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검색결과 250건 처리시간 0.02초

Low-Complexity Maximum-Likelihood Decoder for V-BLAST Architecture

  • Le, Minh-Tuan;Pham, Van-Su;Mai, Linh;Yoon, Gi-Wan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5년도 춘계종합학술대회
    • /
    • pp.126-130
    • /
    • 2005
  • In this paper, a low-complexity maximum-likelihood (ML) decoder based on QR decomposition, called real-valued LCMLDec decoder or RVLCMLDec for short, is proposed for the Vertical Bell Labs Layered Space-Time (V-BLAST) architecture, a promising candidate for providing high data rates in future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1]. Computer simulations, in comparison with other detection techniques, show that the proposed decoder is capable of providingthe V-BLAST schemes with ML performance at low detection complexity.

  • PDF

Simplified Maximum-Likelihood Decoder for V-BLAST Architecture

  • Le Minh-Tuan;Pham Van-Su;Mai Linh;Yoon Gi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3권2호
    • /
    • pp.76-79
    • /
    • 2005
  • In this paper, a low-complexity maximum-likelihood (ML) decoder based on QR decomposition, called real-valued LCMLDec decoder or RVLCMLDec for short, is proposed for the Vertical Bell Labs Layered Space-Time (V-BLAST) architecture, a promising candidate for providing high data rates in future fixe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1]. Computer simulations, in comparison with other detection techniques, show that the proposed decoder is capable of providing the V­BLAST schemes with ML performance at low detection complexity

일반화 공간변조를 위한 저복잡도 강인 최대 우도 신호 검파 (Low-Complexity Robust ML Signal Detection for 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

  • 김정한;윤태선;오세훈;이경천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21권3호
    • /
    • pp.516-522
    • /
    • 2017
  • 본 논문에서는 다중 안테나 구조 중 일부 송신 안테나만 활성화하고 활성 안테나의 인덱스를 통해 정보를 전송하는 일반화 공간변조(Generalized Spatial Modulation)시스템을 위한 최대우도 신호 검파 방법을 제안한다. 제안 최대 우도 수신기는 기존의 채널 정보 오차에 강인한 최대 우도 수신기와 비교하여 공분산 행렬을 추정할 때 후보 해 집합을 확률적으로 추출하여 공분산 행렬을 추정함으로써 시스템 복잡도를 크게 줄이도록 한다. 모의 실험을 통해 제안 최대 우도 수신기가 기존의 채널 정보 오차를 고려하지 않는 수신기보다 높은 수신 성능을 가지며, 기존 강인 최대우도 수신기와 비교하여 동일한 비트 오류율 성능을 가지면서도 큰 폭으로 계산 복잡도를 낮춤을 확인하였다.

적응형 문턱값을 가지는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을 이용한 통계적 모델 기반의 음성 검출기 (Statistical Model-Based Voice Activity Detection Using the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Criterion with Adapted Threshold)

  • 김상균;장준혁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76-8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음성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voice activity detection, VAD)의 성능 향상을 위해 2차 조건 사후 최대 확률 (second-order conditional maximum a posteriori, second-order CMAP)기법을 적용한 우도비 테스트 (likelihood ratio test, LRT)를 제안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와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를 분석한 다음, 직전 2 프레임에서 음성의 존재와 부재에 대한 조건부 확률에 따라 실시간으로 적응형 문턱값을 구하여 기하 평균한 우도비와 비교하는 음성검출 결정법 (decision rule)을 제시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비정상 (non-stationary) 잡음환경에서 기존의 통계적 모델에 기반한 음성 검출기, CMAP 기반의 음성 검출기와 비교하였으며, 향상된 성능을 보였다.

클러터 환경에서의 GLRT 기반 표적 탐지성능 (Target Detection Performance in a Clutter Environment Based on the 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est)

  • 서진배;전주환;정지현;김진욱
    •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 /
    • 제30권5호
    • /
    • pp.365-372
    • /
    • 2019
  • 본 논문에서는 일반화우도비검정(generalized likelihood ratio test: GLRT)에 있는 모르는 파라미터(표적의 크기, 클러터의 파라미터)를 최대우도추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 MLE) 방법 또는 Newton-Raphson method를 통해 추정하는 방법에 대해서 제안하였다. 클러터 환경에서 표적을 탐지할 경우, 실제 환경과 유사하게 클러터의 수식적인 모델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서로 상관된 클러터 모델은 SIRV(Spherically Invariant Random Vector)를 이용하여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클러터 모델에 대한 일반화우도비검정 식을 세우고, 추정된 파라미터에 대한 일반화우도비검정의 탐지확률을 모의실험을 통해 확인하였다.

수중 프로펠러 추진체에 의한 진폭변조 신호의 주파수 탐지에 의한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 Using Detection of Amplitude Modulation Frequency due to Propulsion of Underwater Vehicle)

  • 강성현;김의준;윤원식
    • 한국음향학회지
    • /
    • 제19권8호
    • /
    • pp.47-53
    • /
    • 2000
  • 수중에서 프로펠러에 의해 추진되는 추진체를 식별하기 위해 프로펠러의 추진력에 의하여 수중에 발생되는 cavitation의 비선형 음향학적 현상으로부터 발생되는 프로펠러의 shaft-rates와 blade-rates를 탐지하여 표적을 식별하기 위한 Maximum Likelihood Classifier를 유도하고, 시뮬레이션과 실험을 통한 검증을 수행하였고, 실제 해양에서 수집한 데이터에 대해 적용 가능함을 입증하였다.

  • PDF

MIMO 시스템에서 최적 검출 기법을 위한 궤환 Semi-Definite Relaxation 검출기 (Feedback Semi-Definite Relaxation for near-Maximum Likelihood Detection in MIMO Systems)

  • 박수빈;이동진;변윤식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12C호
    • /
    • pp.1082-1087
    • /
    • 2008
  • MIMO 시스템에서 ML 검출 기법은 많은 다른 검출기들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인다. 그러나 ML 검출기법은 NP-hard 문제로 인해 실제 시스템에서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것은 polynomial-time 안에 최적의 해 (optimal solution)를 찾을 수 없음을 의미한다. 본 논문에서는 ML problem을 적용한 SDR (Semi-Definite Relaxation)에 궤환기법을 통한 검출 알고리즘을 제안한다. 이는 SDR에 의해 구한 최적의 해를 spectral decomposition을 이용해 우세한 eigenvector를 찾아 송신 신호의 확률 분포를 구하고, 이를 수신 신호에 궤환 시킨다. 이는 또 다른 ML problem으로써 다시 SDR를 통해 최적의 해를 구하고 우세한 eigenvector에 해당하는 송신 신호 확률을 구한다. 이 확률은 ML problem에 해당하는 최적의 값으로 추정 송신 신호를 검출할 수 있다. 이러한 기법을 통해 최적 성능을 갖는 ML 검출 기법의 성능에 보다 더 가깝게 접근하였다.

순방향 다중 안테나 MC-CDMA 시스템에서 Maximum Likelihood 합동 검파 성능 분석 (Performance Analysis of Maximum Likelihood Joint Detection for MIMO MC-CDMA Systems)

  • 김영주;송형준;홍대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TC
    • /
    • 제45권11호
    • /
    • pp.1-8
    • /
    • 2008
  • 본 논문은 순방향 다중 안테나 다중 반송파-부호 분할 다중 접속 (MC-CDMA: multicarrier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시스템에서 maximum likelihood (ML)를 기준으로 한 합동 검파 방식의 심벌 오류 확률을 분석한다. 심벌 오류 확률의 분석은 상향 바운드 (bound)의 형태로 주어지며, 주어진 바운드는 레일리 페이딩 채널 환경에서 다중 안테나 MC-CDMA 시스템의 심벌 오류 확률에 근사한 값을 나타낸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주어진 시스템에서 획득 가능한 다이버시티의 차수를 유도한다. 이 다이버시티의 차수는 시스템의 성능에 확산 계수, 코드의 수, 그리고 송수신 안테나의 수가 미치는 영향을 보여준다. 다이버시티 차수의 분석으로부터, loading되는 코드의 수가 확산 계수보다 작은 경우에, 주어진 시스템이 수신 안테나 다이버시티 외에 추가적인 다이버시티를 얻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오류 확률과 다이버시티의 분석은 모의실험과 비교하여 검증하였다.

Low-Complexity Maximum-Likelihood Decoder for VBLAST-STBC Scheme Using Non-square OSTBC Code Rate 3/4

  • Pham Van-Su;Le Minh-Tuan;Mai Linh;Yoon Gi-Wan
    • Journal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convergence engineering
    • /
    • 제4권2호
    • /
    • pp.75-78
    • /
    • 2006
  • This work presents a low complexity maximum-likelihood decoder for signal detection in VBLAST-STBC system, which employs non-square O-STBC code rate 3/4. Stacking received symbols from different symbol duration and applying QR decomposition result in the special format of upper triangular matrix R so that the proposed decoder is able to provide not only ML-like BER performance but also very low computational load. The low computational load and ML-like BER performance properties of the proposed decoder are verified by computer simulations.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을 위한 Soft Output 성능향상 기법 (A Soft Output Enhancement Technique for Spatially Multiplexed MIMO Systems)

  • 김진민;임태호;김재권;이주현;조용수
    • 한국통신학회논문지
    • /
    • 제33권9C호
    • /
    • pp.734-742
    • /
    • 2008
  • 무선통신 채널에서 높은 전송 속도를 가능하게 하는 공간다중화 MIMO 시스템에서 다중화된 신호를 검출하는 것은 어려운 작업이며, 최근 다양한 신호검출 기법들이 개발되었다. 다양한 신호검출기법 중 maximum likelihood detection with QR decomposition and M-algorithm (QRM-MLD), sphere decoding (SD), QOC, MOC와 같은 기법들은 maximum liklihood (ha)기법과 유사한 경판정 달성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이러한 기법들은 soft output의 신뢰도가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 신호검출기법들의 soft output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기법을 제안한다. 모의실험을 통하여 기존의 기법들과 결합시 제안된 방법에 의해 개선된 성능을 얻을 수 있음을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