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n excess delay

검색결과 14건 처리시간 0.035초

도심 마이크로셀에서의 무선 전파지연 특성에 관한 실험적 분석 (Experimenatal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delay characteristics in urban microcells)

  • 박시우;곽우영;박진우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2494-2504
    • /
    • 1996
  • This paper describes about the spread specturm radio wave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urban microcells. The experiments are carried out with respect to the mean excess delay, the RMS delay spread, and the received maximum peak power in the two kinds of geogrphical areas, LOS area and N-LOS area, especially whose variations are observed while varying the transmission distance and tilting the transmitting antenna. The typical results obtained in pariticular urban sites in Seoul are 300-600 nsec of mean excess delay and about 75 nsec of averaged RMS delay spread for LOS area, and 270-280 nsec of mean excess delay and about 100 nsec for N-LOS area. With the transmitting antenna gilted, obsered in the experiments are increase in RMS delay spread as expected, but increase of the received power at N-LOS areas in particular.

  • PDF

실내 아파트 환경에서의 통계적 UWB 채널 모델 (A Statistical Model for the Ultra-Wide Bandwidth Indoor Apartment Channel)

  • 박진환;이상협;방성일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2권9호
    • /
    • pp.19-28
    • /
    • 2005
  • 본 논문에서는 실제 아파트 환경에서 2000번의 주파수 응답에 의한 통계적 UWB 실내 채널 모델을 연구하였다. 측정은 서로 다른 방, 서로 다른 위치에서 이루어 졌으며, 실험 결과를 통해 채널의 전파특성을 이론적으로 설명하였다. Time-domain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channel impulse response (CIR)와 frequency-domain상에서 측정할 수 있는 channel transfer function (CTF) 측정방법을 제안하였다. 측정데이터를 통해서 CIR과 CTF를 비교하여 분석하였고, 통계적 경로손실 모델 또한 제안하였다. 신호 대역은 10MHz에서 8.010Hz까지 사용하였다. 측정결과를 통해 time-domain상에서 확인할 수 있는 maximum excess delay, mean excess delay, ms delay spread를 나타내었다. 송신기와 수신기에는 전방향의 biconical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또한 제안된 아파트 환경에서의 채널 모델은 UMB용 안테나 특성이 포함된 결과이다.

곡선형 지하철 터널환경에서 전파 특성의 측정과 분석 (Measurement and Analysis of Propagation Characteristics in Curved Subway Tunnel Environments)

  • 정회동;박노준;강영진;송문규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29권8A호
    • /
    • pp.950-961
    • /
    • 2004
  • 이 논문에서는 최근 무선 통신 환경으로 증가하고 있는 지하철 터널 환경에서의 전파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측정은 지하철 터널에서 2.45㎓와 5.8㎓의 주파수 대역을 가지고 수행하였다. 측정을 위해 사용된 터널의 길이는 LOS(line of sight: LOS)가 175m이고, NLOS(non line of sight: NLOS)가 270m이다. 지하철 터널은 곡선형이며, 그 단면은 마제형(horseshoe type)이다. 측정 시스템은 협대역 시스템과 광대역 시스템을 이용한다. 협대역 시스템은 경로손실(path loss: PL) 측정을 위해 사용되고 광대역 시스템은 전력지연프로파일(power delay profile: PDP)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특히, 광대역 시스템은 슬라이딩 코릴레이션 기법을 기반으로 80MHz 칩율과 1023길이의 PN 시퀀스 발생기로 구성하였다. 안테나 빔 형태에 따른 전파특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무지향성 안테나와 지향성 안테나를 사용하였다. 경로손실은 터널 환경의 순수한 경로손실만을 나타내었다. 지연 프로파일은 평균초과지연(Mean Exess Delay)와 RMS 지연확산(RMS delay spread)에 대해서 분석하였다.

잔향음 우세 수조 환경에서의 수중음향 통신성능 분석 (Underwater acoustic communication performance in reverberant water tank)

  • 최강훈;황인성;이상국;최지웅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84-191
    • /
    • 2022
  • 천해에서의 음파는 긴 지연시간을 가지는 다중경로를 통해 전달되며 이러한 특성은 통신에서 Inter-Symbol Interference(ISI)을 야기하기 때문에 성능을 악화시킨다. 본 논문에서는 잔향음 우세 환경에서의 통신성능을 분석하고 다중경로 지연시간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5 × 5 × 5 m3 수조에서 다양한 심볼 전송속도(100 sym/s to 8000 sym/s)를 갖는 Binary Phase-Shift Keying(BPSK) 신호를 이용하여 실험을 수행하였다. 제어가능한 수조 환경에서의 음향 채널은 수조 내 경계면 및 벽면에서의 다중반사로 인해 밀집한 다중경로 특성을 가지며 약 40 ms 이하의 최대 초과 지연과 8 ms 이하의 Root Mean Squared(RMS) 지연확산을 보였다. 본 논문에서는 4가지 통신 복조 기법을 이용하여 Bit Error Rate(BER) 성능과 출력 Signal-to-Noise Ratio(SNR) 성능을 분석하며 잔향음 우세 환경에서의 심볼 시간과 RMS 지연확산의 비율인 Symbol interval to Delay spread Ratio in reverberant environment(SDRrev)을 정의하여 통신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기준 심볼 전송속도를 제시한다.

광대역 채널 측정 및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Program Development for Wideband Channel Sounding and Analysis)

  • 고거다;박노준;강영진;송문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380-385
    • /
    • 2006
  • 본 논문에서는 무선 전파 특성의 측정과 분석에 이용할 수 있는 측정 및 분석 시뮬레이터 프로그램을 개발 하였다. 프로그램은 GPIB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측정 장비인 스펙트럼 분석기의 제어가 가능하고 측정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평균 초과 지연(mean excess delay)과 RMS 지연 확산(RMS delay spread)을 산출해 낸다. 측정된 경로손실은 자유공간과 터널내의 이론적인 경로손실과 비교 할 수 있다. 측정되고 분석된 결과는 그래프의 형태로 출력된다. 측정 현장에서 데이터의 비교분석이 가능하기 때문에 본 프로그램은 측정의 수행과 검증함에 있어 매우 유용하다. 본 논문은 또한 2.45GHz 와 5.8GHz 주파수대역의 지하철 터널내의 전파경로에 의한 손실과 지연 특성을 측정하고 분석 하였고, 안테나의 빔 형태에 따른 전파경로 손실과 지연특성을 비교 분석 하였다. 터널은 송신안테나의 빔 형태와 무관하게 터널 내에 전파가 가득 차기 전까지는 자유공간과 비슷한 경로손실차를 가졌다. 터널 내에 전파가 가득차는 시점부터는 지하철 터널이 도파관 역할을 하여 LOS 및 N-LOS 구간 모두에서 자유공간에 비하여 손실차가 적게 나타났다. 고주파대역 보다는 저주파 대역인 2.45GHz에서 전파 경로에 의한 손실이 적었고, 신호의 수신 전력은 높게 측정 되었다. 지연특성에 있어서는 양 대역 모두에서 슬릿빔 안테나의 지연확산량이 가장 적게 나타났다.

시간영역 유한차분법을 이용한 실내 전파 채널 모델링 (Indoor Propagation Channel Modeling Using the Finite Difference Time Domain Method)

  • 정선오;임영석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1847-1853
    • /
    • 2011
  • 실내 전파 채널 해석은 고전적으로 경로추적법이 많이 이용되었으나, 이 논문에서는 3차원 전파해석법인 시간영역 유한차분법을 이용하여 3차원 실내 구조에 대하여 채널 모델링하였다. 시간영역 유한차분법의 여기신호로는 평면파를 이용했으며, 이 때의 평면파의 구성은 TF/SF법을 사용했다. 그리고 흡수경계조건으로는 7개의 흡수층을 사용한 완전정합층법을 이용했다. 실내 채널 모델링의 시뮬레이션을 위한 거실은 벽돌, 도체, 유리, 콘크리트로 이루어졌다. 거실에 가구가 있는 경우와 없을 때에 대하여 각각 시뮬레이션 하였다. 시뮬레이션 결과로 실내 전파 환경에서의 다중경로에 의한 페이딩 현상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수신기 설계에 도움이 되는 초과지연 평균과 실효 지연 확산을 계산할 수 있었다.

실내에서의 800MHz 대역 채널 특성 분석 (Indoor Wireless Channel Characteristics at 800MHz)

  • 곽도영;이종호;최준수;김성철
    • 방송공학회논문지
    • /
    • 제5권2호
    • /
    • pp.273-280
    • /
    • 2000
  • 건물 외부에 위치하는 송신기와 건물 내부에 위치하는 수신기 사이의 채널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전파 추적 기법을 기반으로 한 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본 모의 실험에서는 건물 내에 29개의 수신기를 설치하고, 각 수신기에서의 수신 특성을 다중 경로를 통해 수신된 여러 개의 신호의 상호 간섭 패턴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모의 실험 결과에서 수신기의 위치와 송신기의 위치 및 전파의 편파 특성에 따라 수신 특성이 다르게 나타났고, 상쇄 간섭으로 인해 창가 쪽에 위치한 수신기의 수신 파워가 건물 안 쪽에 위치한 수신기의 수신 파워보다 작게 나타나는 경우도 있었다. 본 논문에서는 채널 파라미터들, 즉 mean excess delay와 rms delay spread를 통해 송신기와 수신기간의 채널 특성 분석도 수행하였다.

  • PDF

무선 전파의 측정 및 분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Program Development for Measurement and Analysis of Radio Propagation)

  • 고거다;현재섭;강영진;송문규
    • 대한전자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자공학회 2003년도 하계종합학술대회 논문집 I
    • /
    • pp.314-317
    • /
    • 2003
  • In this paper, a measurement and analysis program is developed, that can be utilized to measure and analyze radio propagation characteristics. This program is able to control the measurement instruments including spectrum analyzer through a GPIB interface, and analyze the measured data to yield mean excess delay and RMS delay spread. The measured path loss can be compared with theoretical path loss in free space or inside tunnels. The measured and analyzed results can also be presented in the forms of graphs. As those tasks can be conducted on the measurement spot, this program is very helpful for performing and verifying measurements.

  • PDF

터널 환경에서 2.6 GHz 대역 신호의 전파 전파 채널 특성 (Characterization of Radio Propagation Channels in Tunnel Environments at 2.6 GHz)

  • 조한신;김도윤;육종관;최오열
    • 한국전자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전자파학회 2003년도 종합학술발표회 논문집 Vol.13 No.1
    • /
    • pp.589-593
    • /
    • 2003
  • Narrowband and wideband characterizations of radio propagation channels in tunnel environments are investigated by using ray tracing techniques. For a rectangular straight tunnel and a rectangular curved tunnel, received power is simulated when the receiver moves away from the transmitter. The fast fading statistics of the narrowband propagation are analyzed in terms of cumulative distribution function, level crossing rate and average fade duration. The tunnel wideband radio propagation channel is characterized in terms of mean excess delay and rms delay spread.

  • PDF

Iterative Calculation을 이용한 UWB 위치측정에서의 오차감소 기법 (Location Error Reduction method using Iterative Calculation in UWB system)

  • 장성진;황재호;최낙현;김재명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2호
    • /
    • pp.105-113
    • /
    • 2008
  • 유비쿼터스 사회에서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사용자가 갖고 있는 기기에 대한 정밀한 위치측정을 필요로 한다. 위치 측정은 송수신기간에 신호의 전송을 기반으로 한 거리측정을 통해 이뤄지기 때문에 위치측정의 오차는 거리측정의 오차로부터 발생한다. 신호가 전송되는 기기 간에 장애물이 존재하게 되면 LoS(Line of Sight)신호 성분이 줄어들게 되어 NLoS(Non-Line of Sight) 채널이 발생하게 되고 정확한 시점에서 신호를 검출할 수 없게 되어 거리오차가 발생하게 된다. 일반적인 위치측정 알고리즘은 참조기기(Reference Device)의 거리측정 성능에 관계없이 참조기기와 목표기기(Target Device)간의 거리측정 값을 위치 계산에 그대로 사용하기 때문에 거리측정 값으로부터 발생되는 오차가 위치 계산에 더해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각 참조기기가 속해 있는 채널특성을 판별하고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와 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를 다른 비율로 적용하여 위치측정의 오차를 줄이는 Iterative Calculation 기법을 제안한다. 참조기기는 수신된 신호의 Kurtosis, Mean, Excess Delay, RMS Delay spread를 통해 NLoS와 LoS 채널을 구분한다. 이를 통해 구분된 채널마다 각기 다른 비율로 랜덤 거리를 계산된 거리에 더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것을 반복적으로 수행한 뒤 평균값을 계산하여 확률적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높은 목표기기의 위치를 찾아감으로써 NLoS채널로부터 계산된 거리오차가 위치측정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방법을 제안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해 기존의 방식과 비교했을 때 성능향상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