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mechanical sowing

Search Result 25, Processing Time 0.022 seconds

온실내 잉여에너지 이용을 위한 지중 열교환 시스템의 상추 재배 효과 (Effect of Air-earth Heat Exchange System on Growth of Leafy Lettuce in Greenhouse)

  • 백이;전종길;윤남규;강금춘;이시영
    • 한국기계기술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71-76
    • /
    • 2011
  • Earth to air heat exchangers made by iron, aluminium, copper and poly-ethylene pipe for single greenhouse heating were experimented and blowers. Earth to air heat exchanger was installed by pipelines in earth tube at 70cm depths and air blower was the heating capacity 3kW/h, As the result, Temperature difference due to temperature history of the inlet and outlet air on the various type in earth tube in greenhouse showed that air temperature at the various type in earth tube, comparison tube were make no difference respectively. Under the experimental condition, heat fluxes and heating load were showed 6,800Kcal/h, 19,699kcal/h generally yield of Lactuca Sativa cultured during days of sowing 90day in greenhouse using copper pipe was 170% incleased.

브러싱 자극 토마토 공정묘의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 변화 (Changes in Shoot and Root Growth of Tomato Seedlings Stimulated by Brushing)

  • 정현우;황희성;황승재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205-209
    • /
    • 2023
  • 기계적 자극은 식물체의 형태적 변화를 유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계적 자극을 적용한 토마토의 육묘기 동안의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브러싱 처리가 기계적 자극으로 이용되었으며, 아크릴이 부착된 이송장치를 이용하여 2시간 간격으로 파종 후 10일 이후부터 처리를 진행하였다. 브러싱 처리 동안 생육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3일 간격으로 생육을 조사하였다. 초장과 엽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지상부의 생체중과 건물중은 대조구와 유사한 값을 보였다. 총 근장과 지하부 표면적은 브러싱 처리에서 대조구에 비해 증가하였으며, 지하부 부피는 대조구와 브러싱 처리가 유사한 값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토마토 공정묘에 브러싱 처리는 지상부의 생육 감소를 유도하였으며 지하부의 형태적 발달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된다.

녹두 기계수확을 위한 남부지역 파종적기 (Proper Seeding Time for Mechanical Harvesting in Mungbean)

  • 김동관;최진경;정병준;손동모;천상욱;김경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7-12
    • /
    • 2009
  • 녹두는 생리적 특성과 재배지역의 기상조건 등에 따라 여러 번 수확해야한다. 한국에서는 일반적으로 6월에 파종하여 $3{\sim}4$회 가량 수확하므로 녹두 재배면적이 급격히 감소하고 있다. 따라서 한국 남부지역의 기상조건에 맞는 기계수확 재배기술을 개발하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남부지역에서 기계수확을 위한 최적 파종기는 7월 20일 경 이었다. 7월 15일 경에 파종하였을 때는 2회 수확해야 하므로 기계수확이 불가능하였다. 7월 25일 이후 파종하였을 때는 기계수확이 가능하였으나 성숙기간이 길어지고 수량이 적었다. 그러므로 한국에서는 남부지역 7월 20일 기준으로 중부지역은 이전에 남부해안지역은 이후에 파종하면 녹두 기계수확이 가능할 것으로 보아진다. 한국에 가장 많이 보급된 금성녹두와 어울녹두 중에 어울녹두가 기계수확 재배에 적합한 품종이었다. 즉 어울녹두는 금성녹두에 비해 경장이 길고 착협고가 높아 기계수확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수량이 많았다.

수수 이식 및 직파재배시 중경제초에 의한 잡초방제 효과 (Weed Control Method of Cereals Crops Using Weeder Machine for Environment-friendly Control Practice)

  • 황재복;정기열;박태선;윤종탁;김학신;최인배;구본일;배희수
    • Weed & Turfgrass Science
    • /
    • 제4권3호
    • /
    • pp.230-235
    • /
    • 2015
  • 농가에서 잡초방제를 위해 비닐멀칭을 이용한 직파재배보다 이식후 중경제초를 하여 잡초를 방제하고자 수수의 이식 및 직파재배시 잡초방제를 위한 중경제초 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이식재배시 중경제초는 이식후 20일, 30일 1회 실시와 20/40일 2회 실시하였다. 처리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 이식후 20일에 1회 실시한 구에서는 잡초방제가가 83%, 80%로 비닐멀칭 대비 90%에 비해 다소 낮았다. 수확기 경장은 중경제초 1회와 2회 및 비닐멀칭구가 111.6~126.8 cm에 비해 무제초구가 139.3 cm로 잡초와의 경합으로 도장하는 경향이었다. 간장은 중경제초구가 무처리구에 비해 초장이 20 cm 정도 짧고, 간경은 17.8 cm에 비해 작고, 2mm 굵어 도복에 강한 특징을 가지고 있다. 출수소요일수는 비닐멀칭구가 잡초의 발생량이 많았던 무처리구에 비해 7일정도 더 소요되었다. 수수 이식재배시 이식후 20일에 1회 중경제초를 하면 수량성이 95%로 비닐멀칭과 통계적 유의성이었다. 파종재배시 중경제초 처리시기 및 횟수 시험에서 파종후 10일과 파종후 30일에 2회 중경제초를 실시하면 초기에 발생하는 잡초가 방제되어 87% 이상의 효과가 있었다. 수량은 비닐대조구 대비 파종후 10일과 30일 2회 처리시 91%, 초기 처리가 늦은 20일과 30일 2회 실시한 구는 다소 감소하였다.

Effect of prohexadium-calcium on growth, lodging and yield of proso millet (Panicum miliaceum L.)

  • Choi, Young Dae;Jung, Ki Yuol;Chun, Hyun Chung;Lee, Sang Hun;Kang, Hang Won
    • 한국작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작물학회 2017년도 9th Asian Crop Science Association conference
    • /
    • pp.207-207
    • /
    • 2017
  • The proso millet is vulnerable to lodging due to high plant height and shallow root. A lodging results in a hard mechanical harvesting and yield loss. One of solutions on this problem is inhibition of internode elonga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et up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is growth inhibitor. The experimental variety was Ibaekchal. The experiment design was a split-plot design with three replications. The treatments were as follow: Main-plots were 25 and 35 day after sowing(DAS) as use time and sub-plots were 0%, 50%, 100%(diluted solution of 1000 times, $1000{\ell}\;ha^{-1}$), 150% as dose. The amount of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fertilization were 90, 70, $80kg\;ha^{-1}$, respectively. The size of high ridge and plant spacing were $90{\times}30cm$ and $60{\times}15cm$, respectively. Proso millet was sown on June 9, 2016 by hands and was adjusted at 2 plant per hill. The growth survey of vegetative growth stage was conducted at 1 day before treatment and with one week interval after treatment. Data were collected: (1) grain yield: weight of grain in $kg\;ha^{-1}$, (2) 1000 grain weight: average weight of 1000 grain, (3) plant height: distance from soil to top of panicle or leaf in cm, (4) ear length: distance from top of stem to top of ear in cm, (5) stem diameter: diameter of second internode (6) degree of lodging: percentage of lodging area, etc. Analyses of variance were performed using R version 3.3.1(https://www. r- project. org). The Duncan's multiple range test(DMR) was used to separate treatment means at P < 0.05.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lant height and number of stem among the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during vegetative growth stage. At 25 DAS, the difference with no treatment increased until 25 day after treatment and decreased since then. The difference in number of stem increased until 18 day and decreased since 25 day. At 35 DAS, the difference with no treatment in plant height and number of stem increased until 22 day after treatment and decreased since then. We assumed that the effect of prohexadium-calcium was inhibition of internode elongation and promotion of tillering, continued untel 25day after treatment. At 25 DAS, the degree of lodging deceased to 100%, 30%, 10% and 0% as dose increased. At 35 DAS, the degree of lodging decreased to 100%, 20%, 0% and 0% as dose increased. At 25 DAS, the yield was 2910, 2710, 3190, $2310kg\;ha^{-1}$ among dose. At 35 DAS, the yield was 2750, 2630, 2220, $2050kg\;ha^{-1}$. We recommend that the optimum use time and dose of prohexadium-calcium for proso millet is 1000 times diluted solution of $1000{\ell}$ per ha at 25 day after sowing.

  • PDF

Seedling Conditions for Kimchi Cabbage, Head Lettuce, Cabbage and Broccoli for a Riding-type Transplanter

  • Lim, Jung-Hyun;Park, Suh-young;Chae, Won-Byung;Kim, Sung-Kyeom;Choi, Seung-Kook;Yang, Eun-Young;Lee, Min-Ji;Park, Gyeong-Bin;Jang, Yoon-ah;Seo, Myeong-Hoon;Jang, Suk-Woo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42권2호
    • /
    • pp.104-111
    • /
    • 2017
  • Purpose: We have studied the necessary qualities of seedlings of some leafy vegetables for a riding-type two-row automatic transplanter. When seedlings are planted using a transplanter, long roots may be rounded in the bottom of the tray, and this can interfere with the separation of the seedlings. Uprightness related to leaf spread angle is an important quality for seedlings in mechanical planting. Methods: To select cultivars suitable for the transplanter, we compared varieties of Kimchi cabbage (Chukwang, Daetong, Whipalam and Namdo), head lettuce (Abi and Sensation), cabbage (YR Onnuri, YR Hogel, Harutama, and Ogane), and broccoli (Nicegreen and Earlyyou). To compare the effect of bed soil on root formation and growth, we used five types of soil: Chologi, Burger, Wonjomix, Bio, and Baroker with 2.6-3 L per tray. Growth increment and the degree of root formation were measured according to the RDA guidelines 25 days after sowing for Kimchi cabbage and head lettuce and 44 days after sowing for cabbage and broccoli.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plug tray, the optimum seedling age in both 128- and 200-hole trays was 28 days for Kimchi cabbage and 44 days for cabbage and broccoli. Head lettuce took 35 days in 128-hole trays and 31 days in 200-hole trays. Burger soil was most effective for root formation and growth of the four kinds of leafy vegetables; it appeared that smaller soil volume led to faster root formation.

재배조건에 따른 어린잎 채소 '다채'의 수확 후 품질변화 (Effect of Mechanical Stress on Postharvest Quality of Baby Leaf Vegetables)

  • 이혜은;이정수;최지원;배도함;도경란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699-704
    • /
    • 2009
  • 어린잎 채소는 조직이 연하고 부드러워 가공, 포장, 유통시에 물리적인 상해를 받기 쉬우며 수확 후 수분증발 및 성분 변화 등으로 품질이 급격히 저하된다. 본 연구는 어린잎 채소 중에서 다채의 수확 후 생리특성을 구명하고 적정 포장방법을 개발하고자 수행하였다. 공시재료는 연구소 온실에서 2007년 1월 29일에 다채 종자를 플러그 트레이에 파종하여 30일 정도 키운 다채를 사용하였으며, 수확 후 $2^{\circ}C$에서 12시간 예냉 처리한 후 P-plus 필름, $50\;{\mu}m$ PP필름, PET용기에 각각 30 g씩 소포장하여 유통온도를 $8^{\circ}C$로 저장하면서 품질특성 변화를 주기적으로 조사하였다. 수확당시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생육은 무처리구에 비해 물리적 스트레스 처리구에서 초장과 초폭 모두 낮은 값을 나타내었다. 중량감소의 경우 물리적 스트레스 처리한 시료를 P-plus 필름으로 포장한 경우가 가장 적은 생체중 감소를 보였고 그 다음으로는 $50\;{\mu}m$ PP필름, PET용기 순이었다. 어린잎 채소 다채의 색도변화는 P-plus 필름과 $50\;{\mu}m$ PP필름에서 다소 완만하게 변화량을 나타내었으며 처리간 큰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고 PET용기에서 가장 급격한 변화가 나타나서 황화 현상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어린잎 채소 다채는 물리적 스트레스를 처리한 경우가 무처리구에 비해 생육은 적었지만 중량감소나 색도변화에서 비교적 원만한 값을 나타내었고 세포조직학적으로 관찰해보면 세포의 치밀도가 증대되어 수확후 가공적성에 영향을 미치리라 기대하며, 다채에서는 P-plus 필름과 $50\;{\mu}m$ PP필름 포장이 선도유지에 적합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작두콩 종자의 종피파상과 침지처리가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carification and Soaking Treatment on Germination of Sword Bean Seed)

  • 두홍수;백원재;류점호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3호
    • /
    • pp.165-169
    • /
    • 2001
  • 작두콩의 종피는 매우 두껍고 단단하여 발아시 수분흡수가 어렵고 종근의 출현 이후 자엽이 종피로부터 나오는데 많은 시일이 소요된다. 따라서 종피에 기계적인 파상처리를 함으로써 수분흡수를 용이하게 하여 발아율을 높이고자 실시한 시험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작두콩의 무파상 종자는 처리 후 1일이 경과하여도 발아가 전혀 되지 않았으나, 파상처리 종자는 98%의 발아율을 보여 종피의 파상처리는 종자의 발아율을 증가시켰다. 2. 무파상 종자의 수분흡수율은 처리 후 8시간이 경과하여도 10% 이하였으나, 파상처리 종자는 7시간이 지난 후에 종자 건조중의 약 90%수분을 흡수하였으며 8시간 후에는 종자건조중의 150% 이상의 수분을 흡수하였고 종실의 길이와 폭은 약 1.4-l.5배 부풀었다. 3. 파상처리한 종자의 발아율은 고온일수록 높았는데, $25^{\circ}C$와 3$0^{\circ}C$에서 각각 96%와 93%였다. 4. 육묘상에서 상토별 자엽의 출현율은 식양토가 94%로써 모래, 미사 및 콤포스트에 비하여 가장 높았다. 5. 육묘상에서 종피에 파상처리하고 증류수에 침지한 종자가 무파상 종자에 비하여 발아가 조기에 시작되었고, 자엽의 출현율도 파종 9일 후에 92% 이상이었으나 종피파상과 침지처리를 하지 않은 종자는 발아가 늦었고 자엽의 출현율도 67%로써 매우 낮았다.

  • PDF

Anaerobic Direct Seeder Engineering Component of the Rice Anaerobic Seeding Technology

  • Borlagdan, Paterno C.
    • 한국농업기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농업기계학회 1996년도 International Conference on Agricultural Machinery Engineering Proceedings
    • /
    • pp.1009-1020
    • /
    • 1996
  • Direct-seeded rice can have comparable yield with transplanted rice if its inherent problems can be solved. It is a labor-saving technology and can significantly reduce production cost because seedling nursery , pulling , and transplanting are omitted. Turnaround time between cropping is reduced hence the possibility of a third annual crop. But direct-seeded rice is very vulnerable to pest attack (by birds, rats, and golden snails), desiccation, weed infestation, and prone to lodging resulting to unstable crop establishment and inconsistent yield. These problems can be solved by anaerobic seeding (sowing pre-germinated seeds under the soil). It requires precise seed placement into the soil to optimize its benefits. We developed a four-row anaerobic direct seeder (US $ 200 commercial price) for this purpose . It consist of a structural framework mounted with a drum -hopper metering device, flotation type drivewheels, spring-loaded and adjustable furrow closers, and furrow open rs, and a plastic rainguard. It can sow in line pre-germinated seeds into the soil thus permitting the use of mechanical weeders for a chemical-free weed control. Its performance was comparable with the Japanese two-row anaerobic seeder (costing US$400) in terms of seed placement and crop establishment. It was tested with five cultivars. Seeding rate varied from 38 kg/ha to 80kg/ha. Crop establishment ranged from 64 to 99 percent while grain yield varied from 3.0 t/ha to 5.4t/ha. A six-row anaerobic seeder was also developed and adapted to a powertiller for increased capacity , field efficiency , and easier operation. The anaerobic seeder is useful to farmers shifting to direct seeding to reduce rice production cost and to researchers conducting agronomic studies in direct-seeded rice. Blueprint of the machine is available free of charge from IRRI.

  • PDF

수도(水稻)의 기계이앙시기(機械移秧時期)와 묘령(苗令)이 출수(出穗)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the Transplanting Date and Seeding Age on the Flowering and Grain Yield of Rice under Mechanical Transplanting)

  • 최창열;안수봉;박종성;최봉호
    • 농업과학연구
    • /
    • 제9권1호
    • /
    • pp.231-238
    • /
    • 1982
  • 수도(水稻)의 기계이앙재배시(機械移秧栽培時)에 알맞는 이앙시기(移秧時期)와 육묘일수(育苗日數)를 밝히고저 시험(試驗)한바 통일계(系)인 밀양(密陽)23호(號)는 만식(晩植)에 의(依)하여 출수(出穗)가 크게 늦어지고 등숙(登熟)이 불량(不良)해지므로 출수(出穗)의 적기(適期)는 8월초순(月初旬)이고 이앙(移秧)의 적기(適期)와 만한(晩限)은 각각(各各) 5월하순(月下旬)과 6월상순(月上旬)으로 추정(推定)되고 기계이앙시(機械移秧時)에는 인력이앙시(人力移秧時)보다 4월이상(日以上) 이앙(移秧)을 앞당길 필요(必要)가 있으며 중묘(中苗)가 유리(有利)하였다. 한편 일반형(一般型)인 밀양(密陽)15호(號)는 만식적응성(晩植適應性)이 있어 늦심기하여도 출수(出穗)의 지연도(遲延度)가 적으며 등숙률(登熟率)도 비교적(比較的) 높고 수량(收量)도 많아 그 출수적기(出穗適期)는 8월중순(月中旬)이며 따라서 이앙(移秧)의 적기(適期)는 6월초순(月初旬), 만한(晩限)은 6월하순경(月下旬頃)이고 이앙적령(移秧適令)은 20~30일묘(日苗)로 추정(推定)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