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dical checkup

검색결과 123건 처리시간 0.039초

지체 및 뇌병변 장애인의 보건 복지 서비스 요구도 조사 (A Study on the Needs of Health & Community Services Among the Disabled at Home in Rural Areas)

  • 김현옥;정경화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480-491
    • /
    • 2007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needs of health & community services among the disabled at home in rural areas. Methods: The subjects were 146 persons with disabilities living in J-gun.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needs of 8 categorical services.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minimum, maximum, t-test, one-way ANOVA and Scheffe test. Results: Among the respondents, 27.4% visited the public health center in community for rehabilitation therapy. The average score of need was $2.62{\pm}.79$: education services $(2.92{\pm}1.05)$; medical services $(2.81{\pm}.82)$ nursing care services $(2.75{\pm}1.08)$; connection services $(2.62{\pm}1.20)$;, housing services $(2.60{\pm}1.09)$; emotional services $(2.41{\pm}1.03)$; other services $(2.24{\pm}1.06)$; and support of self-sustenance service $(1.92{\pm}1.15)$. The items in highest need were medical checkup (70.7%), medication (62.1%), traditional oriental therapy (60.4%) and physical therapy (58.9%), and those of lowest need were device repair (8.7%) and guidance of facility admission (7.1%). Need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F=4.751. p=.001), employment status (t=2.108, p=.037) and medical fee payer (F=5.061, p=.002). Conclusion: The needs of education & medical services were relatively high. Demographic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determining needs. For the disabled at home in rural areas, more various services or programs should be executed based upo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based upon the needs and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 PDF

융복합 의료관광서비스의 중요도-만족도 분석 (An Analysis of the Importance-Satisfaction of Convergent Medical Tourism Service Quality)

  • 한진영;최은미;지계웅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7호
    • /
    • pp.403-412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기법을 이용하여 의료관광객들이 만족할 수 있는 의료기관의 융복합 의료관광서비스를 위한 개선방안 및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에 있어서는 의료관광서비스를 경험한 고객들을 대상으로 2014년 9월 1일-2014년 10월 30일까지 검진을 받은 의료관광 고객들을 대상으로 총 244부의 설문지를 유효표본으로 확보하였다. 의료관광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한 결과, 의료관광 서비스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있어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의료관광서비스에 대한 IPA 분석결과, 중요도는 높게 인식을 하지만 실제로는 만족도가 높지 않은 서비스 항목들로 향후에 집중 관리가 필요한 항목으로 '정확한 의료관광서비스', '환자의 요구에 신속한 대응', '신속한 의료관광서비스', '의료관광코디네이터와의 의사소통'의 항목들로 도출되었다. 그러므로 의료기관들은 의료관광에 대한 신속성과 전문성을 가진 의료관광코디네이터를 배치하여야 할 필요성이 있다.

U-Healthcare 기기에서 DRDoS공격 보안위협과 Big Data를 융합한 대응방안 연구 (A Study on Countermeasures of Convergence for Big Data and Security Threats to Attack DRDoS in U-Healthcare Device)

  • 허윤아;이근호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6권4호
    • /
    • pp.243-248
    • /
    • 2015
  • U-Healthcare는 언제, 어디서나 환자의 건강을 검사하고 관리하며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의료와 IT가 융합된 서비스이다. U-Healthcare 서비스에서 이루어지는 통신은 검진한 분석 결과나 긴급 데이터를 무선 통신방식을 이용하여 병원 서버에 전송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이 때 악의적인 접근을 수행하는 자(공격자)가 U-Healthcare기기나 BS(Base Station)에 DRDoS(Distributed Reflection DoS)공격을 하면 위급한 환자의 상황 정보가 병원 서버까지 전송되지 않는 다양한 피해가 예상된다. 이를 대응하기 위해 DRDoS 공격 시나리오와 DRDoS에 대한 대응방안을 제안하고 대량의 패킷을 처리할 수 있는 빅데이터와 융합한다. 공격자가 U-Healthcare 기기나 BS(Base Station)를 공격 시 DB와 연동하여 일치하면 공격을 막는다. 본 논문은 원격의료 서비스인 U-Healthcare기기나 BS에서 나타날 수 있는 공격방법을 분석하고,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보안 위협에서의 대응방안을 제안한다.

건강검진 수검자의 최근 10년(1997~2007)간 비만 유병률의 변화양상 및 관련요인 (Changes in Prevalence of Obesity for 10 Years (1997~2007) and Its Related Factors in Health Checkup Examinees)

  • 배남규;김광환;권인선;조영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5호
    • /
    • pp.1091-1099
    • /
    • 2009
  • 본 연구는 일반인구집단의 특성을 대표성 있게 반영하는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검진자료를 이용하여 1997년부터 2007년까지 10년간에 걸쳐 2년에 1회씩 총 6회 건강검진을 받은 5,420명(남성 4,556명, 여성 864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만 유병률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고, 개인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관련행위 요인과 비만과의 관련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의 최근 10년($1997{\sim}2007$) 핀의 비만 유병률은 최초년도(1997)에 20.9%에서 최종년도(2007)에는 31.9%로 11.0%포인트 증가하였으며, 여기에는 인구사회학적 특성뿐만 아니라 건강관련행위 및 식습관 등 여러 요인이 관여하였다.

Body Weight and Body Image: A Risk Factor Analysis in Korea

  • Kim, Sang-Wook
    • 한국조사연구학회지:조사연구
    • /
    • 제12권3호
    • /
    • pp.143-172
    • /
    • 2011
  •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weight and body image, an objective and subjective measure of body shape, respectively, has long been a recurrent concern in the area of medical sociology and health-related studies. This concern stems from the argument and findings in the literature indicating that the two are not necessarily likely to be strongly correlated due mostly to the fact that one's own idea or conception about his/her body shape could be pretty different from one's actual shape. This study tries to empirically address the two issues based on the analysis of a national sample survey data in Korea: to what extent body weight and body image are correlated with or deviated from each other, on the one hand, and what factors help to account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on the other. The latest(2010) national sample data of KGSS(Korean General Social Survey) is used to evaluate the issues. Results of data analysis demonstrate that body weight and image have a moderate amount of correlation, and that the correlation tends to vary to a large extent depending on a few major socio-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Most important, the risk factor analysis attempted in this study could identify several salient risk factors, which include gender, age, chronic diseases, smoking, physical exercises, and medical checkup. To be precise, those who may be best characterized as particularly risky to weight gains are females, who are in their 20's, who have chronic diseases, non-smokers, who exercise regularly, and who conduct medical checkups on a regular basis. To extrapolate, the findings suggest that the most typically risky kinds of individuals in Korea are "young women who care very much for their health." The findings are interpreted and discussed with suggesting a recommendation for further studies.

  • PDF

건강검진 수검자에서 혈청 Vitamin D 수준과 인슐린저항성 및 β-세포 기능과의 관련성 (Association of Serum Vitamin D with Insulin Resistance and Beta Cell Function in Korean Health Checkup Examinees)

  • 김한수;류소연;박종;한미아;최성우;신민호
    • 농촌의학ㆍ지역보건
    • /
    • 제43권1호
    • /
    • pp.18-30
    • /
    • 2018
  • 본 연구는 농촌 지역에 거주하며 당뇨병이 없는 건강한 성인을 대상으로 혈청 비타민 D와 인슐린 저항성 및 췌장의 베타세포 기능과의 관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전라남도 해남군에 소재한 종합병원 건강검진실에서 건강검진을 받은 당뇨병이 없는 20세 이상 성인 374명이었고, 분산분석과 공분산분석을 이용하여 혈청 비타민 D 수준에 따라 HOMA-IR과 $HOMA-{\beta}$을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중 비타민 D 결핍군, 불충분군, 충분군은 각각 38.5%, 48.1%, 13.4%이었다.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HOMA-IR 평균은 충분군 $1.92{\pm}1.08$, 불충분군 $1.99{\pm}1.04$, 결핍군 $2.91{\pm}1.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다른 관련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비교한 공분산 분석 결과에서도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HOMA-IR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HOMA-{\beta}$ 평균은 충분군 $84.69{\pm}1.07$, 불충분군 $78.41{\pm}1.04$, 결핍군 $80.48{\pm}1.04$ 이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우리나라 농촌지역 성인의 혈청 비타민 D 수준은 부족한 경우가 매우 높았고, 비타민 D 수준에 따른 인슐린 저항성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인슐린 저항성 및 당뇨병 예방을 위해서 비타민 D의 충분한 형성을 위한 보충제, 햇볕 노출과 영양 섭취 등에 대한 충분한 정보 및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부분골밀도 측정을 통해 산출되는 체지방률의 임상적 유용성에 대한 평가 (The Clinical Usefulness Measurement of the Whole Body Percent Fat Calculated by the Part Bone Mineral Density Measurement)

  • 강영은;김은혜;김호성;최종숙;최우준
    • 핵의학기술
    • /
    • 제15권1호
    • /
    • pp.3-9
    • /
    • 2011
  • 이중에너지 방사선 흡수계측법(Dual-energy X-ray Apsorptiometry, DXA)은 일반적으로 골밀도를 통한 골다공증 평가 및 치료목적으로 이용되어 왔으며 최근 비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체지방검사 처방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기존의 체지방 측정은 전신을 검사해야만 평가가 가능했지만 근래 DXA장비의 소프트웨어가 향상 되면서 요추와 대퇴부의 측정만으로도 전신체지방률을 추측 할 수 있게 되었다. 전신측정이 아닌 부분측정 값이 다른 검사방법으로 산출된 값과 비교하여 타당성을 갖는지 생체전기저항측정법(Bioelectrical Impedence Analysis, BIA)과 체질량 지수(Body Mass Index, BMI)와의 상관도 분석을 통해 알아보고자 한다. 2010년 3월부터 8월까지 본원 건강검진센터에 내원한 수검자 중 40세 이상의 여성 90명을 대상으로 DXA와 BIA를 통해 체지방률을 측정하였다. BMI는 신체 계측기를 통해 측정된 신장과 체중을 수검자 정보에 기입하여 자동으로 산출되는 값을 활용하였다. 또한 체중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BMI를 기준으로 저체중, 정상, 비만의 세 그룹으로 분류하여 각 그룹에서 BMI와 BIA, DXA 간의 상관도를 분석하였다. 저체중과 정상, 비만으로 나눈 세 그룹에서의 DXA와 BIA의 비교는 모든 그룹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룹으로 나누지 않은 상태에서의 상관분석결과 DXA로 측정된 체지방률은 BMI와 비교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r=0.908, p<0.01) BIA와의 비교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r=0.927, p<0.01). 부분 골밀도 측정으로부터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이 BIA 그리고 BMI와 비교해 뛰어난 상관관계를 보여 정보의 신뢰도가 높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직 추정된 전신체지방률에 관한 명확한 기준이 없어 골밀도측정만으로 체지방평가를 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골밀도검사를 통해 골다공증의 진단은 물론 체지방에 관한 정보까지 얻을 수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효율적이며 추후 전신골밀도검사로 측정된 체지방률과의 비교연구를 통해 더 객관적이고 임상적으로 유용한 정보 제공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Ewing's Sarcoma of the Stomach; Rare Case of Ewing's Sarcoma and Suggestion of New Treatment Strategy

  • Kim, Hyo-Sin;Kim, Sungsoo;Min, Young-Don;Kee, Keun-Hong;Hong, Ran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제12권4호
    • /
    • pp.258-261
    • /
    • 2012
  • Ewing's sarcoma is a neoplasm of the undifferenciated small round cells, which generally affects the bone and deep soft tissu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We present a case of gastric Ewing's sarcoma; a 35-year-old female who had no symptoms. While she was at a routine medical checkup, a protruding mass in her gastric antrum was incidentally found on esophagogastroduodenoscopy. Endoscopic ultrasonogram showed a submucosal mass on the same lesion and a laparosopic wedge resection was done. Pathologic gross findings showed a granular grape appearance tissue and histoloigc examination revealed a small round cell tumor with CD 99 immunoexpression positive. In general, a combined modality therapy for Ewing's sarcoma such as surgical resection with chemotherapy, is accepted as an effective method. However, this patient had no adjuvant chemotherapy after surgery and she has no recurrence for eleven months.

Comparison of Echocardiogram and Clinical Profile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MHO) and Non Metabolically Healthy Obese (Non-MHO) Subjects

  • Hong, Seung-Bok;Shin, Kyung-A;Choi, Wan-Soo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60-267
    • /
    • 2012
  • Obesity is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risk factors, such as dyslipidemia, hypertension and diabetes. However the presence of the obesity related deranged metabolic profiles varies widely among obese individuals. These individuals, known as 'metabolically healthy obese phenotype (MHO)', despite having excessive body fatness, display favorable metabolic profiles characterized by insulin sensitivity, no hypertension, as well as less dyslipidemia, less inflamm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cardiac characterization and clinical profile of MHO and Non-MHO (nonmetabolically healthy obese) subjects in men. We measured treadmill exercise capacity (METs) and maximum blood pressure (BP) in 210 subjects through a medical checkup at J General Hospital. Metabolic syndrome was defined according to the modified Adult Treatment Panel III definition criteria. Both MHO and Non-MHO subjec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the left ventricular mass index (P<.001, P<.01, respectively), A-velocity (P<.01, P<.001, respectively), E/A ratio (P<.01, P<.001, respectively), E'-velocity (P<.001, P<.001, respectively), HOMA-IR (P<.01, P<.001, respectively) and maximum systolic BP (P<.01, respectively) compared with the MH-NO (metabolically healthy non obese) subjects. In conclusion, MHO participants were at increased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and partly metabolic disorder.

일부지역 근로자의 대사증후군 위험요인별 분류와 구강건강상태 비교 (Comparison of oral health status by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in workers)

  • 구인영;문선정;이명선;가경환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581-588
    • /
    • 2013
  • Objectives : The aim of the study si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and oral health status in workers and to propose the integrated and effective management measures. Methods : Subjects were 4,600 workers in industrial company. Data by medical checkup and oral examination were collected from July 13, 2010 to September 12, 2010. Self-reported questionnaire included general characteristics, job description, smoking, drinking, and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 indicators. Gingivitis, dental calculus and missing tooth tended to have more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chi-square test, correlation analysis, logistic regression using SPSS version 18.0. Results : Dental caries revealed 1.146 times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Risk group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gingivitis was 1.317 times higher in risk group and 1.612 times in metabolic syndrome. Dental calculus was 1.532 times higher in risk group and 1.557 times in metabolic syndrome. Mssing teeth were 1.976 higher in metabolic syndrome. Conclusions : Metabolic syndrome risk factors had close correlation to poor raol health stat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effective plan for the oral health in work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