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degradation

검색결과 393건 처리시간 0.023초

TCE의 분해를 위한 광촉매 산화반응조의 운전인자 도출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for TCE Degradation in Photocatalytic Oxidative Reactors)

  • 허준무;전승렬;김종수
    • 한국환경농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24-129
    • /
    • 2003
  • 광촉매 산화반응으로 인한 난분해성 유기오염물질의 분해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산화반응의 매개체인 $TiO_2$ 광촉매의 새로운 제조방법을 개발하였고, 이를 이용하여 TCE의 효과적인 분해를 위한 광촉매 산화반응조의 최적 운영인자를 도출하였다. $TiO_2$ 광촉매는 해교제(Davan-C 0.24 wt%)와 결합제(PVA 0.16 wt%)를 첨가하여 슬립 캐스팅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촉매의 특성 변화에 따른 실험결과로 TCE 수용액의 분해효율이 가장 좋은 촉매의 상태는 $TiO_2$ 코팅 횟수가 1회이고 $TiO_2$ 슬립의 두께가 1 mm인 촉매로 확인되었다. 촉매 사용시간에 따른 비교에서는 사용시간이 250 시간인 촉매가 새로이 제작하여 사용한 촉매의 TCE분해효율보다 20% 정도 감소되었다. 광촉매 산화반응조의 물리적 운영인자 도출을 위한 실험결과로 산소의 전처리와 재순환을 실시하면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TCE 분해효율이 증가되었다. 촉매의 단위 표면적당 수용액의 부피비가 $1.47\;mL/cm^2$ 이하에서 높은 TCE 분해효율을 보였으며 UV 광량의 조절시 광량이 $225\;W/cm^2{\times}100$에서 75.8%의 최대 TCE 분해효율을 보였다. TCE의 초기 농도를 조절했을 경우에는 농도가 2 mg/L 이하인 경우에 TCE의 분해효율이 높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으로 제조한 촉매를 이용하여 적절한 UV 광량과 상기한 운영조건하에 광촉매 산화반응조를 운영한다면 정수 및 폐수에 함유된 난분해성 유기성 오염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공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한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복합체 분리막 (Poly(ethylene oxide)/AgBF4/Al(NO3)3/Ag2O Composite Membrane for Olefin/Paraffin Separation)

  • 정수영;강상욱
    • 멤브레인
    • /
    • 제27권4호
    • /
    • pp.313-318
    • /
    • 2017
  • 올레핀/파라핀 분리를 위해 $Poly(ethylene oxide)(PEO)/AgBF_4/Al(NO_3)_3/Ag_2O$ 복합막이 제조되었으며, $Ag_2O$가 도입되었을 때, 복합체 분리막의 초기성능은 선택도 13.7과 투과도 21.7 GPU로 관찰되었다. $PEO/AgBF_4/Al(NO_3)_3$ 분리막의 성능(선택도 13와 투과도 7.5 GPU)에 비해서 초기성능이 증가한 이유는 $Ag_2O$의 첨가로 인한 Ag ion의 활성도 증가로 생각되었다. 하지만 시간에 따른 성능저하 현상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고분자 matrix인 PEO 때문인 것으로 생각되었다. PEO 고분자는 $Ag_2O$ 입자를 안정화 시킬 수 없기 때문에 용매가 증발하면서 $Ag_2O$ 입자끼리 뭉치게 되고, $Ag_2O$가 barrier 역할을 하게 돼서 시간이 지나면 투과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 내구성 평가를 위한 Fenton 반응 조건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Fenton Reaction Condition for Evaluation of Chemical Durability of PEMFC Membrane)

  • 오소형;박지상;정성기;정지홍;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59권1호
    • /
    • pp.49-53
    • /
    • 2021
  • 고분자 연료전지(PEMFC) 고분자막의 화학적 내구성을 평가하는데 Fenton 반응이 자주 사용된다. 그러나 과산화수소와 철 이온의 격렬한 반응 때문에 재현성이 낮아 실험 데이터를 비교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Fenton 반응에 의한 고분자막 내구성 실험의 재현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반응조건을 찾고자 하였다. 과산화수소 농도는 30%로 고정시키고 철이온 농도와 온도, 교반속도, 시료크기를 변화시키며 라디칼에 열화된 Nafion 고분자막의 불소이온 농도를 측정했다. 철이온 농도를 높게하거나 고분자막 시료 크기를 크게하고, Fenton 반응 온도를 80 ℃로 높게하면 실험편차가 커져서 철이온 농도 10 ppm, 온도 70 ℃와 시료크기 0.5 ㎠가 적합하였다.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에서 고분자 막과 전극의 철 이온 오염 및 산 세척 효과 (Iron Ion Contamination and Acid Washing Effect of Polymer Membrane and Electrode in Polymer Electrolyte Fuel Cell)

  • 유동근;박민정;오소형;박권필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60권1호
    • /
    • pp.20-24
    • /
    • 2022
  • 고분자전해질연료전지 (PEMFC) 장기사용과정에서스택요소의부식및공급가스의오염에의해막전극합체 (MEA)의 화학적 열화가 발생한다. 본 연구에서는 화학적으로 열화된 MEA를 산 세척해서 성능을 회복시킬 수 있는지 연구하였다. 철 이온을 오염시키고 황산 수용액으로 세척하여 PEMFC 셀에서 성능을 측정해 비교했다. 0.5 ppm의 철 이온 오염에 의해 약 25%의 성능 감소가 있었고 0.15 M 황산 세척에 의해 97.1% 성능회복이 가능했다. 고분자 막의 철 이온 오염에 의해 막 저항이 증가했고, 저농도 황산 수용액 세척에 의해 전극 촉매의 손실을 최소화하면서 막에서 철 이온을 세척함으로써 이온전도도가 회복되었다. PEMFC MEA의 화학적 오염에 의한 내구성 감소를 산 세척에 의해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효소 고정화막의 응용에 대한 총설 (Applications of Enzyme Immobilized Membranes: A Review)

  • 유정현;라즈쿠마 파텔;김종학
    • 멤브레인
    • /
    • 제31권6호
    • /
    • pp.393-403
    • /
    • 2021
  • 생체 내 변화에서 효소는 중요한 촉매이다. 효소의 안정성과 재사용성은 촉매 과정에서 중요한 요소이다. 적합한 기질에 효소 고정화는 특정 미세환경의 조성을 통해 효소 활동성을 높인다. 다양한 종류의 분리막이 각각의 생체적합성과 막 표면의 친수성/소수성 조절 용이도에 따라 기질로 사용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셀룰로스, 폴리아크릴로니트릴(PAN),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폴리비닐리덴플루오라이드(PVDF), 폴리에테르설폰(PES) 고분자 분리막이 소개되고 토의되었다. 고정화 효소를 이용한 유기오염물의 생물적 분해는 제약 회사 및 섬유 회사 등에서 발생하는 오염물질을 친환경적으로 감소할 수 있는 방법이다. 효소 고정화 생물반응기(EMBR)로 기름의 가수분해를 제어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탄소 배출량 감소 및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다. EMBR로 만들 수 있는 바이오에탄올과 바이오디젤은 화석 연료의 대체제이다.

The In Vitro Translocation of Escherichia coli Ribose-binding Protein via Various Targeting Routes

  • Lee, Byoung-Chul;Kim, Hyoung-Nan;Hwang, Yong-Il
    • BMB Reports
    • /
    • 제34권2호
    • /
    • pp.118-122
    • /
    • 2001
  • The translocation of ribose-binding protein (RBP) into the inverted membrane vesicles (IMV) of Escherichia coli and eukaryotic microsomes was studied using the in vitro translation/translocation system. It was found that RBP was translocated into heterologous eukaryotic microsomes co-translationally, as well as post-translationally However, RBP was translocated only past-translationally into IMV. Degradation fragments of RBP with the molar mass of 14 and 16 kDa were produced during the translocation into IMV However, the amount of the degradation products decreased and the mature form of RBP appeared in the presence of 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 PMSF and GTP accelerated the translocation of RBF It was also found that SecB enhanced the post-translational translocation of RBP It appears that RBP is translocated via at least two targeting paths.

  • PDF

냉시동 환경에서 thermal cycle이 FEMFC의 MEA 열화에 미치는 영향 (The thermal cycle degration of MEA in PEMFC under cold start condition)

  • 이준기;서동호;전유권;설용건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412-414
    • /
    • 2009
  • In recent times, starting up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s(PEMFC) in sub-zero condition is a great challenge of fuel cell electric vehicle(FCEV). The water produced in a cathode during PEMFCs operate. The water changes into the form of solid/ice in sub-zero temperatures and this makes trouble in PEMFC cells. Voltage of PEMFC drops and cold startup is failed. This paper describes an experimental study on the effect of thermal cycle to degradation of MEA in PEMFC.

  • PDF

TiN이 코팅된 316 스테인리스강 분리판을 이용한 고분자전해질 연료전지의 성능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erformance of PEMFC Using the TiN-Coated 316 Stainless Steel Bipolar Plates)

  • 조은애
    • 한국수소및신에너지학회논문집
    • /
    • 제14권4호
    • /
    • pp.291-297
    • /
    • 2003
  • As an alternative bipolar plate material for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uel cell (PEMFC), TiN-coated 316 stainless was evaluated in terms of electrical contact resistance and water contact angle. Performance and lifetime of the TiN-coated 316 bipolar plates were measured in comparison with those of graphite and bare 316 bipolar plates. At a cell voltage of 0.6 V, current density of the single cells using graphite, AISI 316, and TiN/316 bipolar plates was 996, 796, and $896mA/cm^2$, respectively. By coating 316 stainless steel with TiN layer, performance degradation rate determined to be the voltage degradation rate at a cell voltage of 0.6 V was reduced from 2.3 to 0.43 mV/h.

Autophagy and Longevity

  • Nakamura, Shuhei;Yoshimori, Tamotsu
    • Molecules and Cells
    • /
    • 제41권1호
    • /
    • pp.65-72
    • /
    • 2018
  • Autophagy is an evolutionally conserved cytoplasmic degradation system in which varieties of materials are sequestered by a double membrane structure, autophagosome, and delivered to the lysosomes for the degradation. Due to the wide varieties of targets, autophagic activity is essential for cellular homeostasis. Recent genetic evidence indicates that autophagy has a crucial role in the regulation of animal lifespan. Basal level of autophagic activity is elevated in many longevity paradigms and the activity is required for lifespan extension. In most cases, genes involved in autophagy and lysosomal function are induced by several transcription factors including HLH-30/TFEB, PHA-4/FOXA and MML-1/Mondo in long-lived animals. Pharmacological treatments have been shown to extend lifespan through activation of autophagy, indicating autophagy could be a potential and promising target to modulate animal lifespan. Here we summarize recent progress regarding the role of autophagy in lifespan regulation.

Improved modeling of non-hepatic cellular uptake and degradation of low density lipoprotein

  • 임광희;이은주
    • 한국생물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생물공학회 2002년도 생물공학의 동향 (X)
    • /
    • pp.524-527
    • /
    • 2002
  • 인간 fibroblasts의 receptor를 통한 LDL의 섭취와 분해에 대하여 보다 개선되어진 수학적/동역학적 모델을 제시하였다. 관련된 동역학적 모델의 hierarchy를 통하여 세포 멤브레인 표면으로 recycle되는 receptor의 선택적 insertion 정도를 나타내는 파라미터, ${\alpha}$를 가지는 모델을 제안하였다. 여러 가지의 LDL 농도의 미디움과 여러 가지의 실험조건에서 모델예측을 수행하였는데, Brown과 Goldstein의 많은 실험데이터에 잘 일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