of landscape elements, the embodiment of landscape details, and the organization of landscape details to represent symbolic images, for example, memory, mourning, reflection, healing, glory, and identity. Among details in 24 memorials designed in or after 1970. 133 symbolic details were selected including 64 items in Korea. The analysis revealed that among 30 elements used by designers for memorialization, walls, ponds, sculptures were used more often than other elements in representing the meaning of mourning, reflection, and healing that are the basic function of memorial. In regard to detail form, the designers used basic shapes like circles, squares and rectangles, horizontal and vertical lines to heighten the symbolic effect of shapes in confined form. Stone and water utilized from nature were also used as main materials because of their materiality meaning of death, eternity, life, and healing. The techniques of using lighting, fire, and sound were introduced to make details more effective. Details were organized in harmony and repetition to represent the flew of time and space in symbolic images. The study identified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memorial landscapes in Korea that were different from other country first, in designing memorials, most designers in Korea have been more focused on the organization of space than the details in memorials, and so, they have been neglecting to deliver symbolic image through detail design, while depending mainly on the introduction of art works. Lastly, because they introduced traditional elements which have little relation with the symbolic image needed, there have been many details which inaccurately represent symbolic meaning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