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cA 유전자

검색결과 35건 처리시간 0.269초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판독에 있어 항균제 감수성 검사와 mecA PCR법의 비교 (Comparison Between Antimicrobial Susceptibility Test and mecA PCR Method for Reading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김수정
    • 미생물학회지
    • /
    • 제47권4호
    • /
    • pp.381-385
    • /
    • 2011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는 화농성 질환, 균혈증을 유발하고 병원내 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알려져 있다. 병원에서의 MRSA 분리율은 점차 증가하여 80% 이상으로 보고 되고 있으며 Methicillin 뿐만 아니라 다른 항균제에도 내성을 나타냄으로 치료를 위한 항균제 사용에 제한을 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MRSA의 정확한 판정을 통해 항생제 남용을 막고자 대부분의 병원에서 사용하는 항균제 감수성 검사법과 경제적인 면으로 인해 병원내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지 않지만 정확도가 높은 mecA 유전자 검출법을 서로 비교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인 Methicillin-susceptible Staphylococcus aureus와 실험군 MRSA 20 균주를 대상으로 항균제 감수성 검사법과 mecA 유전자 PCR 검출법을 실시한 결과 MRSA 20 균주는 Oxacillin과 Cefoxitin에 모두 내성을 나타냈으나 mecA 유전자 검출에서는 20 개 중 17 개에서만 유전자가 검출되어 염기서열분석 결과 mecA 유전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런 결과로 보아 mecA(-) 3 균주는 mecA 유전자의 변이로 추측할 수 있기에 임상에서의 MRSA의 판정은 항균제 디스크법과 mecA 유전자 PCR 검출법을 동시에 사용함으로 정확한 MRSA 진단에 도움을 주고자 한다.

신생아 비강에서 분리된 황색포도구균의 병원성 인자와 관련 유전자 (Associated-Genes and Virulence Factors of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Nasal Cavity of Neonates)

  • 김영부;문지영;박재홍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46권1호
    • /
    • pp.24-32
    • /
    • 2003
  • 목 적 : 황색포도구균(S. aureus)은 건강인의 비강이나 피부에 정상 세균총으로 존재하지만, 병원 내 감염과 항생제 내성이 문제가 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생아의 비강에서 S. aureus을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의 양상과 내성 관련 유전자를 검출하여 내성의 정도와 내성 관련 유전자의 상관관계를 규명해 보고자 하였으며, 병원성 인자의 검출을 실시하고, arbitrarily-primed polymerase chain reaction(AP-PCR)법에 의한 유전자형별을 통하여 역학적 해석을 시도하였다. 방 법 : 2001년 2월에서 5월 사이에 부산대학교병원 신생아 중환자실 및 신생아실에 입원한 28명을 대상으로 이들의 비강에서 총 120회의 nasal swab을 실시하여 51주의 S. aureus를 분리하였다. 분리균에 대한 항생제 감수성 검사, coagulase 검사과형별, plasmid DNA의 양상, mec 관련 유전자의 분포, 장독소의 유전자 및 TSST-1 독소의 유전자 보유 상태, AP-PCR법으로 유전자 형별을 조사하였다. 결 과 : 1) Methicillin 내성이 23주, vancomycin 내성이 6주였고, 3가지 이상의 약제에 대한 내성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다. 2) 42주가 coagulase 양성이었고, 이중 mecA 및 femA 유전 자를 보유한 12주를 대상으로 한 형별 검사에서 8종(coagulase I-VIII형)으로 분류되었다. 3) mecA 유전자가 22주에서, mecR1 유전자가 18주, mecI 유전자가 1주, femA 유전자가 17주에서 발견되었으며, 이들을 4가지의 유전자형으로 분류하였을 때 mecA형이 14주, mecR1형 10주, mecA-mecR1형 7주, mecA-mecR1-mecI형이 1주였다. mecA 및 mecA 관련 유전자와 항생제 다제내성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4) 16주가 mecA와 femA를 모두 보유하였으며, 이들의 plasmid 양상은 I형이 7주, II형이 6주 그리고 III형이 2주였다. Oxacillin 및 vancomycin에 내성을 보이는 II형과 III형에서는 35.5kb의 plasmid DNA를 보유하였다. 5) 장독소 A, B, D, 및 E의 유전자는 51주 전부에서 검출되지 않았으나 장독소 C의 유전자는 64.7%, TSST-1 유전자는 80.4%가 양성이었다. 6) Coagulase 양성이며 mecA 및 femA 유전자를 보유한 MRSA 12균주에 대한 유전자 형별 검사에서 I형에서 X형으로 분류할 수 있었으며, II형 2주, X형 2주가 동일 유전자형이었고, 나머지는 다른 유전자형이었다. 결 론 : 입원 중인 신생아의 비강 내 S. aureus의 상재률이 아주 높았으며, 이들의 항생제 내성률, 특히 vancomycin의 내성률이 높아 이들에 의한 원내 감염에 대한 특별한 관리가 필요하며, 이들의 병원성 인자 및 관련 유전자에 대한 분석은 원내 감염에 대한 적절한 대책과 효과적인 치료에 많은 도움을 줄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Methicillin 내성 포도구균의 PCR에 의한 mecA 유전자 분포 조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mecA Gene i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이규식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1-133
    • /
    • 1999
  • 본 연구는 methicillin 내성 Staphylococcus aureus (MRSA)에 특이적인 유전자인 mecA 유전자를 검출하기 위하여 전라북도의 두 병원에서 황색포도상구균 31주를 분리하였다. 이중 penicillin에 내성인 20균주를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여 methicillin, oxacillin, ampicillin, vancomycin, penicillin에 대한 다약제 내성 성상을 확인하였고, 중합효소 연쇄반응(PCR)을 이용하여 mecA 유전자를 확인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을 실시한 결과 methicillin 내성균주는 20균주 중 10주 (50%)였다. Methicillin에 내성인 10균주를 PCR법으로 확인한 결과 7주에서 554 bp의 DNA증폭이 관찰되어 mecA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 PDF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구균의 내성인자 분포조사 (Study on the Methicillin-resistant Gene Distribution of Staphylococci Isolated from Dogs and Cats)

  • Pak, Son-Il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302-307
    • /
    • 2003
  • 인의학에서 메티실린 내성 포도상균주는 병원감염의 주요 원인균으로 보고되고 있지만 소동물에서 이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다. 본 연구에서는 2002년 8월부터 2003년 7월까지 개와 고양이에서 분리된 136개의 포도상구균 분리주 (coagulase 양성 87주, coagulase 음성 49주)에 대하여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이들 분리주에서 메티실린 내성 유전자인 mecA 분포상황을 조사하였다. 136개 분리주중 43주 (31.6%)가 mecA 유전자를 가지고 있었고, 유전자의 분포율은 균주에 따라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43주의 mecA 양성균주 중 31주 (72.1%)가 oxacillin 내성을 보여 mecA 양성균주가 반드시 oxacillin 내성과 일치하는 것은 아님을 시사하였다. 그러나 mecA 양성균주일수록 oxacillin 내성율이 높았는데 S. intermedius의 71.4% (p<0.001), coagulase 음성균주의 경우 72.4%가 내성을 보였다 (p<0.001). 분리주의 94주(69%)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항생제에 내성을 보였고 특히 31주(22.8%)는 4가지 이상의 항생제에 동시에 내성을 보였다. Penicillin 항생제에 내성율이 71.7%로 가장 높았다. 본 연구는 국내 소동물에서 mcA 양성균주가 존재하며, 이러한 균에 의해 유도된 감염증을 치료할 때 다제내성의 특성 때문에 항생제 선택의 폭이 매우 제한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한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의 신속 검출 (A Rapid Detection of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 박진숙;박영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38권4호
    • /
    • pp.306-311
    • /
    • 2002
  •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i를 신속하게 검출하기 위한 방법으로 mecA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이용하고 결과를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비교하였다. 국내 병원에 입원중인 환자와 종사자로부터 총 43개의 staphylococci를 분리하여 항생제 감수성 시험을 실시한 결과, 43균주 중 methicillin 내성 균주(MRS)는 39 균주, 감수성 균주(MSS)는 4균주이었다. PCR시험결과, methicillin 내성 균주에서는 MRSC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cohnii), 1 균주(HRC2-4)를 제외하고 mecA 유전자에 해당하는 533bp의 절편이 중폭되었다. 한편, methicillin 감수성으로 분류된 MSSA (methicillin-susceptable Staphylococcus aureus), 1 균주(HSA1-10)에서도 mecA 유전자가 중폭되어 항생제 감수성과 상반된 결과를 보였다. 모든 MSSA는 mecA 양성을나타내었으나, 전체적으로 mecA 유전자의 유무는 항생제 감수성 검사와 95.6%의 일치를 나타냈다.

임상가검물에서 분리한 Methicillin내성 Staphylococcus aureus의 분자역학적 연구 (Epidemiological Studies on the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Clinical Samples)

  • Yang-Hyo Oh;Min-Jung Kim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5권2호
    • /
    • pp.135-145
    • /
    • 1999
  • 임상가검물에서 생화학 검사와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통하여 45주의 Staphylococcu aureus를 분리하여 역학적 연구를 위한 형별 분류로써 항생제 감수성 검사, bacteriophage typing,효소중합 연쇄반응 등을 실시하였으며, methicillin 내성과 관련이 있는 mecA 유전자를 검출 및 역학적 변별력이 있는 가변지역의 중합효소증폭반응을 실시하여, 약제 내성과 관련된 구조 유전자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여 특정 유전자 배열의 상동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45주의 Staphylococcus aureus중에서 mecA 유전자 양성주는 30주였으며, 그 중에서 26주가 methicillin에 내성을 보였다. 약제 내성양상에 따라 9개의 antibiogram으로 분류되었으며, SA6을 제외한 균주에서 penicillin, oxacillin, gentamicin 및 chloramphenicol 에서는 높은 내성을 보였으며, SAl3, SAl4 및 SA27에서는 rifampin에 내성을 보였다. 27주에서 bacteriophage 형별 분류가 가능하였으며, Iytic group III가 12주로 가장 많았다. mecA 유전자와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한 결과 모든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에서는 533 bp의 증폭 band가 관찰되었으나, methicillin 감수성 균주에서는 증폭된 band가 관찰되지 않았다. mec관련 가변부위의 polymerase chain reaction에서는 200 bp에서 600 bp사이에 분포하여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410bp인 C형이 10균주로 가장 많았다. C형 가변부위의 DNA sequence에서 40 bp가 반복되는 dru sequence를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러한 dru sequence는 4 unit가 직접적으로 중복됨을 알 수 있었다.

  • PDF

원유시료 중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포 및 내성 유전자 특성 분석 (Prevalence and Molecular Characterization of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Isolated from Raw Milk Samples in Gyeonggi-do, Korea)

  • 강소원;송영천;최성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9권3호
    • /
    • pp.223-227
    • /
    • 2014
  • 원유시료에서 분리한 methicillin 내성 황색포도알균의 분표율과 내성유전자의 분석을 분자수준에서의 실시하였다. 총 698종의 원유시료에서 286개의 포도알균속 세균을 Staphylococcus Medium 110을 이용하여 분리 후 Vitek 2 system을 이용하여 동정한 결과 94개의 황색포도알균을 확인하였다. 94개의 황색포도알균 중 총 7개의 균에서 methicillin 내성 mecA 유전자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로 확인된 7 균주에 대해 수종의 항생제에 대한 감수성 시험, staphylococcal cassette chromosome mec (SCCmec) typing, 및 병독소유전자인 Panton-Valentine Leukocidin (pvl)유전자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7종의 mecA 양성 MRSA 모두 ampicillin과 oxacillin에 내성이었으며 teicoplanin, vancomycin 및 ciprofloxacin에는 모두 감수성임을 확인하였다. 한편 SCCmec typing결과 7균 중 1균주는 SCCmec type II로 확인되었고 6균주는 SCCmec type IV로 확인되었으며 병독소 유전자인 pvl유전자는 검출되지 않았다.

Real-time PCR을 이용한 원유시료 유래 황색포도상구균의 신속 검출 (SYBR Green I-based Real-time PCR Assay and Melting Curve Analysis for Rapid Detection of Staphylococcus aureus from Raw Milks Samples)

  • 정재혁;정순영;이상진;최성숙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1-128
    • /
    • 2008
  • 본 연구는 Lightcycler (Roche)를 이용한 Real-Time PCR(LC-PCR)기법을 통하여 원유시료에서 신속, 정확하게 황색포도상구균을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coagulase 전구체를 coding하는 113 bp의 co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황색포도상구균 특유의 유전자 검출하는 기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분리된 균주중 메치실린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검출하고자 penicillin-binding protein, PBP2a (mecA)를 coding 하는 209 bp의 mecA 유전자의 증폭, melting curve 분석 및 DNA염기서열을 분석하여 메치실린내성 황색 포도상구균을 real-time PCR 기법으로 검출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본 실험에 따르면 647개의 원유시료중 6개의 시료에서 황색포도상구균이 검출되었으며 이중 2개의 시료에서 분리된 황생포도상구균이 메치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DNA 검출한계는 10 fg으로 기존 PCR에 비해 매우 감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3개의 원유시료에서 돼지나 소의 삼출성 피부염의 원인균인 Staphylococcus chromogenes가 분리되었다.

감초 추출물이 항생제 내성균주의 항균활성에 미치는 영향 (Antimicrobial Effect of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Methicillin-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 이지원;지영주;유미희;임효권;황보미향;이인선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7권3호
    • /
    • pp.456-464
    • /
    • 2005
  • 본 연구에서는 최근 전세계적으로 문제가 되고 있는 항생제 내성균에 대해 그 항균효과를 천연의 약용식물을 이용하여 분자생물학적 수준에서 비교해보고 천연항균제의 개발에 우선하여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그 효과를 검색하고자 하였다. 병원내감염의 주된 원인균으로 알려진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aureus)은 여러 항균제에 대하여 내성을 획득함으로써 질병의 치료를 어렵게 한다는 점에서 매우 심각한 문제이다. 이러한 내성균은 다양한 방법으로 동 식물에 빠르게 전파되고 있으므로 소비자가 내성균을 지닌 식품을 섭취해 잠재적인 내성균을 보유하게 되는 결과를 낳게 된다. 이러한 항생제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 aureus, MRSA)에 대해 천연 약용 식물 중 우수한 항균력을 가지는 감초를 순차 분획하여 각 분획물을 이용한 MRSA에 대한 항균 활성을 알아본 결과 hexane, chloroform 분획물에서 항균활성을 나타냈으며, 동일농도의 생육저해비교 실험에서 대부분의 내성균주에 대해 대조군과 유사한 효과를 나타낸 penicillin에 비해 감초분획물이 대수기를 넘는 억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이 중 chloroform 분획물이 가장 높은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RT-PCR을 통하여 표준균주와 내성균주의 내성 정도와 내성 유전자를 관찰해본 결과 KCCM 40510은 내성획득유전자인 mecA, mecRI, mecI, femA에 발현이 높게 나타나 고도내성균임을 알 수 있었으며, 고도내성을 나타내는 균주를 이용하여 감초의 chloroform 분획물을 농도별로($50,\;100,\;250\;{\mu}/mL$) 처리한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유전자 발현이 억제됨을 볼 수 있었다. 특히 고도내성균주인 KCCM 40510은 메티실린 내성을 상승시키는 mecA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시키는 mecRI 유전자의 pathway와 상응하는 것으로 보여지므로 감초가 이러한 고도내성균에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SEM을 통한 형태학적 관찰을 통해 분획물 처리 시 세포벽이 파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한편 이러한 감초추출물을 직접 식품에 첨가하여 내성 균주에 대한 억제 효과도 확인한 결과 추출물 200mg/100mL 농도에서 포도상구균에 대해 항균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임상검체에서 분리된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의 다제내서양상과 내성 관련 유전자의 검색 (Detection of multidrug resistant patterns and associated-genes of Methicillin Rdsistant Staphylococcus aureus(MRSA)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 김영희;문지영;선윤수;김영부;오양효
    • 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24-34
    • /
    • 2001
  • 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 (MRSA) was obtained from the clinical specimens at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Pusan, Korea. The sensitivities against various antibiotics were examined by using disc diffusion test and associated genes such as mecA, mecR1, mecI and femA were detected by polymerase chain reaction. Among Seventy-nine strains of MRSA, 38 strains(48.1%)were sensitive to streptomycin and 32 strains(40.5%) to cefoperazone, while one strain(1.3%) were resistant to vancomycin. In considering the result of this study, 7 strains showed resistance to 9 kinds of different antibiotics, 12 strains were to 8 kinds, 24 strains were to 7,25 strains were to 6, 9 strains were to 5, and 2 strains were to 4 antibiotics. Among 79 strains of MRSA, 67 strains were coagulase positive and 12 were coagulase negative. In the detection of MRSA associated genes by PCR method, mecA, mecR1, mecI, and femA genes were detected in 30 strains(44.8%), 28 strains(41.8%), 23 strains(34.3%) and 15 strains(22.4%), respectively. MecA type that is without femA were found in 21 strains(31.3%), femA type that is without regulator genes were shown in 4 strains(6.0%), while mecA-mecR1-mecI type with regulator genes were shown more to be 17 strains(25.4%). There was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ce between multidrug resistance and MRSA associated genes. Considering these result, it is necessary to include moecular biological studies of related genes to the study drug resistanc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