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eal conditions

검색결과 247건 처리시간 0.033초

사료폐수를 이용한 Alkaline Pretense 생산균의 동정 및 효소생산 조건 (Identification of the Pretense Producing Bacteria to Use Fish Meal Wastewater and the Producing Conditions for the Enzyme)

  • 신석우;정규진;김성우;박승희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38-146
    • /
    • 1989
  • 여수오천공단을 중심으로 하여 어분사료공장폐수가 일일 약 300톤 정도 유출되고 있어 그 처리에 막대한 경비가 소요되고 있다. 이 폐수는 수용성 단백질로서 미생물균체생산 및 protease생산에 활용가능성이 많은 것으로 우선 수계의 alkaline protease활성이 강한 균주를 분리하여 분리균(G-12,6-14균주)의 효소생산조건을 구명하고자 본 실험을 행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해수로부터 분리한 alkaline pretense활성이 강한 G-12, G-14균주는 생화학적인 성상에 의해 각각 Pseudomonas chlororaphis와 Pseudomonas alcaligenes로 동정되 었다. 2. 효소생산을 위한 Pseudomonas chlororaphis의 탄소원과 질소원은 galactose와 casein이었고, Pseudomonas alcaligenes에 있어서는 raffinose와 정어리 사료폐수의 수용성 단백질이 가장 적합하였다. 3. 사용한 금속염은 모두 저해작용을 나타내었다. 4. 생산최적 initial pH는 G-12와 G-14균주에 있어서 각각 8.0, 10.0이었고, 지적온도는 $30^{\circ}C$로 두 균주가 동일하였다. 5. G-12, G-14균주 모두 $30^{\circ}C$ 35시간 배양시 효소활성이 각각 310 unit/ml, 385 unit/ml로 최고에 달했다.

  • PDF

추출조건이 어분단백질 물성과 필름의 ester 화합물 투과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xtracting Conditions on the Properties of Pish Meal Protein Isolates and the Permeability of Protein Film for Ester Compounds)

  • 유병진;심재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4권4호
    • /
    • pp.320-326
    • /
    • 2001
  • 어분단백질의 이용성을 높이기 위한 가식성 혹은 생분해성 필름가공을 목적으로 알칼리 처리하여 제조된 FMPI의 물성과 이물성과 ester 화합물의 필름 투과율과 인장강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어분으로부터 알칼리처리하고 추출조건을 달리하여 제조된 FMPI의 추출량은 추출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였다. FMPI의 소수성은 추출시간 1시간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다가 그 이상 추출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였다 유화활성은 추출시간이 5시간까지 증가함에 따라 급격한 증가를 보였으며, 유화안정성은 추출시간 2시간까지 추출시간의 증가에 따라 급격한 감소를 보여 유화활성과 상반된 결과를 나타내었다. 점도는 pH가 2일 때 가장 높게 나타났고 pH가 4일 때 가장 점도가 낮게 나타났다. 첨가하는 가소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필름의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증가하였다. 가소제의 종류별에 따른 ethyl acetate의 투과도는 polyethylene glycol, glycerol 및 sorbitol 첨가 필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ester 화합물 중에서는 ethyl formate의 투과속도가 가장 높았다.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ethyl acetate의 필름 투과속도는 증가하였다. FHPI의 표면소수성이 증가하면 필름의 인장강도가 증가하였다. 필름의 신장율은 FMPI의 표면소수성보다 가소제의 종류에 더 큰 영향을 받았다.

  • PDF

공모선(工母船) 개척호(開拓號)의 운용(運用)에 관한 실태(實態) 분석(分析) (The Actual Conditions of the Management of the Factory Ship GAECHEOG)

  • 정동희;김진건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9권2호
    • /
    • pp.149-166
    • /
    • 1997
  • This thesis is studied by means of operation diary of the factory ship GAECHEOG in the Sea of Okhotsk and the Sea of Bering from Jul. 1993 to Dec. 1996, We summarize these results as follows : 1. The factory ship GAECHEOG equipped trawl winch able to haul raw fish 700M/T per day and cargo winch able to unload manufactured goods 900M/T. The crews consist of 290~330 persons. 2. Factory machineries equipped surimi making plant able to process about 150M/T per day and fish meal plant able to manufacture about 70M/T per day. 3. The fishing ground from June to Nov. was the western Bering sea lying in the eastern Kamchaka peninsula and from Dec. to May, the fishing period to gather roe of a Pollack, was the Sea of Ohotsk lying in the western Kamchaka peninsula. 4. The buying catch of fish per each voyage from Dec. to May, the fishing period gathering Pollack-roe, was about 17,000~33,000M/T and from Jul. to Oct., the fishing period gathering non Pollack-roe, was about 10,000~21,000 M/T. 5. Raw fish was the most about 33,000M/T of the 2nd voyage in 1994 and was the least about 8,300M/T of the 1st voyage in 1993. Other voyages were about 13,000~18,000M/T. 6. The Pollack buying from Jul. to Nov. in the Bering sea was 5~7 fishes for one row in pan and body length about 40~50cm, and from Dec. to May in the Sea of Ohotsk was 6~8 fishes for one row in pan and body length about 37~45cm. 7. Surimi production in the 2nd voyage in 1994 was the most about 7,300 M/T, in the 1st voyage in 1993 was the least 1,900M/T and in other voyages was about 2,500~3,800M/T. The extraction rate of surimi goods for raw fish was about 17.4~26.5%. 8. Fish meal production in the 2nd voyage in 1994 was the most about 2,300 M/T, in the 1st voyage in 1993 was the least about 780M/T and in other voyages was about 1,100~1,700M/T. The extraction rate of fish meal goods for raw fish was about 7.3~10.7%. 9. Pollack-roe production was very much from Jan. to Apr. and was about 380~700M/T per each voyage. The extraction rate of Pollack-roe for raw fish was about 1.2~4.9%.

  • PDF

Aspergillus spp.를 이용한 Sardine Meal Koji제조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Processing of Sardine Meal Koji Using Aspergillus spp.)

  • 김동수;김영명;구재근;이영철;우상규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69-76
    • /
    • 1990
  • 액젓 또는 어간장 제조시 발효기간의 단축과 향미를 개선할 목적으로 최근들어 soy sauce용 koji를 많이 이용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soy sauce용 koji를 대체하기 위하여 어육을 기질로 한 koji의 제조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마쇄한 정어리육과 전분을 혼합한 후 살균 처리한 다음 Aspergillus awamori(KFCC. 11439), Aspergillus guercinus (KFCC. 11595), Aspergillus niger(KFCC. 11239), Aspergillus oryzae(KFCC. 32343) 및 Aspergillus sojae(KFCC. l1559)의 곰팡이균을 각각 접종하여 배양 시간에 따른 생육특성을 조사하고 우수한 균주를 선정하여 정어리육을 기질로 한 koji의 효소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생육특성을 조사한 바 $30^{\circ}C$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곰팡이의 포자가 형성되었으며 protease 및 lipase activity는 배양 72시간까지 계속 증가하는 현상을 보였고 trimethylamine생성은 배양 96시간까지 Aspergillus awamori와 Aspergillus niger를 접종한 처리구를 제외하고는 모두 감소되었으며 5종의 Aspergillus spp중 Aspergillus oryzae와 Aspergillus sojae가 비교적 우수한 균주로 선발되었고 적정 배양시간은 72시간이었다. 이 균주를 대상으로 적정 koji의 제조조건을 검토하기 위하여 pH의 변화, 전분의 첨가양 및 배양온도에 따른 protease및 lipase activity를 조사한 바 protease activity는 Asp. oryzae를 접종한 경우 pH 9 부근에서 Asp. sojae의 경우는 pH $6\~7$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냈고 lipase activity는 pH $6\~7$ 범위에서 가장 높았다. 전분의 첨가양은 어육중량의 $20\%$(w/w), 배양온도는 Asp. oryzae는 $30\~35^{\circ}C$ 범위에서 Asp. sojae는 $35^{\circ}C$ 부근에서 이들의 활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나 어육을 기질로 한 koji의 제조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 PDF

Oligosaccharides are a key factor in prediction of amino acid digestibility in soybean meal of different origins when fed to growing pigs

  • Li, Zhongchao;Wang, Qiuyun;Xie, Fei;Liu, Dewen;Li, Yakui;Lyu, Zhiqian;Lai, Changhu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0권12호
    • /
    • pp.1724-1732
    • /
    • 2017
  •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is experiment was to determine apparent ileal digestibility (AID) and standardized ileal digestibility (SID) of crude protein (CP) and amino acid (AA) in 15 sources of soybean meal (SBM) produced from soybeans from different countries and subsequently to establish equations for predicting the AID and SID in SBM based on their chemical composition. Methods: Eighteen barrows ($57.9{\pm}6.1kg$) fitted with a simple T-cannula were allotted into three $6{\times}6$ Latin square designs. Each period comprised a 6-d adaption period followed by a 2-d collection of ileal digesta. The 15 test diets included SBM as a sole source of AA in the diet. Another nitrogen-free diet was used to measure basal endogenous losses of CP and AA. Chromic oxide (0.3%) was used as an inert marker in each diet. Results: The AID of lysine in SBM from China and USA tended to be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10). The SID of valine and proline in SBM from China was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05). The SID of lysine, threonine, cysteine and glycine in SBM from China tended to be greater than in SBM from Brazil (p<0.10). From a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 series of AID and SID prediction equations were generated. The best fit equations for lysine in SBM were: AID lysine = 1.16 sucrose-1.81 raffinose+82.10 ($R^2=0.69$, p<0.01) and SID lysine = 1.14 sucrose-1.93 raffinose-0.99 ether extract (EE)+85.26 ($R^2=0.77$, p<0.01). Conclusion: It was concluded that under the conditions of this experiment, the oligosaccharides (such as sucrose and raffinose) can be used to predict the AID and SID of AA in SBM with reasonable accuracy.

Keratinase 생산균 Bacillus subtilis SMMJ-2의 변이주 분리와 효소학적 특성 비교 (Isolation of Mutant Strains from Keratinase Producing Bacillus subtilis SMMJ-2 and Comparision of Their Enzymatic Properties)

  • 고희선;김현수
    • KSBB Journal
    • /
    • 제25권5호
    • /
    • pp.429-436
    • /
    • 2010
  • 본 연구는 선행연구에서 얻은 keratinase 효소의 활성이 높은 균주 Bacillus subtilis SMMJ-2를 UV 조사에 의해 개량하여 mutant No. 2를 얻었으며, keratinase의 생산성 향상을 위한 최적 탄소원, 최적 질소원의 조건 하에서 본 효소를 대량생산하여 정제하고, 야생주와 변이주 간의 효소활성의 변화 및 정제된 효소 간의 효소화학적인 성질을 비교하였다. Mutant No. 2의 keratinase 생산을 위한 최적 탄소원과 질소원은 각각 glucose와 soybean meal로 나타나, 야생주의 경우와는 최적 질소원을 달리했으며, 효소활성에 있어서는 야생주보다 40% 정도 상승하였다. 변이주의 효소가 야생주의 효소보다 높은 배양온도에 대하여 더 안정적인 활성으로 생산되며, 효소 생산을 위한 최적 pH는 7.0으로, 비교적 효소생산이 가능한 pH 영역대은 6~9로 나타났다. Bacillus subtilis SMMJ-2와 mutant No. 2에서 생산된 keratinase는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법와 겔여과 크로마토그래피법으로 최종 정제되었다. 정제과정 중 DEAE-sephacel 크로마토그래피 상에서 나타나는 2개의 효소피크는 Bacillus subtilis SMMJ-2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와 mutant No. 2에서의 메인 효소피크의 위치가 전환되어 나타났다. SDS-PAGE 상에서의 각각의 효소 분자량은 B. subtilis SMMJ-2의 경우에 28 kDa, mutant No. 2의 경우에 42 kDa 로 추산되었다

산화/환원 소성분위기에서 석회석 및 시멘트 원료물질의 소성거동 특성 (Calcination Properties of Cement Raw Meal and Limestone with Oxidation/Reduction Condition)

  • 문기연;최문관;조진상;조계홍
    • 자원리싸이클링
    • /
    • 제29권5호
    • /
    • pp.64-72
    • /
    • 2020
  • 시멘트 산업의 질소산화물 배출량 감축을 위해 소성로에 다단연소공정을 적용할 경우, 질소산화물을 질소로 환원시키고 미연소 물질을 완전히 연소시켜 연소효율을 증대할 수 있는 산화/환원 구간이 필수적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시멘트 소성로 calciner에 산화/환원 구간 설정 시 최종 생산품인 시멘트 클링커의 품질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최적 산화/환원 소성분위기를 거시적으로 관찰하고자 하였으며, 소성조건에 따른 원료물질의 질량변화, 탈탄산률, 소성완료율 등을 조사하였다. 실험결과, 대체로 환원분위기보다 산화분위기에서 원료물질의 열분해가 촉진되는 경향을 나타내며, 원료물질 자체 성분특성에 따라 비교적 CaO 함량이 높은 석회석의 열분해가 시멘트 조합원료보다 늦게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소성로 내 CO2 분압에 의한 현상으로 생각된다. 산화/환원 소성분위기에 따른 원료물질의 열분해 특성은 일반적인 석회석 열분해 온도보다 낮은 온도범위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는데, 소성온도 750℃ 구간에 산화분위기 형성에 따라 원료물질의 열효율 향상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다만, 본 연구의 경우 실험실 규모의 연구로서 현장공정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pilot plant 규모의 실검증결과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 자원으로 제조한 발효 유기질비료가 배추의 생육 및 질소이용효율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Growth and Nitrogen Use Efficiency to Chinese Cabbage under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Treatment with Domestic Resource)

  • 김유진;김소희;이상민;이초롱
    • 유기물자원화
    • /
    • 제31권3호
    • /
    • pp.83-91
    • /
    • 2023
  • 본 연구는 수입산 아주까리박을 주원료로 하는 혼합유기질비료(혼합유박)을 대체하기 위해 국내 유기자원을 원료로 제조한 발효비료의 처리효과를 확인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발효비료는 주정박(30%), 깻묵(30%), 미강(20%), 어분(20%)을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이때 발효조건을 달리하여 기존 발효방식(비가림 하우스에 21일간 발효)으로 제조한 발효비료A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A. OFA)와 발효기간을 단축(40℃에서 5일간 발효)시켜 제조한 발효비료B (Fermented Organic fertilizer B, OFB) 2종을 제조하였다. 본 실험의 처리구는 무처리(Control, NF), 혼합유박(Mixed organic fertilizer, MOF), 발효비료 처리구(OFA, OFB)로 설정하였으며, 노지 배추 표준시비량의 질소 기준(320 kg/ha)으로 자재를 처리하였다. 재배시험 결과 OFA, OFB와 MOF간의 배추의 생육과 수량이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배추의 질소이용효율은 발효비료 처리구(OFB : 81.4%, OFA : 79.1%)가 MOF (65.3%)보다 증가하였고, 발효비료를 처리한 토양의 Urease 활성도가 240~241 ㎍/g/dm/2h로 MOF (203 ㎍/g/dm/2h)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적으로, 국내 유기자원으로 제조한 발효비료 2종은 혼합유박과 유사한 생육과 수량을 보였으며, 발효과정으로 작물의 양분흡수가 용이해져 질소이용효율을 개선시키는데 도움을 준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제조한 발효비료가 양분공급자재로 혼합유박을 대체 하는데 효과적일 것으로 보인다. 특히, 발효기간을 기존대비 16일 단축시켜 제조한 OFB도 기존 발효비료(OFA)와 효과가 유사하여 현장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판단된다.

Effects of Varying Dietary Zinc Levels and Environmental Temperatures on the Growth Performance, Feathering Score and Feather Mineral Concentrations of Broiler Chicks

  • Lai, P.W.;Liang, Juan-Boo;Hsia, L.C.;Loh, T.C.;Ho, Y.W.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7호
    • /
    • pp.937-945
    • /
    • 2010
  •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zinc (Zn), environmental temperatures and Zn${\times}$temperature interaction on growth, feathering score and mineral composition of broilers. A total of 256 d-old Avian male broiler chicks were randomly allocated to a $4{\times}2$ factorial arrangement with four corn-soybean meal basal diets (containing 44 mg Zn/kg) supplemented with 0, 40, 60 mg/kg Zn (Diets 1, 2 and 3, respectively; 0.8% Ca for these three diets) and non-Zn supplementation, 1.6% Ca (Diet 4) and two temperature conditions (low: 26, 24, $22^{\circ}C$ vs. high: 30, 28, $26^{\circ}C$). All birds were given feathering coverage scores for back, breast, wing, under-wing and tail. The wing and tail were further evaluated for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defect feathers. Feathers were then pooled for mineral composit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broilers fed Zn-unsupplemented, 0.8% Ca ration (Diet 1) had significantly (p<0.05) lower ADFI and ADG (wk 1-6) than birds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However, when the birds were fed 40 and 60 mg/kg Zn supplementation (Diets 2 and 3), the ADFI and ADG in both temperature condition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the ADFI, ADG (p<0.05), all feather coverage (p<0.01) and tail defect scores (p<0.001) of birds fed Diet 4 (excess Ca) were significantly poorer than those fed Diet 1. More Ca (p<0.05) was retained in the feathers of broilers fed Diet 4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Broilers fed the Zn-unsupplemented ration (Diet 1) had significantly higher feather phosphorus (p<0.01) and potassium (p<0.05) concentrations than those fed the 60 mg/kg Zn-supplemented ration (Diet 3). A reduction of feather phosphorus (p<0.01) and potassium (p<0.05) and higher manganese (p<0.05) concentrations were observed in Diet 4 broilers as compared to those fed Diet 1. Under high temperature conditions, broilers had lower iron (p<0.05) and higher manganese (p<0.05) concentrations in feathers. Broilers kept in high temperature conditions had a higher Zn requirement and 40 mg/kg Zn supplementation was sufficient for the birds to achieve optimum growth. Supplemental Zn ameliorated the adverse effect of high temperature on growth and occurrence of tail feather defects. Excess Ca disrupted Zn metabolism to exert a detrimental effect on growth performance and normal feathering and this was elucidated in the birds kept in low temperature conditions.

산 가수분해시 가열방법과 시간 및 추출조건에 따른 대두가공 부산물의 이소플라본 함량 변화 (Analysis of Isoflavone Contents of Soybean By-products with Acid Hydrolysis Method)

  • 한진숙;홍희도;김성란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5권10호
    • /
    • pp.1420-1426
    • /
    • 2006
  • 여러 유도체 형태로 존재하는 대두 isoflavone을 산 가수 분해 방법 및 시간을 달리하면서 isoflavone 배당체의 aglycone으로의 전환율 및 aglycone의 분해여부를 실험하였다. 산 가수분해시 가열처리 조건을 $105^{\circ}C$ 항온기, $95^{\circ}C$ 수욕조, $120^{\circ}C$ heating block 및 hot plate로 달리한 결과 환류냉각장치를 이용하고 heating block에서 가수분해시키는 방법이 가장 적절한 가수분해 방법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수분해 시간 동안 aglycone의 안정성을 검토한 결과 적정 가수분해 시간인 60분 동안에는 genistein, daidzein 및 glycitein 모두 큰 함량변화가 없었다. 가수분해하는 시료의 양과 산의 비율은 시료 $10\sim30mg$당 1 N HCl 용액 1 mL의 비율이 적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정량법은 0.5 g의 대두 시료에 1 N HCl용액 15 mL를 첨가하고 $120^{\circ}C$의 heating block에서 60분간 가수분해시킨 후 methanol로 50 mL로 정용하고 HPLC로 분석하도록 확립하였다. 이에 따라 대두 가공부산물의 iosflavone을 분석한 결과 착유 및 착유 후 hexane 제거를 위한 열처리 공정에서 isoflavone의 손실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