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surement scale for wear comfort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18초

중년 여성의 감성 Brassiere 개발(제1보) -소비자 요구 분석을 기초로 한 제품 디자인 요소 추출- (Development of Sensible Brassiere for Middle Aged Women -Investigation of consumer's Needs and Evaluation of Commercial Brassiere for the Development of Subjective Measurement Scale and Screening of Design Parameters-)

  • 김정화;이선영;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714-723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unctional and sensible brassiere for middle-aged women. As a methodology, engineering design process, especially,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was adopted to translate consumer's needs into product design parameters. Wearing tests of commercial brassiere were performed for the development o subjective measurement scale. The environmental condition was controlled at 28$\pm$1$^{\circ}C$, 65$\pm$3%RH. As results, subjective measurement scale and dimension for the evaluation of sensible brassiere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Four factors were fitting, aesthetic property, pressure sensation, displacement of brassiere due to movement. Regression equations with the subjective evaluation descriptors were developed for the prediction of wearing comfort of brassiere. (R2=.82) The most critical design parameter was wire-related property and second one was stretchability of main material of brassiere. Also, wearing comfort of brassiere was affected by the interaction of initial stretchability of wing and support of strap.

  • PDF

인라인 스케이팅 활동에 적합한 캐주얼웨어 개발 (The Development of Casual Wear also Fit for In-line Skating)

  • 김민지;최혜선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904-915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examine an in-line skating uniform that is also suitable for everyday wear, through research on the dressing needs of skater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s: when asked about the garment, ordinary clothes were more inconvenient than professional uniform. In the case of the upper garment, the skaters who dressed in ordinary clothes felt the most inconvenience in the part of sleeve, back side of bottom and width. The skaters who dressed in professional in-line uniforms felt the most inconvenience in the part of neck girth, of sleeve, back side of bottom. In the case of the lower garment, the skaters who dressed in ordinary clothes felt the most inconvenience in the knee, crotch and hip. The skaters who dressed in professional in-line uniforms felt the most inconvenience in the hip and crotch. Damage due to wear was shown up the hip, knee, side of thigh and shoulder. The answer rate was high that the ordinary clothes usually wore out and the uniform used to tear out in the form of clothes damage. An appropriate sample pattern was made up, based on the problems revealed in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analysis. Evaluation of samples was used linear Measurement (5 point preference scale) by organized with 15 male and female's subjects group and 12 observer group.

GP렌즈 착용자에게 피기백 콘택트렌즈 시스템의 적용 (Use of Piggyback Contact Lens System to GP Lens Wearers)

  • 김용길;김수현;김재민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47-53
    • /
    • 2010
  • 목적: 피기백 렌즈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소프트렌즈 위에 GP렌즈를 피팅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약도의 근시성 난시 대상자 중 본인의 기존에 착용하고 있는 GP렌즈를 이용한 피기백 피팅이 수용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 시행하였다. 대상 및 방법: 약도의 근시성 난시 환자 15명을 대상으로 시행하였다. 대상자는 여자 9명과 남자 6명으로 평균 연령 23.73${\pm}$1.68세이다. 피기백 콘텍트렌즈 시스템으로 피팅하기 전, 착용 2시간 후 및 2주 후에 연구에 관련된 조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항목은 착용감, 최고 교정시력, 덧댐 보정, 대비감도, 입체시 등을 조사하였다. 0.00D(Plano)의 소프트렌즈를 피팅한 후, 위에 본인이 착용했던 기존 GP렌즈를 착용한 피기백 시스템으로 피팅하였다. 결과: 15명을 대상으로 기존에 착용하고 있는 GP렌즈와 비교하여 피기백 렌즈 시스템의 시력, 시기능 및 만족도가 안정적이었다. 착용감, 교정시력, 대비강도가 기존 GP렌즈 착용시와 비슷하거나 증진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력, 대비감도, 입체시는 피팅 방법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결론: 기존의 GP렌즈 착용자에게 피기백 렌즈 시스템으로 본인의 GP렌즈를 이용한 피팅이 충분히 수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피기백 시스템은 약도의 근시성 난시인 기존의 GP렌즈 착용자의 시생활과 시기능적 욕구를 만족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QFD(품질 기능 전개도)를 이용한 중년 여성의 감성 Brassiere 개발 (Applying QFD in the Development of Sensible Brassiere for Middle Aged Women)

  • 김정화;홍경희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8권12호
    • /
    • pp.1596-1604
    • /
    • 2004
  • QFD(Quality Function Deployment: 품질기능 전개도)는 상품개발과정에서 소비자의 요구가 손실되지 않고 최종제품의 생산에 반영되고 시장에 투입되도록 고안된 상품개발 기술의 일종이다. 본 연구에서는 착용감이 우수한 brassiere를 개발하는 과정에서 필요한 모든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소비자가 요구하는 제품속성과 이 제품속성을 제품 기능에 반영할 수 있는 구체적인 연구 방법론을 제시하기 위해 QFD를 이용하여 그 효율성과 타당성을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Brassiere 착용쾌적성에 대한 소비자 요구 조사를 위해 30-40대의 주부 10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소비자 요구들 중 중요 항목을 선정하기 위해 중요도 순위 조사를 5점 척도로 조사한 후, 소비자 요구 항목들은 기술적 언어로 전환되었다.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주관적 평가인 소비자 경쟁 평가를 위해 10가지 시판 brassiere에 대한 착용실험이 $28{\pm}1^{\circ}C,\;65{\pm}3\%$ RH로 조절되는 인공기후실에서 실시되었다. 소비자 경쟁 평가치는 기술적 경쟁 평가의 물리적평가치와 비교함으로써, 적절한 기술적 언어를 발굴해 냈는가를 검증할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쾌적성 있는 중년 여성의 brassiere를 개발하기 위해 도출된 소비자 요구는 종합적 착용 쾌적감, 맞음성-체형보정성, 움직임에 의한 브래지어의 위치 이동성, 압박감, 생리적 특성, 심미적 특성, 브래지어의 어깨끈 관련 특성 등 7가지로 나타났다. 이를 제품에 반영하기 위한 기술적 언어로는 3D측정 Data,소재의 물리적 특성, 심미적 특성, 생리적 측정치, 패턴, 압력 측정치 등으로 도출되었다.형 집단이 다른 두집단보다 더 활발한 불평행동을 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정보지향형과 브랜드지향형 집단의 경우에는 서비스회복의 만족도론 높혀주는데 주력하고, 가격지향형 집단의 경우에는 불평행동이 보다 적극적으로 취해질수 있도록 유도하는 마케팅 전략을 서비스 회복 전략과 함께 구사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 일 것이라 생각된다.TEX>$53\%$의 상동성이 각각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을 가지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사람에 직접적인 유해성을 가지고 있는 지 확인하기 위해 사람 방광 유래의 T-24세포와 장내 표피 유래의 Caco-2세포에 대한 부착능을 시험하였을 때, 16균주$(42.1\%)$가 T-24방광 세포에, 그리고 17균주$(44.7\%)$가 Caco-2장세포에 대해 강한 부착능을 나타내었다. 특히 11균주$(28.9\%)$는 두 세포 모두에 강한 부착능을 가지고 있었다. Filter mating method를 수행하여 이들 균주들의 독소 생산 유전자와 항생제 내성 유전자가 사람에서 분리된 균주로 전달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의 결과는 설사 중상을 나타내는 돼지로부터 분리된 용혈성 E. coli의 독성과 세포 부착능력, 그리고 항생제 내성간의 상호 연관성을 보여주지 않았으나 동물 분리 세균의 항생제 내성과 독소 생산 능력이 유전자 전달을 통해서 뿐만 아니라 세균의 직접 접촉에 의해서도 인체로 전달될 수 있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다. 본 연구를 토대로 장시간의 체외순환에서는 신장기능을 대표하는 수치들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으리라 예상되며, 신장 이외에 다른 주요 장기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를 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