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chemistry

검색결과 1,172건 처리시간 0.027초

유기염화물 수용액의 투과증발에 미치는 농도분극의 영향 (Effect of Concentration Polarization on The Pervaporation of Aqueous Chlorinated-Organic Solution)

  • 조민석;김승재;김진환
    • 공업화학
    • /
    • 제9권5호
    • /
    • pp.698-703
    • /
    • 1998
  • 실리콘고무 (polydimethylsiloxane, PDMS)막에 의한 trichloroethylene (TCE)과 chlorobenzene (CB)수용액의 투과증발실험을 수행하고 농도분극이 분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경계층저항은 직렬저항모델을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며, 수용액으로부터 미량의 유기염화물을 제거하는 투과증발에서는 농도분극현상이 투과거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같은 막두께에서, 막에 대한 친화력이나 선택투과성이 더 큰 TCE가 CB수용액보다 경계층저항의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막두께가 증가할수록 경계층저항의 영향은 감소하고 막저항이 지배적이 되며, 겉보기분리계수는 증가하여 막의 고유분리계수에 가까워졌다.

  • PDF

일체형 재생 연료전지(UR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의 이해 (Understanding of Polymer Electrolyte Membrane for a 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URFC))

  • 정호영
    • 공업화학
    • /
    • 제22권2호
    • /
    • pp.125-132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차세대 연료전지 기술로서 일체형 재생 연료전지(Unitized Regenerative Fuel Cell, URFC)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URFC는 신재생 에너지원과 연료전지의 하이브리드 시스템 구현을 목적으로 하는 필수 기술이며 21세기 수소경제 사회 완성을 위한 신기술로 평가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URFC 요소 기술로서 고분자 전해질 막에 대한 연구 결과를 정리하여 URFC 기술의 이해를 돕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URFC용 고분자 전해질 막은 기능적 특성상 높은 수소이온 전도도, 치수안정성, 기계적 물성 및 계면 안정성이 요구된다. 이를 바탕으로 미래 에너지원인 수소의 생산, 저장, 이용을 일체화된 시스템으로 완성시킬 수 있는 URFC 기술은 향후 연료전지 기술과 더불어 풍력과 태양광 발전 등의 신재생 에너지 관련 기술을 함께 발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연구 분야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Acridine Fluorescence Behaviors in Different Polymeric Microenvironments Directed by C2-Proton-Acidity of Imidazolium-Based Ionic Liquids

  • Ji, Myoung-Jin;Kim, Jong-Gyu;Shin, Ueon-Sang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33권8호
    • /
    • pp.2489-2493
    • /
    • 2012
  • A new fluorescent system (acridine/RTIL hybrid gel) confined in the 3D micro-structure of a poly(lactic acid) membrane were prepared from 1-butyl-3-methylimidazolium-based ionic liquids ([bmim]X (X = $SbF_6$, $NTf_2$, Cl); RTILs), poly(lactic acid) (PLA), and acridine via the sol-gel route. SEM images showed that, in the presence of [bmim]$SbF_6$ and [bmim]$NTf_2$, 3D-ly paticulated structures were created inside the PLA membranes and acridine/RTIL hybrid gels were confined in gabs of particulates. However, the use of [bmim]Cl induced the formation of a 3D-ly porous structure containing the hybrid gel of acridine/[bmimCl in the micropores. The three fluorescent systems exhibited different fluorescence behaviors (fluorescence maximum and intensity) depending on the C2-H acidity scale of the RTILs (or their anion type). Acridine gels hybridized with [bmim]$SbF_6$ and [bmim]$NTf_2$ showed blue fluorescence with relative high intensity, whereas the hybrid gel with [bmim]Cl exhibited almost no fluorescence under dry conditions. However, the acridine/[bmim]Cl hybrid system in the micro-porous PLA membrane started to emit fluorescent light under humid conditions and showed a possible response, indicating that it could be applied as a humidity sensor.

POSSIBLE INVOLVEMENT OF Fe-S CENTERS AS MAJOR ENDOGENOUS PHOTOSENSITIZERS IN HIGH LIGHT-CAUSED LOSS OF MEMBRANE STRUCTURE AND FUNCTION OF MITOCHONDRIA

  • Kim, Chang-Sook;Jung, Jin
    • Journal of Photoscience
    • /
    • 제1권1호
    • /
    • pp.9-14
    • /
    • 1994
  • Exposure of isolated intact mitochondria to near UV to visible light resulted in not only loss of respiration, the most well-documented phenomenon regarding phototoxic effects in the respiring organelles, but also lipid peroxidation of membranes and mitochondrial swelling; these turned out to be O$_2$-dependent and thus prevented by anaerobiosis, enhanced by a partial deuteration of the suspension medium, and suppressed by the presence of a singlet oxygen ($^1O_2$) scavenger. Measurements of the spectral dependence of such detrimental effects of light on mitochondrial structure and function revealed that all the resulting spectra bear a significant resemblance to the action spectrum for photogeneration of $^1O_2$ from mitochondrial membranes, which in turn carries the spectral characteristics of light absorption by mitochondrial Fe-S centers. Futhermore, destructing the Fe-S centers by a mercurial treatment of mitochondria brought about a striking reduction of the light-induced membrane peroxidation and swelling of mitochondria. These results are consistent with the suggestion that the impairment of functional, structural integrity of mitochondria caused by strong irradiation is directly related to the production of $^1O_2$ in mitochondria, photosensitized by the Fe-S centers. This paper also presents kinetic data which indicate that, among various membrane-bound protein systems associated with mitochondrial energy metabolism, the respiratory chain is the primary target for photodamage.

  • PDF

음이온 계면활성제 미셀형성을 이용한 중공사 한외여과막 시스템에서의 코발트(Co)이온 제거 (Removal of Co++ Ion in the Hollow Fiber Ultrafiltration System using Anion Surfactant Micellar Enhancement)

  • 양현수;한광희;최광순
    • 공업화학
    • /
    • 제7권1호
    • /
    • pp.109-117
    • /
    • 1996
  • 음이온 계면활성제의 미셀을 이용하여 한외여과막에서의 금속이온의 제거 기술은 분리공정이 간단하고 상변화가 필요없어 폐수로부터 중금속과 작은 분자량의 분자들을 제거할 수 있는 최근에 발전된 기술이다. 임계미셀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은 서로 모이고 거대분자 또는 미셀을 형성한다. 양이온의 코발트 이온과 음이온 계면활성제 미셀과의 정전기적인 결합으로 크기가 커진 거대분자가 한외여과막에서 제거되었다. 막투과압력차는 한외여과막에서의 금속의 제거율에 비교적 작은 영향을 끼치는 반면 음이온 계면활성제와 금속염간의 비(S/M)는 상당한 영향을 끼쳤다.

  • PDF

PTMSP-silica-PEI 복합막에 의한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Separation of Gas Based on PTMSP-silica-PEI Composites)

  • 강태범;홍세령
    • 멤브레인
    • /
    • 제16권2호
    • /
    • pp.123-132
    • /
    • 2006
  • PTMSP-silica-PEI 복합막이 PTMSP에 TEOS를 가하여 졸-겔 방법에 의해 제조되었다. 복합막의 특성은 $^1H-NMR$, FT-IR, TGA, XPS, SEM, GPC 등을 사용하여 조사하였고, 복합막의 기체투과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H_2,\;O_2,\;N_2,\;CO_2,\;CH_4$를 사용하였다. PTMSP-silica-PEI 복합막의 기체 투과도는 TEOS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H_2$$CH_4$는 15 wt% TEOS에서 PTMSP-PEI 복합막보다 투과도와 선택도가 모두 증가하였다. 한편 $O_2$$CO_2$는 선택도의 감소없이 투과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친수성 포스파젠 고분자를 이용한 금속 이온 분리막 제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eparation of Metal-Ion Separation Membrane with Hydrophilic Polyphosphazenes)

  • 권석기;이병철
    • 공업화학
    • /
    • 제10권3호
    • /
    • pp.445-449
    • /
    • 1999
  • 소수성인 poly[bis(trifluoroethoxy)phosphazene]에 methoxyethylenoxy 측쇄를 치환시켜 친수성을 증가시킨 포스파젠 고분자를 합성하였으며 합성된 고분자를 다공성 polypropylene 지지체위에 dip-coating법으로 금속이온 분리막을 제조하였다. $Cr^{3+},\;Co^{2+},\;Mn^{2-}$이온 수용액에 대한 분리실험을 $25^{\circ}C$에서 $60^{\circ}C$까지 온도범위에서 행하였다. 치환된 methoxyethylenoxy기 중의 ethylenoxy의 반복단위가 증가할수록 이온의 투과특성이 증가하는 것을 알수 있었다. Trifluoroethoxy methoxyethoxyethoxyethoxy co-substituted polyphosphazene의 경우 $Cr^{3-}$ 이온이 $60^{\circ}C$에서 분리계수 4.5의 값을 갖고 $Co^{2+},\;Mn^{2+}$ 이온들로부터 분리가 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투과증발법에 의한 방사성폐액의 감용 (Volume Reduction of Radioactive Liquid Waste by Pervaporation Method)

  • 강영호;권선길;양영석;황성태;장인순
    • 공업화학
    • /
    • 제3권2호
    • /
    • pp.327-334
    • /
    • 1992
  • 저준위 방사성 액체폐기물의 새로운 감용방법으로써 cellulose acetate막을 사용한 투과증발법의 연구가 수행되었다. 실험결과에 의하면 일반적으로 유기물의 분리에 사용되는 투과증발법은 액체폐기물의 감용을 위한 제염효과가 우수하였고, 수분의 증발속도도 저준위 방사성 액체폐기물의 감용을 위해 널리 사용되는 자연증발에 비해 현저히 빨랐다. 또한 주입용액의 조건에 따른 실험결과를 토대로 투과증발특성을 평가하였으며, 투과증발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cellulose acetate막의 최적제막조건을 설정하였다.

  • PDF

미생물막 전극을 이용한 BOD 자동화 측정장치 (Automatic On-line BOD Measurement System Using A Microbial Membrane Electrode)

  • 오혁;김해동
    • 분석과학
    • /
    • 제8권3호
    • /
    • pp.335-340
    • /
    • 1995
  • Bacillus subtilis와 PVA를 사용한 미생물막 전극을 이용하여 수질시료의 생화학적 산소요구량(BOD)을 측정할 수 있는 BOD 자동화 측정장치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BOD 자동화 측정장치는 glucose/glutamic acid BOD 표준용액을 사용시 60ppm까지 직선적인 감응을 나타내었으며, 시료주입 후 10분 이내에 자동으로 BOD 측정기능을 수행하였다. Bacillus subtilis와 PVA를 사용한 미생물막 전극의 감응시간과 회복시간은 각각 5분이었으며, BOD 측정 정장치의 자동화에 의하여 10% 오차내에서 재현성 있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 PDF

Poly(dimethyl siloxane)막에 의한 삼성분 알코올수용액의 투과증발 (Pervaporation of Ternary Aqueous Alcohol Solutions through Poly(dimethyl siloxane) Membrane)

  • 김상집;김진환
    • 공업화학
    • /
    • 제7권6호
    • /
    • pp.1087-1095
    • /
    • 1996
  • Poly(dimethyl siloxane)막을 이용하여 $45^{\circ}C$에서 에탄올/이소프로판올/물의 삼성분 혼합물에 대한 투과증발실험을 행하고,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의 존재가 상호의 투과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은 각각 상호의 투과속도를 감소시키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이소프로판올이 에탄올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보다는 에탄올이 이소프로판올의 투과에 미치는 영향이 더 현저하였다. 투과속도의 감소는 고분자막에 대한 에탄올이나 이소프로판올의 가소화 영향보다는 투과성분 사이의 상호작용에 의한 영향이 더 크기 때문으로 생각되었다. 삼성분 혼합물에서 투과성분 사이의 강한 상호작용은 에탄올과 이소프로판올의 투과에 대한 추진력을 감소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