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mbrane chemistry

검색결과 1,172건 처리시간 0.022초

새로운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 단량체를 사용한 습도센서 및 그들의 특성 조사 (Resistive Humidity Sensor Using New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 Monomer and Their Properties)

  • 이인호;박찬교;공명선
    • 폴리머
    • /
    • 제33권4호
    • /
    • pp.326-332
    • /
    • 2009
  • 새로운 감습성 단량체인 N-methacryloyl-N'-ethyl-N'-propyl piperazinium bromide(MANEPPB)를 N-methacryloyl-N'-ethyl piperazine(MANEP)와 1-bromopropane의 4차염화 반응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MANEPPB/MMA/AA=60/35/5, 70/25/5, 80/15/5, 90/5/5 및 95/0/5 조성의 전해질 공중합체를 감습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감습액에 아지리딘 가교제인 trimethylolpropane tris(2-methyl-1-aziridinopropionate)(TTAP)를 혼합하여 금 전극 위에 침적법에 의하여 도포하고 가교반응을 진행하여 습도센서를 제조 하였다. 상대습도에 대한 습도센서의 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20{\sim}90%RH$ 상대습도 영역에서 $10^3$의 저항 값이 변화하였으며, 이것은 상용 습도센서로서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요구되는 특성을 보여주었다. 그 밖에 온도 의존성, 주파수 의존성, 히스테리시스, 응답 및 회복 속도 그리고 내수성을 측정하여 습도센서로서 특성을 평가하였다.

A Helix-induced Oligomeric Transition of Gaegurin 4, an Antimicrobial Peptide Isolated from a Korean Frog

  • Eun, Su-Yong;Jang, Hae-Kyung;Han, Seong-Kyu;Ryu, Pan-Dong;Lee, Byeong-Jae;Han, Kyou-Hoon;Kim, Soon-Jong
    • Molecules and Cells
    • /
    • 제21권2호
    • /
    • pp.229-236
    • /
    • 2006
  • Gaegurin 4 (GGN4), a novel peptide isolated from the skin of a Korean frog, Rana rugosa, has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ctivity. A number of amphipathic peptides closely related to GGN4 undergo a coil to helix transition with concomitant oligomerization in lipid membranes or membrane-mimicking environments. Despite intensive study of their secondary structures, the oligomeric states of the peptides before and after the transition are not well understood. To clarify the structural basis of its antibiotic action, we used analytical ultracentrifugation to define the aggregation state of GGN4 in water, ethyl alcohol, and 1,1,1,3,3,3-hexafluoro-2-propanol (HFIP). The maximum size of GGN4 in 15% HFIP corresponded to a decamer, whereas it was monomeric in buffer. The oligomeric transition is accompanied by a cooperative 9 nm blue-shift of maximum fluorescence emission and a large secondary structure change from an almost random coil to an ${\alpha}$-helical structure. GGN4 induces pores in lipid membranes and, using electrophysiological methods, we estimated the diameter of the pores to be exceed $7.3{\AA}$, which suggests that the minimal oligomer structure responsible is a pentamer.

쌀 배유세포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미세구조 (Ultrastructure of Compound Starch Granules and Protein Bodies of Starchy Endosperm Cell in Rice)

  • 장병수;이수정;김성곤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9권5호
    • /
    • pp.379-383
    • /
    • 1996
  • 조생종 쌀인 오대벼 품종을 대상으로 종자의 배유세포에 있는 전분복합체와 단백질체의 외부형태 및 미세 구조의 특징을 광학현미경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배유세포는 긴 막대모양으로 세로 단면이 장방형 또는 마름모형을 하고 있고, 세포벽은 $0.5\;{\mu}m$의 두께로 균질한 막상 구조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세포내에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전분복합체가 치밀하게 채워져 있으며, 직경이 $18{\sim}25\;{\mu}m$로 다양한 크기로 존재하였다. 전분복합체는 12면체 또는 14면체의 중앙 전분과립을 중심으로 약 $5\;{\mu}m$ 크기의 전분과립들이 동심원상으로 2 내지 3층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유세포에서 단백질체는 호분층에서 보다 아주 드물게 관찰되었지만, 전분복합체의 주변에 인립하여 산재하고 있다. 단백질체는 직경이 약 $3\;{\mu}m$로 구형 또는 난원형의 형태를 하고 있으며 미세구조적으로 중심부는 전자밀도가 높게, 한계막의 주변부는 비교적 전자밀도가 낮게 관찰되었다.

  • PDF

이온넨 단위를 가지는 광경화성 반응성 올리고머를 이용한 내수성 습도센서의 제조 및 감습 특성 (Preparation of Water-Resistant Humidity Sensor Using Photocurable Reactive Oligomers Containing Ionene Unit and Their Properties)

  • 전영민;공명선
    • 폴리머
    • /
    • 제33권1호
    • /
    • pp.19-25
    • /
    • 2009
  • 내수성 감습막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이온넨을 포함하는 광경화성 반응성 올리고머(PIDM)로부터 새로운 종류의 전해질 고분자를 제조하였다. PIDM, hexamethylene dimethacrylate(HDM), pentaerythritol triacrylate dimer(SP1013) 및 광개시제를 혼합하여 전극에 광개시 라디칼 중합과 동시에 도포하였다. 또한, 센서의 내수성 그리고 고온/고습에서의 안정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극 기판에 비닐기를 가지는 실란 카플링제를 사용하여 전처리 하였다. 가교화된 이온넨으로 이루어진 습도센서의 상대습도에 대한 저항을 측정하였을 때, 저항은 20%$\sim$90%RH 상대습도 영역에서 $10^3$의 값이 변화하였으며 이것은 대기의 습도를 측정하는데 요구되는 특성을 만족시키고 있다. 그 밖에 온도의존성, 히스테리시스 응답 및 회복속도, 내수성 그리고 고온/고습에서 장기 안정성을 측정하여 습도센서로서 특성을 평가하였다.

Di-2-ethylhexyl Phthalate (DEHP)에 노출된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의 혈액적 (Di-2-ethylhexyl Phthalate Induced Haematological Effects in Bagrid Catfish, Pseudobagrus fulvidraco After Short Term Exposure)

  • 지정훈;금유화;강주찬
    • 생태와환경
    • /
    • 제37권3호통권108호
    • /
    • pp.313-318
    • /
    • 2004
  • Di-2-ethylhexyl Phthalate (DEHP)는 내분비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는 플라스틱 가소제로서 in vitro에서 혈구세포막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는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를 대상으로 DEHP 급성 노출에 따른 혈액학적 영향을 파악하기위하여 어체중 당 300 및 1,000 mg의 DEHP를 복강주사하였다. DEHP (1,000 mg b.w. $^{-1}$에 노출된 동자개는 적혈구수와 혈색소 농도 및 적혈구 용적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또한, 혈청 내 유기성분인 총단백질량, 콜레스테를 수치는 300 및 1,000 mg 주사구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며 지방산의 농도는 1,000 mg 주사구에서 대조구와 비교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혈청 무기성분인 칼슘농도와 혈액 삼투압 농도는 1,000 mg DEHP 노출구에서 유의적인 감소가 관찰되었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를 유발하는 Streptococcus mutans 저해 효과 (Inhibitory effect of n-hexane extract from Korean red ginseng marc against Streptococcus mutans causing dental caries)

  • 김동청;인만진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4호
    • /
    • pp.357-36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홍삼의 항충치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충치 원인균 Streptococcus mutans에 대한 항균 효과, 균체 부착과 생물막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의 농도에 비례하여 S. mutans의 생육이 저해되었으며,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는 거의 관찰되지 않았다(MIC=125 ㎍/mL).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이 세포막에 작용하여 세포의 핵산 성분이 유출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125 ㎍/mL 이상의 농도에서 S. mutans의 부착과 생물막 형성을 90% 이상 저해하였다. GTase 활성은 50 ㎍/mL 농도에서 완전히 저해되었다. 결론적으로 홍삼박 n-hexane 추출물은 S. mutans의 생육과 생물막 형성을 공통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축전식 탈염 시스템에서 전하량 제어를 통한 경도물질의 안정적인 탈염 (Stable Desalination of Hardness Substances through Charge Control in a Capacitive Deionization System)

  • 김윤태;최재환
    • 공업화학
    • /
    • 제30권4호
    • /
    • pp.472-478
    • /
    • 2019
  • 막 축전식 탈염(MCDI) 셀에 공급하는 총 전하(TC)를 조절하여 경도물질($Ca^{2+}$)을 안정하게 탈염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하였다. 흡착과정에서 TC를 변화시키면서 흡착(1.5 V)과 탈착(0.0 V)을 30회 반복하였다. 탈염과정에서 유출수의 농도와 pH, 흡착 및 탈착량, 전류밀도와 셀 전위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MCDI 셀에 사용된 탄소전극의 최대허용전하(MAC)는 46 C/g로 측정되었다. MAC 이하의 TC (40 C/g)에서 운전한 결과 전극반응이 일어나지 않아 장기간 운전에서도 안정적인 탈염특성을 얻을 수 있었다. 반면, MAC 이상의 TC (50, 60 C/g)에서 운전한 경우 유출수의 농도와 pH가 크게 변하였다. 또한 전극반응으로 인해 전극표면에 스케일이 생성되어 셀의 전기저항이 점차 증가하였다. 이를 통해 흡착과정에서 MCDI 셀에 공급하는 전하를 제어함으로써 전극반응 없이 경도물질을 안정하게 제거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고선택성 유수분리막 적용성 향상을 위한 유수분리장치 성능 개선 연구 (Development of Oil-water Separator for the Effective Application of Highly Selective Membranes)

  • 최광순;이동헌;엄성현
    • 공업화학
    • /
    • 제30권1호
    • /
    • pp.39-4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PET 상용 소재를 기반으로 제작된 유수분리막을 오일 폐수 처리에 효과적으로 적용하기 위하여 유수분리장치 성능 향상 및 적절한 소재 선정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PET 섬유 소재의 방수 능력과 선택성을 유지할 수 있는 최적 조건을 탐색하였으며, 밀도 $60g/m^2$ 이상의 PET 소재를 2겹 이상으로 사용하여야 분리 효율을 유지하면서 본 연구에서 설계한 단위 셀에 적합한 수준의 방수 능력을 보여주었다. 유수분리장치는 회전하는 타공 원통 구조로 설계되고, 외부에 유수분리막이 감싸는 구조로 장착되어 연속적인 흡착제거가 가능하며, 내부에 부유형 방해판을 설치하여 오일 성분을 강제적으로 유수분리막 방향으로 유도하여 제거 효율과 안정성을 극대화하였다.

Quality parameters of chicken breast meat affected by carcass scalding conditions

  • Silva-Buzanello, Rosana Aparecida da;Schuch, Alexia Francielli;Gasparin, Andre Wilhan;Torquato, Alex Sanches;Scremin, Fernando Reinoldo;Canan, Cristiane;Soares, Adriana Lourenco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8호
    • /
    • pp.1186-1194
    • /
    • 2019
  • Objective: The influence of broiler carcass scalding conditions on chicken breast meat quality parameters was investigated. Methods: Two hundred and seventy Cobb broiler chickens from 42 to 48 days old were slaughtered according to the standard industry practice and scalded in five temperature/time combinations-$T_1$, $54^{\circ}C/210s$; $T_2$, $55^{\circ}C/180s$; $T_3$, $56^{\circ}C/150s$; $T_4$, $57^{\circ}C/120s$; $T_5$, $58^{\circ}C/90s$. Results: Scalding temperature increase resulted in higher values of external and ventral lightness and in protein functionality reduction-determined by emulsification capacity and protein denaturation-in chicken breast fillets 24 h post-mortem. Protein secondary structures had conformational changes, with a decrease of the ${\alpha}$-helix and an increase of the ${\beta}$-sheet and ${\beta}$-turn proportions, mainly in $T_1$ and $T_5$ samples, determined by Fourier-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in an attenuated reflectance mode analysis. The chemical composition, pH, water holding capacity and Warner-Bratzler shear force did not differ among the treatments. In the fatty acid profile, the 18:1n-9 was lower in $T_5$, which suggested that the high scalding-temperature could have caused the lipid oxidation. The values of the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such as 22:2, 20:4n-6, and 22:6n-3, were highest in the $T_5$, thus being related to the phospholipid cellular membrane collapse in this experimental condition and subsequent release of these PUFA. Conclusion: Intermediate scalding-parameters avoided the negative changes in the chicken meat quality.

탄소 및 은 잉크 기반의 전위차 나트륨 이온 센서 제조 및 이의 전기화학적 특성 (Fabrication of Potentiometric Sodium-ion Sensor Based on Carbon and Silver Inks and its Electrochemical Characteristics)

  • 김서진;손선규;윤조희;최봉길
    • 공업화학
    • /
    • 제32권4호
    • /
    • pp.456-460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탄소 및 은 잉크를 사용하여 스크린 인쇄 공정을 통한 전위차 나트륨 이온(Na+) 센서를 제작하였다. 센서의 두 전극 구성은 Na+ 용액에서 네른스트 거동에 따라 전극의 전위차를 발생하였다. 제조된 Na+ 센서는 이상적인 네른스트 민감도, 빠른 응답 시간 및 낮은 검출 한계를 보여주었다. 네른스트 반응은 센서의 반복성 및 장기 내구성 테스트 시 안정적이었다. 탄소 전극에 코팅된 Na+ 선택막은 간섭 이온에 대해 나트륨 이온을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우수한 선택성을 증명하였다. 휴대용 Na+ 센서는 인쇄 회로 시스템을 사용하여 제작되었으며 다양한 실제 샘플에서 Na+ 농도를 성공적으로 측정하는 것을 증명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