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um composition.

검색결과 991건 처리시간 0.03초

Development of a new lactic acid bacterial inoculant for fresh rice straw silage

  • Kim, Jong Geun;Ham, Jun Sang;Li, Yu Wei;Park, Hyung Soo;Huh, Chul-Sung;Park, Byung-Chu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7호
    • /
    • pp.950-956
    • /
    • 2017
  • Objective: Effects of newly isolated Lactobacillus plantarum on the fermentation and chemical composition of fresh rice straw silage was evaluated in this study. Methods: Lactic acid bacteria (LAB) from good crop silage were screened by growing them in MRS broth and a minimal medium with low carbohydrate content. Selected LAB (LAB 1821) were Gram-positive, rods, catalase negative, and were identified to be Lactobacillus plantarum based on their bi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a 16S rRNA analysis. Fresh rice straw was ensiled with two isolated LAB (1821 and 1841), two commercial inoculants (HM/F and P1132) and no additive as a control. Results: After 2 months of storage at ambient temperature, rice straw silages treated with additives were well-preserved, the pH values and butyric and acetic acid contents were lower, and the lactic acid content and lactic/acetic acid ratio were higher than those in the control (p<0.05). Acidity (pH) was lowest, and lactic acid highest, in 1821-treated silage (p<0.05). The $NH_3-N$ content decreased significantly in inoculant-treated silage (p<0.05) and the $NH_3-N$ content in 1821-treated silage was lowest among the treatments. The dry matter (DM) content of the control silage was lower than that of fresh rice straw (p<0.05), while that of the 1841- and p1174-inoculant-treated silages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M/F-treated silage. Microbial additives did not have any significant (p>0.05) effect on acid detergent fiber or neutral detergent fiber contents. Crude protein (CP) content and in vitro DM digestibility (IVDMD) increased after inoculation of LAB 1821 (p<0.05). Conclusion: LAB 1821 increased the CP, IVDMD, lactic acid content and ratio of lactic acid to acetic acid in rice straw silage and decreased the pH, acetic acid, $NH_3-N$, and butyric acid contents. Therefore, adding LAB 1821 improved the fermentation quality and feed value of rice straw silage.

개불의 함질소 엑스성분 (Extractive Nitrogenous constituents of Echiuroid Urechis unichinctus)

  • 박춘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3-19
    • /
    • 1999
  • 신선한 개불 U. unicinctus의 맛 성분 조성을 구명하기 위하여 1988년 4월 어시장에서 살아있는 시료를 구입하여 체중에 따라 중형과 대형으로 나누고 가식부의 엑스분질소, 유리아미노산, oligopeptide류, 핵산관련물질, betaine류, TMAO, TMA, creatine 및 creatinine 등 함 질소 엑스성분을 분석하였다. 엑스분질소는 $601{\sim}610\;mg100g$이었고, 유리아미노산은 32종이 검출되었으며 총량은 $2,437{\sim}2,609mg/100g$이었다. 함량이 많고 중요한 유리아미노산으로는 glycine, alanine, taurine, serine 등이었다. Oligopeptide에서 유래한 아미노산은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28.6{\sim}30.4%$ 수준이었다. 핵산관련물질로서 ATP 관련물질 총량은 $3.04{\sim}3.12\;{\mu}mol/g$이었으며 그 중 AMP가 $87.2{\sim}89.4%$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개불 중에는 adenine nucleotides 이외에도 GTP, UTP, CTP 관련물질 등 11종의 핵산성분이 검출되었으며 그 총량도 ATP 관련물질에 버금가는 량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Betaine류로서는 Homarine과 trigonelline이 미량검출되었다. 그리고, TMAO, TMA, creatine도 함량이 낮았다. 개불 엑스분 중의 질소분포 특징은 glycine함량이 $1,075{\sim}1,171\;mg$에 달하여 단일 성분으로 유리아미노산 총량의 $50.6{\sim}51.6%$, 그리고 엑스분질소의 $33.4{\sim}35.9%$를 차지하여 단맛의 중요한 성분으로 판단되었다. 분석된 성분에 의한 엑스분질소의 회수율은 $92.3{\sim}96.4%$ 범위였다. 체중에 따른 맛 성분의 차이는 발견 할 수 없었다.

  • PDF

전통 된장으로부터 분리한 향균물질 생산 Bacillus subtili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Antibacterial Substance - Producing Bacillus subtilis Isolated from Traditional Doenjang)

  • 유현순;손미예;조수정;박석규;이상원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2호
    • /
    • pp.87-94
    • /
    • 2007
  • 전통 장류 발효식품의 발효도와 저장성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전통 콩 발효식품으로부터 cellulase, amylase, protease 활성 및 항균활성 물질 생성이 우수한 바실러스 HS25 균주를 분리하여 그 배양학적 특성을 검토하였다. HS25 균주는 편모와 내생포자를 가지며, 다량의 점질물을 형성하는 그람양성 간균으로 catalase 양성, oxidase 음성으로 esculin을 가수분해하였고, 16S rDNA분석 등을 통하여 Bacillus subtilis로 밝혀져 B. subtilis HS25로 명명하였다. B. subtilis HS25 균주의 생육 및 항균물질 생산을 위하여 최적 배지조성은 soluble starch 1%, yeast extract 0.5%, peptone 0.5% 및 $MgCl_2{\cdot}6H_{2}O$ 0.05%이었으며, 최적 배양온도는 $25{\sim}45^{\circ}C$, 초기 pH는 $6.5{\sim}9.5$, 최적 교반속도는 $160{\sim}200$ rpm이었고, 항균활성이 가장 높게 나타나는 배양 시간 범위는 $12{\sim}36$시간째였다.

Bacillus pumilus RS7에 의한 난분해성 케라틴 분해효소의 생산 및 아미노산 공급원으로서 우모 분해산물 (Production of Keratinolytic Protease by Bacillus pumilus RS7 and Feather Hydrolysate As a Source of Amino Acids)

  • 우은옥;김민주;손형식;유은연;정성윤;손홍주;이상준;박근태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16권10호
    • /
    • pp.1203-1208
    • /
    • 2007
  • Feathers are produced in huge quantities as a waste product at commercial poultry processing plants. Since feathers are almost pure keratin protein, feather wastes represent an alternative to more expensive dietary ingredients for animal feedstuffs. Generally they become feather meal used as animal feed after undergoing physical and chemical treatments. These processes require significant energy and also cause environmental pollutions. Therefore, biodegradation of feather by microorganisms represents an alternative method to prevent environment contamin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ultural conditions affecting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by Bacillus pumilus RS7. We also assessed the nutritive value of microbial and alkaline feather hydrolysates, The composition of optimal medium for the keratinolytic protease was fructose 0.05%, yeast extract 0.3%, NaCl 0.05%, K2HPO4 0.03%, KH2PO4 0.04% and MgCl2 6H2O 0.01%, respectively. The optimal temperature and initial pH was $30^{\circ}C$ and 9.0, respectively. The keratinolytic protease production under optimal condition reached a maximum after 18 h of cultivation. Tot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113.8\;{\mu}g/ml$ and $504.9\;{\mu}g/ml$, respectively. Essential amino acid content of feather hydrolysates treated by NaOH and B. pumilius RS7 was $47.2\;{\mu}g/ml$ and $334.0\;{\mu}g/ml$, respectively. Thus, feather hydrolysates have the potential for utilization as an ingredient in animal feed.

n-옥탄의 촉매 분해반응에서 제올라이트의 세공구조가 생성물 분포와 활성저하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ore Structure of Zeolites on their Product Distribution and Deactivation in the Catalytic Cracking of n-Octane)

  • 민병구;이재열;송요순;서곤
    •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
    • /
    • 제45권6호
    • /
    • pp.547-553
    • /
    • 2007
  • FER, MFI, MOR, BEA 제올라이트 촉매에서 n-옥탄의 분해반응을 양성자 분해반응(protolytic cracking mechanism) 기구로 해석하여 제올라이트의 세공구조가 생성물 분포와 활성저하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세공이 작으면 분해반응이 많이 진행되어 $C_3$$C_3{^=}$가 주로 생성되나, 세공이 큰 제올라이트에서는 초기 생성물인 $C_4$$C_4{^=}$가 주로 생성된다. MFI 제올라이트에서는 탄소 침적이 억제되어 활성저하가 느리나, FER 제올라이트에서는 탄소가 많이 침적되어 촉매 활성이 빠르게 저하되었다. BEA 제올라이트에서는 탄소가 많이 침적되어도 활성저하가 느리나, MOR 제올라이트에서는 탄소가 조금만 침적되어도 활성저하가 빨랐다. n-옥탄 분해반응의 기구를 단순화하고 탄소 침적에 의한 세공 차폐 정도를 활성저하와 연관지어 반응시간에 따른 전환율 저하 과정을 모사하였다.

한국 전통 메주 유래의 Aspergillus wentti가 생성하는 Protease 의 정제 및 특성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Protease Produced by Aspergillus wentti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 임성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61-167
    • /
    • 2000
  • 한국의 재래식메주로부터 분리 동정한 Aspergillus wentti가 생산하는 protease를 정제하고 그 특성을 조사하였다. 기본배지[밀기울 :1% glucose 함유$H_2O=1:1\;(w/v)]$에서의 효소생산 최적조건은 pH 9.0, $30^{\circ}C$, 4일 이었다. 효소의 정제는 먼저 배양 밀기울로부터 20mM phosphate(pH 8.0)로 효소를 추출하고 QAE-Sephadex와 SP-Sephadex의 ion exchange chromatography로 비흡착성 활성단백질을 분리한 후 두차례의 Sephadex G-100 gel filtration로서 분자량 약 32,000(SDS-PAGE분석 : 단일밴드)의 비활성도 213unit/mg, 정제배수 27.3배로 효소를 정제하였다. 본 효소의 $K_m$값은 $3.049{\times}10^{(-4)}M,\;V_(max)$값은 $151.1\;{\mu}g/min$이었으며 ISP, hemoglobin, bovine albumin 보다 casein에 대해 가수분해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제효소의 최적작용 pH와 온도는 pH 9.0, $50^{\circ}C$였으며 pH $4.0{\sim}11.0$의 범위와 $40^{\circ}C$이하에서 안정하였으며 효소활성은 금속이온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았고 2mM의 phenylmetanesulfonyl fluoride에 의해 86% 실활되었다. 이 결과로부터 본 효소는 효소 활성부위가 serine의 OH기인 serine protease인 것으로 밝혀졌다.

  • PDF

Keratinase 생산균 Bacillus subtilis SMMJ-2의 변이주 분리와 효소학적 특성 비교 (Isolation of Mutant Strains from Keratinase Producing Bacillus subtilis SMMJ-2 and Comparision of Their Enzymatic Properties)

  • 고희선;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429-436
    • /
    • 201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얻은 keratinase 효소의 활성이 높은 균주 Bacillus subtilis SMMJ-2를 UV 조사에 의해 개량하여 mutant No. 2를 얻었으며, keratinase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 탄소원, 최적 질소원의 조건 하에서 본 효소를 대량생산하여 정제하고, 야생주와 변이주 간의 효소활성의 변화 및 정제된 효소 간의 효소화학적인 성질을 비교하였다. Mutant No. 2의 keratinase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각각 glucose와 soybean meal로 나타나, 야생주의 경우와는 최적 질소원을 달리했으며, 효소활성에 있어서는 야생주보다 40% 정도 상승하였다. 변이주의 효소가 야생주의 효소보다 높은 배양온도에 대하여 더 안정적인 활성으로 생산되며, 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pH는 7.0으로, 비교적 효소생산이 가능한 pH 영역대은 6~9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 SMMJ-2와 mutant No. 2에서 생산된 keratinase는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법와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최종 정제되었다. 정제과정 중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나타나는 2개의 효소피크는 Bacillus subtilis SMMJ-2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와 mutant No. 2에서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가 전환되어 나타났다. SDS-PAGE 상에서의 각각의 효소 분자량은 B. subtilis SMMJ-2의 경우에 28 kDa, mutant No. 2의 경우에 42 kDa 로 추산되었다

In vitro system에서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효과 (Neuronal Cell Protective Effects of Methanol Extract from Cheonggukjang Using in vitro System)

  • 정창호;곽지현;김지혜;최귀남;정희록;허호진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6호
    • /
    • pp.768-772
    • /
    • 2010
  •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의 $H_2O_2$로 유도된 신경세포 독성에 대한 보호 효과를 조사하였다. 청국장 분말의 일반성분을 분석한 결과 조단백질 40.95%, 조지방 22.49%, 가용성 무질소물 15.99%, 수분 7.91%, 조회분 6.74% 및 조섬유 5.92% 순으로 나타났으며, 총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28.43 mg/g이었다. $H_2O_2$로 유발된 산화적 손상에 의한 ROS 축적량을 조사한 결과 $H_2O_2$ 단독 처리구보다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 처리구에서 낮은 ROS 축적량을 보였다. $H_2O_2$로 유도된 PC12 신경세포에 대한 보호효과를 MTT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한 결과 모든 시료에서 40%정도의 신경세포 보호효과를 보였고, LDH release 실험 결과 5 mg/mL 농도에서 15%정도의 LDH 방출량 저해 효과를 나타내었다. 청국장 메탄올추출물의 아세틸콜린에스터레이스 저해활성은 농도 의존적인 경향이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청국장 메탄올 추출물은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신경세포 보호효과 및 아세틸콜린에 스터레이스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알츠하이머성 신경질환의 예방을 위한 식품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높다고 판단된다.

이슬람정원에서 디테일이 장소성에 미친 영향 -'사자의 중정'을 대상으로 - (The Influence of Details on the Sense of Place in Islamic Gardens - Focusing on 'the Courtyard of the Lions' -)

  • 윤미방;김한배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122-133
    • /
    • 2010
  • 인간은 장소와 일체감을 이루고자 하며, 이를 통해 자신의 정체성과 장소의 정체성을 동시에 이루어간다. 인간은 자신들이 속한 문화와 환경에 따라 고유한 관념을 형성하고, 그 관념은 상징을 통해 장소에 표현되는데, 상징은 공간구조와 이를 형태화하는 디테일에 의해 장소에 구체화된 형태를 나타낸다. 본 연구는 이슬람정원을 대표하는 '사자의 중정'을 대상으로 공간구조와 디테일을 비교 검토하여 둘의 상호보완적 관계와 디테일이 장소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고자 하였다. 양자 간의 비교는 내재하는 상징과 의미, 디자인 언어, 형성배경과 디테일을 통한 장소체험의 측면에서 이루어졌다. 먼저, 공간구조는 차하르바그의 기본형태로 구성되어 코란에서 표현하는 낙원을 상징하였다. 이슬람교, 아랍문화, 스페인 무슬림왕조의 생활양식을 배경으로 공간구조가 형성되어 전통적인 이슬람정원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디테일은 공간구조를 형태화하는 동시에 낙원, 왕권, 신성, 자연 등을 상징하고, 이슬람교, 스페인 무슬림왕조의 문화, 아랍문화, 안달루시아의 지역성, 무데하르 양식 등을 나타내고 있다. 디테일은 스페인 무슬림왕조의 일상에 생동감과 변화감을 주어 폐쇄적인 궁전생활에 활력을 주며, 안달루시아지역 왕조의 특성을 갖는 사자조각상으로 중정의 중심을 이루어 다른 이슬람정원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분위기를 자아내었다. 사자의 중정의 디테일은 오감을 통한 체험의 대상이며, 인간과 장소가 하나가 되도록 해주어 장소성을 형성했음을 알 수 있었다. 사자의 중정의 디테일을 통해 스페인 무슬림왕조의 일상과 이상을 파악할 수 있었고, 그들과 정원이 일체감을 이루었으며, 디테일은 공간구조보다 더 풍부한 의미와 디자인언어를 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디테일은 장소성을 형성하는 중요한 체험적 대상임이 파악되었다.

Isoflavone Content and its Relationship with Other Seed Quality Traits of Soybean Cultivars Collected in South Korea

  • Kim, Sun-Lim;Chi, Hee-Youn;Kim, Jung-Tae;Lee, Yeong-Ho;Park, Nam-Kyu;Son, Jong-Rok;Kim, Si-Ju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1권1호
    • /
    • pp.81-88
    • /
    • 2006
  • The 117 soybean cultivars were collected from nine provinces in Korea, and various seed quality traits along with isoflavone contents were evaluated to elucidate their relationship. The 100-seed weight of the black soybean (31.2 g)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yellow soybeans (28.6 g). The composition of genistein, daidzein, and glycitein accounted for 75.8, 22.8, and 1.4 % of total isoflavone in yellow soybean cultivars, while their compositions in black soybeans were 58.5, 39.7, and 1.8%, respectively. The mean contents of total isoflavone in yellow and black soybean were $l,561.6{\mu}g\;g^{-1}\;and\;l,018.3{\mu}g\;g^{-1}$. The isofalvone content showed significant variation among cultivars when classified by the seed size. In the yellow soybeans, total isoflavone content was higher in small size soybean cultivars $(1,776.0{\mu}g\;g^{-1})$ and medium size soybean cultivars $(1,714.3{\mu}g\;g^{-1})$ compared to large size ones $(1,518.5{\mu}g\;g^{-1})$. Genistein content was proved as the major factor deter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isoflavone content and 100-seed weights (r =-0.206*). Daidzein and glycitein, however, show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100-seed weights. Isoflavone content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color parameters L (lightness) and a (redness) values, but color parameter b (yellownes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glycitein (r=0.264*) in the yellow soybeans, while its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daidzein (r=-0.245*) and total isoflavone (r=-0.256*) were observed in black soybeans. However, these findings suggested that the seed color value may not serve as an effective parameter for estimating the isoflavone intensity of the soybeans. Variation of protein and lipid contents between yellow soybeans (n=58) and black soybeans (n=59) was relatively stable, however, protein and lipid contents hav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isoflavone con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