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ju fermentation

검색결과 178건 처리시간 0.029초

담금방법을 달리한 고추장의 유기산 및 지방산의 변화 (The Changes in Organic Acids and Fatty Acids in Kochu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ashing Methods)

  • 전명숙;이택수;노봉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25-29
    • /
    • 1995
  • 담금방법을 달리하여 제조한 메주, 고오지, amylase, protease 고추장의 유기산과 지방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Citric acid, malic acid, lactic acid, succinic acid, formic acid, oxalic acid, acet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Citric acid는 $450{\sim}565$ mg%로 가장 많은 량으로 나타났고 다음이 lactic acid, malic acid 등이었다. 유기산 총량은 담금직후에 메주고추장이, 90일후는 고오지 고추장이 높았으나 시험구간의 함량차이는 적었다. Oleic acid, palmitic acid, lauric acid, linoleic acid, myristic acid, stearic acid가 고추장에서 검출되었다. Oleic acid는 $68.59{\sim}75.38%$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냈으나 각시험구간의 지방산 조성비율은 차이가 거의 없었다.

  • PDF

개량(改良)메주의 숙성과정(熟成過程) 중(中) Proteins 및 Amino Acid 변화(變化)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ies on Change of Lipid in Improvement-Meju during the Fermentation)

  • 배만종;윤상홍;최청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70-378
    • /
    • 1983
  • Aspergillus oryzae에 의한 개량(改良)메주의 숙성과정(熟成過程)에 있어서 단백질 및 아미노산 조성(組成)의 변화(變化)를 체계적(體系的)으로 규명(糾明)하기 위하여 disc gel electrophoresis 및 아미노산 분석기기(分析機器)에 의한 실험결과(實驗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농도(濃度)가 다른 $Na_{2}SO_{4},\;MgSO_{4},\;Na_{2}CO_{3},\;NaCl$$Na_{2}SO_{4}$의 염(鹽)을 이용하여 대두의 염용해성(廉溶解性) 단백질을 분리(分離)한 결과(結果) 0.4M $Na_{2}SO_{4}$용액(溶液)에서 그 수득율(收得率)(30%)이 가장 높았다. 2. 대두 단백질을 분별정량(分別定量)한 결과(結果) 그 함유량(含有量)이 가장 많은 것은 albumine 46.0% 였으며 globulin 33.9%, glutelin 19.5%, prolamin 2.4%순이였으며 메주의 숙성과정(熟成過程) 중(中)에 있어서 albumin과 prolamin 은 차차 증가(增加)하였으나 glutelin은 감소(減少)하였고 globulin은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3. Sephadex G-200으로 albumin을 분획(分劃)한 결과(結果) 대두에서는 6개, 숙성(熟成) 0일에서는 3개, 6일 째는 8개로 증가(增加)하였다. 4. 대두 및 메주의 발효과정(醱酵過程)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다같이 17종류(種類)로 glutamic acid 및 aspartic acid가 제일 많았으며 삶은 콩이 메주에 비(比)하여 albumin의 아미노산조성(組成) 가운데 arginine, aspartic acid, glutamic acid 및 glycine의 함량(含量)이 많았다. 5. Sephadex G-200으로 albumin을 분획(分劃)한 결과 대두및 메주에서 주(主)된 단백질의 조성(組成)아미노산은 17 종류(種類)로 그 함량(含量)은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제일 많았으며, 메주의 발효과정(醱酵過程)에 있어서 albumin의 주(主)된 단백질의 amino acid 조성변화(組成變化)는 lysine, histidine, phenylalanine, threonine, serine, alanine, isoleuc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NH_3$가 차차 증가(增加)하였으며 이 밖의 다른 아미노산은 감소(減少)하였다. 6. 전기영동(電氣泳動)의 pattern에서 대두 단백질의 band 수(數)는 13개로 나타났으며 메주 숙성과정(熟成過程)에 있어서는 처음 3개에서 6일째에는 10개의 band로 차차 증가(增加)하였다. 메주의 발효과정(醱酵過程) 중(中)에 있어서 albumin의 주(主)된 단백질의 분구량(分句量)은 대두에서 175,000이었고 0 일때 135,000에서 6 일째는 36,000으로 감소(減少)하였다.

  • PDF

청국장(淸國醬) 메주 발효과정중(醱酵過程中)의 질소화합물(窒素化合物)의 소장(消長)에 관(關)한 연구(硏究)(I)-대두단백질(大豆蛋白質)의 소장(消長)에 관(關)하여- (Studies on the N-compounds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1) -Changes of Soybean Protein during Chung-Kook-Jang Meju Fermentation-)

  • 박계인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15권2호
    • /
    • pp.93-109
    • /
    • 1972
  • 우리나라 고유식품(固有食品)의 일종(一種)인 청국장(淸國醬)의 질소화합물의 변화를 연구하기 위하여 필자(筆者)가 분리동정한 2가지 청국장(淸國醬)메주발효균(醱酵菌)(K-27, S-16)과 보존 납두균(納頭菌)으로 청국장(淸國醬)메주를 발효(醱酵)시키면서 경시적(經時的)으로 채취(採取)한 시료(試料)에 대(對)하여 총질소(總窒素), pH, 단백질(蛋白質) 분리효소역가(分解酵素力價), 불용성단백태질소(不溶性蛋白態窒素), 수용성단백태질소(水溶性蛋白態窒素), 펩타이드태질소(態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 및 각종유리(各種遊離)아미노산(酸) 등을 조사분석(調査分析)하는 동시에 cross linkage가 각각 다른 Dowex-50을 사용하여 분자식별(分子篩別)한 각(各) fraction에 대하여 total-N, amino-N을 측정하고 average peptide length를 계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結果)를 얻었다. 1. 총질소(總窒素): 발효가 진행함에 따라 세가지의 시험구의 총질소가 다같이 약간(若干) 증가(增加)되었다. 2. 불용성단백태질소(不溶性蛋白態窒素): 불용성단백태질소(不溶性蛋白態窒素)는 증숙공정(蒸熟工程)에서 일단현저(一旦顯著)하게 증가(增加)되었다가 3종시료(三種試料)가 다 같이 경시적(經時的)으로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였으나 보존균주구에 비(比)하여 분리균주구(分離菌株區)의 감소(減少)가 더욱 심(甚)하며, 그중에서도 K-27 균주접종구(菌株接種區)가 특(特)히 현저(顯著)한 감소경향(減少傾向)을 보였다. 3. 가용성단백태질소(可溶性蛋白態窒素): 가용성단백태질소(可溶性蛋白態窒素)는 증숙공정(蒸熟工程)에서 일단(一但) 대폭(大幅) 감소(減少)되었다가 기후(其後)부터는 세가지 청국장(淸國醬)메주가 다 같이 약간(若干)씩 감소(減少)되는 경향(傾向)이었으나 그 중에시 K-27 균주구(菌株區讀)의 감소율(減少率)이 컸다. 4. Peptide 태(態), 아미노태(態) 및 암모니아태질소(態窒素)는 증가(增加)되고 아미노태질소(態窒素)는 약간(若干)씩 감소(減少)되었다가 발효과정(醱酵過程)에서 세가지구(區)가 모두 계속(繼續)하여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기중(其中) 펩타이드태질소(態窒素)만은 각구(各區)에 따라 각각 다른 일정시간(一定時間)에 최고치(最高値)를 이루었다가 그후 점차 감소되었다. 그리고 세가지 시험구중 특히 K-27 균주접종구의 질소화합물변화가 다른 것에 비하여 현저하게 컸다. 5. pH와 Protease activity: 세가지 시험구(試驗區)의 PH 변화(變化)는 증숙대두(蒸熟大豆)의 6.65에서 계속상승(繼續上昇)하여 73시간(時間) 발효시(醱酵時)에는 $7.5{\sim}7.85$까지 이르렸으며 Protease activity는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현저(顯著)하게 높아졌다가 pH가 7.3 내외(內外)가 되는 $48{\sim}60$ 시간발효(時間醱酵)를 한계점(限界點)으로 하여 점차감소(漸次減少)되었다. 6. 유리(遊離)아미노산(酸):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은 발효(醱酵)가 진행(進行)됨에 따라 세가지 시험구(試驗區)가 다같이 수십배(數拾倍) 내지 수백배(數百倍)로 현저(顯著)하게 증가(增加)되었으며 그후 K-27균주구(菌株區)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증가(增加)가 훨씬 높았다. 7. 분자사별(分子篩別) fraction의 총질소(總窒素), 아미노태질소(態窒素) 및 APL: K-27 균주구(菌株區)의 시료(試料)를 분자사별(分子篩別)하여 얻은 각(各) fraction의 총질소(總窒素)와 아미노태질소(態窒素)는 발효(醱酵)가 진행(進行)함에 따라 X-16, X-12 및 X-8 fraction은 대체적(大體的)으로 증가(增加)되었으나 X-4, X-2 및 effluent fraction은 일정(一定)한 발효시간(醱騎時間)까지 증가(增加)되었다가 그후(後) 감소(減少)되었다. effluent를 제외(除外)한 전(全) fraction의 APL은 증숙대두(蒸熟大豆)에서 가장 크고 발효시간(醱騎時間)이 경과(經過)함에 따라 점차감소(漸次減少)되었다.

  • PDF

개량식 간장의 발효 초기 단계에서의 미생물 다양성 및 천이에 관한 연구 (Diversity and Succession of the Bacterial Community during the Initial Fermentation Period in Modernized Soy Sauce (Ganjang))

  • 정호진;하광수;이정미;송예지;정도연;양희종
    • 생명과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481-489
    • /
    • 2023
  • 콩을 주원료로 발효하여 제조되는 조미료인 간장의 맛과 품질은 발효 중 미생물의 대사에 큰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개량식 간장의 초기 발효과정에서 미생물학적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본 연구원 보유 미생물을 스타터로 활용한 메주와 염수를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하였으며, 5주간의 발효과정에서 발효 1주차, 3주차, 5주차 간장 시료의 16S rRNA 유전자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에서는 Halomonadaceae과 미생물이 89.83%를 차지하였으며, 3주차 간장과 5주차 간장에서는 각각 14.46%, 13.78%로 나타나 매우 유의한 수준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종 수준에서 미생물 분포를 분석한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에서는 Chromohalobacter beijerinckii와 Chromohalobacter canadensis가 가장 우점하는 미생물로 나타났으나, 발효 3주차와 5주차 간장에서는 Bacillus subtilis, Pediococcus acidilactici, Enterococcus faecalis가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로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발효과정 중 우점 미생물의 분포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Chromohalobacter는 Bacillus, Enterococcus와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Beta-diversity 분석 결과 발효 1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은 발효 3주차, 5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발효 3주차 간장과 5주차 간장의 미생물 군집 사이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장 발효기간별 바이오 마커를 분석하기 위해 선형 판별 효과 크기 분석을 수행한 결과 호염성 미생물, Bacillus 속 미생물, 유산균의 상대적인 풍부도가 발효기간에 따른 미생물 군집 구조 차이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Isolation of Higher Alcohol-Producing Yeast as the Flavor Components and Determination of Optimal Culture Conditions

  • Kwon, Dong-Jin;Kim, Wang-June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4권5호
    • /
    • pp.576-580
    • /
    • 2005
  • Ten yeast strains affecting doenjang flavor were isolated from soybean fermented foods (traditional meju and doenjang), among which Zygosaccharomyces sp. Y-2-5, showing excellent growth, glucose consumption, pH, and flavor production, was selected. Higher alcohols produced by Zygosaccharomyces sp. Y-2-5 related to flavor were 2-propanol, 1-propanol, 2-methyl-1-propanol, 1-butanol, and 3.3-dimethyl-2-butanol. Optimal culture conditions for Zygosaccharomyces sp. Y-2-5 were 10% (w/v) NaCl, pH 4.0, 3.0% (w/v) glucose concentration, and inoculation time day 0 or 15 doenjang fermentation.

메주 제조 시 Bacillus subtilis의 첨가가 재래식 된장의 발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Inoculation of Bacillus subtilis Cells on the Fermentation of Korean Traditional Soy Paste(Doenjang))

  • 이창호;김원찬;이인구;박희동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598-605
    • /
    • 2008
  • Bacillus subtilis를 메주 제조 시 starter로 접종하여 발효시킨 메주를 이용하여 된장을 담근 후 일정기간 숙성시킨 다음 된장의 이화학적 성질 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Amylase와 protease의 활성은 숙성 60일 후 4.11 unit/mL와 7.75 unit/mL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숙성이 더욱 진행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yrosinase의 저해활성과 ACE 저해 활성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항 돌연변이 활성은 숙성기간이 길어질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TA100에 대하여 변이원 MNNG와 NPD에 대한 항 돌연변이 활성은 70.33%와 60.22%로 나타났으며, TA98에 대하여 변이원 NPD와 NQO에 대한 항 돌연변이 활성은 50.84와 47.01%를 나타내었다. 90일간 발효 숙성시킨 된장의 isoflavon의 함량은 genistin의 경우 Bacillus subtilis를 첨가하여 제조한 경우가 187.48 ${\mu}g/g$으로 높게 나타났다. Daidzein과 genistein은 전통적으로 제조한 메주를 이용한 된장에서 각각 574.88 ${\mu}g/g$과 532.92 ${\mu}g/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Questionnaire Survey of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Production in Korea

  • Ryu, So Young;Lee, Sang Yoo;Woo, So Young;Kang, Seung Yoon;Song, Jeonghun;Jeong, A-Yeong;Chun, Hyang Sook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5권4호
    • /
    • pp.342-350
    • /
    • 2020
  • This study examined the methods used in household doenjang (Korean soybean paste) production. Nine hundred forty-three responses were obtained using a nationwide, questionnaire-based survey (2018-2019) with non-probabilistic snowballing sampling. Consistent with previous studies, the respondents were primarily over the age of 50 years (97.1%) and female (97.9%). In addition to soybeans, the most used ingredients were red pepper (85.8%) and charcoal (85.5%), which most respondents obtained through direct farming (50.4-59.9%). Seasonal production occurred later in the higher latitude regions (Gyeonggi-do, Gangwon-do, Chungcheong-do) (p < 0.01), which have lower average temperatures, and the fermentation period was shorter in the lower latitude regions (Jeolla-do, Gyeongsang-do, Jeju-do) (p < 0.01), which have higher average temperatures. There were no significant regional differences in the season when doenjang was made, with most production occurring during January and February (81.1%). Most respondents (71.3%) made doenjang using homemade meju (soybean block used as a starter) in a traditional way to allow the microorganisms to be naturally inoculated. These results could be used as a basis for future research on topics such as starter development, standardized production, and safety of household doenjang.

Aflatoxin B1 Detoxification by Aspergillus oryzae from Meju,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Starter

  • Lee, Kyu Ri;Yang, Sun Min;Cho, Sung Min;Kim, Myunghee;Hong, Sung-Yong;Chung, Soo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7권1호
    • /
    • pp.57-66
    • /
    • 2017
  • Aflatoxins are classified as Group 1 (carcinogenic to humans) by the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n this study, a total of 134 fungal strains were isolated from 65 meju samples, and two fungal isolates were selected as potential aflatoxin $B_1$ ($AFB_1$)-biodetoxification fungi. These fungi were identified as Aspergillus oryzae MAO103 and A. oryzae MAO104 by sequencing the beta-tubulin gene. The two A. oryzae strains were able to degrade more than 90% of $AFB_1$ (initial concentration: $40{\mu}g/l$) in a culture broth in 14 days. The mutagenic effects of $AFB_1$ treated with A. oryzae MAO103 and MAO104 significantly decreased to 5.7% and 6.4%, respectively, in the frame-shift mutation of Ames tests using Salmonella typhimurium TA98. The base-substituting mutagenicity of $AFB_1$ was also decreased by the two fungi. Moreover, $AFB_1$ production by Aspergillus flavu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by the two A. oryzae strains on soybean-based agar plates. Our data suggest that the two $AFB_1$-detoxifying A. oryzae strains have potential application to control $AFB_1$ in foods and feeds.

메주 유래의 B. subtilis SCB-3으로 제조된 된장의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저해효과 (Angiotensin I Converting Enzyme Inhibitory Effect of Doenjang Fermented by B. subtilis SCB-3 Isolated from JeJu, Korean Traditional Food)

  • 황종현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775-783
    • /
    • 1997
  • Morphologically different 18 strains were isolated and examined for their abilities to inhibit ACE. Those strains were cultured in the medium containing 10% of soybean extract at 37$^{\circ}C$ for 48hr or fermented with boiled soybean at 3$0^{\circ}C$ for 60 days. The concentration of inhibitors to inhibit 50% of ACE activity, $IC_{50}$ was measured on the culture broth of each strain and also on the hot-water extract from 20, 40 and 60 day fermented Doenjang by each strain. As a result, SCB-3 which is isolated from Meju showed the highest ACE inhibitoryactivity on the cultured broth and 40 day matured Doenjang. Then, $IC_{50}$ of SCB-3 was 0.02 mg/ml and 0.26mg/ml respectively. SCB-3 was identified as a Bacillus subtilis based upon its morphological, biochemical and physiological properties. Changes in general components and ACE inhibitory activity of Doenjang fermented by SCB-3 were examined during 90 days. Total acidity of Doenjang was increased from 1.39% to 1.66% and pH was decreased from 6.02 to 5.79 after 90 days fermentation. Total sugar contents were decreased from 16.4% to 15.1% and reducing sugar contents was also decreased from 2.45% to 1.62%. Total nitrogen contents were nearly not changed, but amino nitrogen contents were drastically increased from 196mg% to 541mg%. The numbers of total microorganism were increased to 1.1$\times$$10^{8}$ cells/g after 45 days. Protease activity was increased to 622.1U/g after 75 days. The highest ACE inhibitory activity was shown in 60 day fermented Doenjang and $IC_{50}$ of the hot-water extract was 0.31mg/ml.

  • PDF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Extract Using Candida allociferrii JNO301 Isolated from Meju

  • Lee, Sulhee;Lee, Yong-Hun;Park, Jung-Min;Bai, Dong-Hoon;Jang, Jae Kweon;Park, Young-Seo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68-375
    • /
    • 2014
  • Red ginseng (Panax ginseng), a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lant, contains a variety of ginsenosides as major functional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sugar moieties from the major ginsenosides, which have a lower absorption rate into the intestine, to obtain the aglycone form. To screen for microorganisms showing bioconversion activity for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5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a starter culture made with soybean and wheat flour for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Twenty strains in which a black zone formed around the colony on esculin-yeast malt agar plates were screened first, and among them 5 strains having high ${\beta}$-glucosidase activity on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s a substrate were then selected. Strain JNO301 was finally chosen as a bioconverting strain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its high bioconversion activity for red ginseng extract as determin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The selected bioconversion strain was identified as Candida allociferrii JNO301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18S rRNA gen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cell growth were $20{\sim}30^{\circ}C$ and pH 5~8, respectively. TLC analysis confirmed that C. allociferrii JNO301 converted ginsenoside Rb1 into Rd and then into F2, Rb2 into compound O, Rc into compound Mc1, and Rf into Rh1.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that bioconversion of red ginseng extract resulted in an increase of 2.73, 3.32, 33.87, 16, and 5.48 fold in the concentration of Rd, F2, compound O, compound Mc1, and Rh1,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