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hatronics industry

검색결과 210건 처리시간 0.032초

연속파형 Nd:YAG 레이저를 이용한 플라스틱성형용 금형강의 표면경화 특성 (Characteristics of Surface Hardening of Dies Steel for Plastic Molding using Continuous Wave Md:YAG Laser)

  • 신호준;유영태;오용석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71-81
    • /
    • 2009
  • Die steel for plastic molding were used as mold material of automobile parts and electronic component industry. The material of this paper has superior to mechanical properties, such as repair weldability, corrosion resistance and high temperature strength, required mold parts for semitransparent. Laser-induced surface hardening technology is widely adopted to improver fatigue life and wear resistance via localized hardening at the surface of mold parts. The objective of this research work is to investig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surface hardening of the laser process parameters, such as beam travel speed, laser power and defocsued spot position, for the case of die steel for plastic molding. Lens for surface hardening of large area is plano-convex type with elliptical profile to maintain uniform laser irradiation. According to the experimental results, large size of hardened layer at the surface of die steel for plastic molding was achieved, and microstructure of this layer was lath martensite. Optimal surface status and mechanical property of hardened layer could be obtained at 1095Watt, $0.25{\sim}0.3m/min$, 0mm (focal length: 232mm) for laser power, beam travel speed, and focal position. Where, heat input was $0.793{\times}10^{3}J/cm^2$, and width of hardened layer was 27.58mm.

다채널 진동 모니터링 장치 개발 (Development of the Multichannel Vibration Monitoring System)

  • 홍태용;박수홍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7호
    • /
    • pp.671-676
    • /
    • 2016
  • 산업현장에서의 회전체 기기의 유지보수안전관리를 위한 설비에 대한 설계에 대한 연구이다. 중급 진동 모니터링 시스템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다채널 설비 자가 진단 모니터링 장치를 개발하였고, 이 시스템의 특징은 확장성과 유연성을 부여하였다. 한 개의 신호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한 개의 독립적 채널이 필요하나, 개발된 제품은 신호 처리 카드 한 장이 4채널을 처리하다. 한 개 랙에는 독립적인 이중화 전원장치, 디스플레이가 설치되어 진동측정값을 별도의 컴퓨터 없이 현장에서 바로 확인할 수 있다. 베어링 결함 감지는 진동 감시의 기본이지만 일반적인 진동 속도나 가속도에서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저주파대역의 반복적이지 않은 진동은 필터링하고 진폭 변조 시키는 기술이 기속도 엔벨로핑 기술이다. 이 기술이 적용된 진동 분석 장비를 개발하였다. 개발된 시제품은 진동오차 범위에서 작동함을 보여주었다.

단면 분석을 통한 자동차용 리어 서브-프레임 하이드로포밍 부품의 공정 제어 및 설계 (Hydro-forming Process Control and Design Concept of Automotive Rear Sub-frame Components Through Cross Sectional Analysis)

  • 김기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9호
    • /
    • pp.1-6
    • /
    • 2018
  • 하이드로포밍 기술은 지난 20년간 자동차부품의 적용을 중심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해 왔다. 이 기술은 자동차 산업응용분야에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는 더 나은 구조적 강건성, 부품수 감소에 기인한 비용절감, 재료절약, 무게감소, 낮은 스프링백현상, 개선된 강도, 내구성 향상, 설계 유연성 등이다. 하이드로포밍 부품의 성형성 검토를 위하여 다양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 등이 발달해 왔으며 이를 통해 성형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과 동시에 성형을 위하여 벤딩 공정, 프리포밍공정, 다이클로징 공정 등의 효율적인 공정을 수립하여 하이드로포밍 부품들을 설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하이드로포밍 부품 설계 시 고려사항 중 성형량, 부품의 단면길이(하이드로포밍 프레스 용량에 맞는), 최소 곡률(하이드로포밍 압력에 따른 곡률 영향 평가) 등을 제시하고 실제 자동차용 리어 서브-프레임 부품의 단면분석을 실시함으로써 하이드로포밍 성형을 위한 설계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아울러 하이드로포밍 공정인자 중 프리벤딩, 축피딩, 유압 압력, 프레스 하중, 마찰 등의 효과를 분석하여 이들 공정이 직접적인 하이드로포밍 성형에 필요인자 인지 등을 고찰하였다.

한국형 교통사고 심층조사 DB 체계 구축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of the Database Structure for the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 김시우;이재완;윤영한
    • 한국자동차공학회논문집
    • /
    • 제22권2호
    • /
    • pp.29-36
    • /
    • 2014
  • The accident statistics use the data from police accident reports and statistics. Although the official accident statistics are useful, they provide very limited information about how accidents occur, the cause of the accident and the injury mechanisms. This limitations could be overcome by carrying out the in-depth accident study and analysing investigations, collecting more detailed information. Meanwhile a net of in-depth investigation teams are operating worldwide, such as NASS (National Accident Sampling System) and CIREN (Crash Injury Research and Engineering Network) in US, OTS (On the spot investigation) in UK. In this study, the database structure and variables of Korea in-depth accidents investigation system would be proposed through considering the database structure of GIDAS (Germany In-Depth Accidents Study). GIDAS is one of the best system on the in-depth accident study system in the world. GIDAS was established in 1999 as a cooperation project between Federal Highway Research Institute of Germany (BASt) and research association on automotive engineering of German Car Industry(FAT). The iGLAD (Initiative for the Global Harmonization of Accident Data) was also considered to introduce into the database variables of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Current police reports were compared with GIDAS and iGLAD. To collaborate of the Worldwide in-depth accident data, this paper proposed that the database of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would be introduced the structure of GIDAS and the core variables of iGLAD. Harmonization of the structures and core variables of Korea in-depth accident study will be better than the making unique ones. The database structure and core variables of KIDAS(Korea In-Depth Accident Study) introduced of GIDAS and iGLAD.

로봇 착유시스템의 착유성능 및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the Milk Yield and Performance Analysis of Robot Milking System)

  • 김웅;이대원
    • 한국축산시설환경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9-36
    • /
    • 2009
  • 부족한 노동력 해소와 유질 및 유량의 향상을 위해서 5축 다관절 매니퓰레이터와 착유컵 착탈 시스템 및 영상처리 시스템을 이용한 로봇 착유시스템을 개발하였으며, 착유우 실험을 통해 시스템 성능분석 및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1. 착유컵 장착시간은 최소 17초, 최대 38초, 평균 27초가 소요되었으며, 이는 착유성능에 영향이 없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착유컵 탈락은 약 1초 내에 유두에서 탈락하는 것으로 나타나 착유작업에 지장을 주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2. 로봇 착유시스템을 이용한 착유량은 평균 착유량은 7.5 kg으로 나타났으며, 주간 착유량의 표준편차는 0.7 kg으로 나타났다. 비유곡선을 이용한 착유량 분석도 로봇 착유시스템에 의한 착유 시 착유량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로봇 착유시스템은 착유컵 착탈 성능과 착유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것으로 착유실내의 모든 착유작업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착유전 유두세척, 유두 마사지 및 전처리 공정과 착유우 후처리 및 소독 공정이 모두 필요한 사항이며, 앞으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압력과 온도 복합가속모형을 적용한 유압호스 조립체 수명특성 연구 (A Study of Life Characteristic of Hydraulic Hose Assembly by Adopting Complex Accelerated Model with Acceleration Factors of Pressure and Temperature)

  • 이기천;김형의;조유희;김재훈
    • 대한기계학회논문집A
    • /
    • 제34권11호
    • /
    • pp.1697-1703
    • /
    • 2010
  • 유압호스는 건설기계, 자동차, 항공기 등 각종 기계의 유압장치에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배관으로 사용된다. 산업의 전분야에서 에너지를 전달하기 위한 배관의 한 종류로서 진동이나 충격 등으로부터 시스템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러 가지 외부 환경 조건으로부터 시스템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호스 조립체에서 온도와 압력 등의 외부 환경 조건에 대한 내성을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에 호스 조립체에 대해 온도 또는 압력 중 한 가지 인자를 고려한 가속모형을 제시한 연구는 있었지만 두 가지 인자를 동시에 고려한 가속모형은 제시하지는 못하였으므로, 호스 조립체의 압력과 온도를 모두 고려한 복합가속 모형식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Development of software for computing forming information using a component based approach

  • Ko, Kwang-Hee;Park, Jung-Seo;Kim, Jung;Kim, Young-Bum;Shin, Jong-Gye
    • International Journal of Naval Architecture and Ocean Engineering
    • /
    • 제1권2호
    • /
    • pp.78-88
    • /
    • 2009
  • In shipbuilding industry,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has advanced at an unprecedented pace for the last decade. As a result, many automatic systems for cutting, welding, etc. have been developed and employed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accordingly the productivity has been increased drastically. Despite such improvement in the manufacturing technology, however, development of an automatic system for fabricating a curved hull plate remains at the beginning stage since hardware and software for the automation of the curved hull fabrication process should be developed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dimensions of plates, forming methods and manufacturing processes of each shipyard. To deal with this problem, it is necessary to create a "plug-in" framework, which can adopt various kinds of hardware and software to construct a full automatic fabrication system. In this paper, a framework for automatic fabrication of curved hull plates is proposed, which consists of four components and related software. In particular the software module for computing fabrication information is developed by using the ooCBD development methodology, which can interface with other hardware and software with minimum effort. Examples of the proposed framework applied to medium and large shipyards are presented.

반도체 제조용 CVD 및 Etcher 장비의 탄소배출량과 에너지 소비량 모니터링 (Monitoring of the Carbon Emission and Energy Consumption of CVD and Etcher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 고동국;배성우;김광선;임익태
    •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
    • 제12권3호
    • /
    • pp.19-22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ystem that can monitor the amounts of energy consumption during CVD and etching process for semiconductor manufacturing. Specifically, this system is designed to measure the $CO_2$ emission amounts quantitatively by measuring the flow rate of gas used and amount of power consumed during the processes. The processes of CVD equipment can be classified generally into processing step and cleaning step and all the two steps were monitored. In CVD and etcher equipments, various gases including Ar and $O_2$ are used, but Ar, $O_2$ and He were monitored with the use of the LCI data of 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and carbon emission coefficients of EcoInvent.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carbon emission amounts of CVD equipment for Ar, $O_2$ and He were $0.030kgCO_2/min$, $4.580{\times}10^{-3}kgCO_2/min$ and $6.817{\times}10^{-4}kgCO_2/min$, respectively and those of etcher equipment for Ar and $O_2$ are $5.111{\times}10^{-3}kgCO_2/min$ and $7.172kgCO_2/min$, respectively.

드론기술 적용 방안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Methods of Drone Technology)

  • 김희완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601-608
    • /
    • 2017
  • 드론은 4차 산업 혁명에서 정보기술과 융합하여 산업을 이끌어 갈 중요한 요소이다. 세계적으로 드론에 대한 관심이 급격히 커지면서 많은 국가에서 드론을 미래 전략산업의 하나로 주목하고 있으며 드론 관련 기술에 대한 연구개발과 활용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드론은 통신/항법/교통 관리기술, 제어 및 탐지/회피 기술, 센서 기술 및 SW 및 응용기술과의 접목을 통해 다양하게 기술이 발전하고 있으며 완구에서부터, 산업, 농업 등 다양한 분야에서 드론의 공급 및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드론기술이 정착되기 위해서는 해결되어야 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론의 활용분야 및 국내외 사례와 드론의 핵심기술을 통하여 드론기술적용에 대한 문제점들을 살펴보고자 한다. 드론 시장의 성장을 위해서는 법과 제도의 정비, 무선통신에서의 보안 취약점, 프라이버시 및 안전성 문제를 제안하였으며, 특별히 한국의 환경에서 드론 서비스를 위한 기술적, 관리적 문제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육상양식장용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utomatic feeding system in an inland aquafarm)

  • 오진석;조관준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77-82
    • /
    • 2010
  • 오늘날 해안의 인구 증가와 산업화로 인하여 해안의 수질오염이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생태계가 파괴됨으로써 수산물 양식업에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해상 양식장이 육상 양식장으로 이동하고 있다. 본 논문은 육상 양식장에서의 자동 먹이 공급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현재의 자동 먹이 공급 장치는 먹이양의 정확도가 떨어지고 먹이 공급 모터에 의해 먹이가 부서지는 단점을 지닌다. 그러나 제안하는 시스템은 현재의 시스템과 비교했을 때 로드 셀과 밸브의 조합을 사용하여 제어함으로써 높은 정확도를 가지고 먹이를 공급할 수 있으며, 먹이를 육상 양식 수조에 안전하게 공급할 수 있다. 실제 시스템을 통한 실험을 수행함으로써 모든 상황에서 육상 양식장 수조에 먹이를 공급할 수 있음을 입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