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owiczii$

Search Result 149,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속리산국립공원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 (The Actual Vegetation in Mt. Sokri)

  • 김준선;김갑태;추갑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4권1호
    • /
    • pp.1-15
    • /
    • 1990
  • 속리산국립공원의 일부인 속리산지역의 현존식생을 파악하기 위하여 종조성 및 식생상관에 의하여 삼림군집을 분류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현존식생도를 작성하였다. 속리산의 식생은 소나무림, 낙엽활엽수림, 조림지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확인된 삼림군집은 다음과 같다. 1. 소나무군집 1) 소나무-진달래 하위군집 2) 소나무-철쭉 하위군집 3) 소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4) 소나무-조릿대 하위군집 2. 소나무-졸참나무군집 3. 소나무-굴참나무군집 4. 졸참나무군집 5. 졸참나무-굴참나무군집 6. 서어나무군집 7. 신갈나무군집 1) 전형하위군집 2) 신갈나무-조록싸리 하위군집 3) 신갈나무-철쭉 하위군집 8. 물푸레나무군집 9. 노린재나무군집 10. 굴참나무군집

  • PDF

문수조릿대 개체군의 식생 (Vegetation of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 장형태;이지혜;박종민;김남춘;박원제;송호경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15-25
    • /
    • 2012
  • Arundinaria munsuensis population were classified into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n the habitat of Jiri Mt. In the study sites, soil organic matter, total nitrogen, available phosphorous, exchangeable K, exchangeable Ca, exchangeable Mg contained,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soil pH were ranged from 14.52~16.13%, 0.57~0.59%, 5.57~10.24 (mg/kg), 0.44~0.49 ($cmol^+/kg$), 0.62~0.92 ($cmol^+/kg$), 0.31~0.32 ($cmol^+/kg$), 28.26~32.44 ($cmol^+/kg$) and 4.33~4.48 respectively. DCCA ordination analysis showed that Lespedeza maximowiczii dominant population dwells where pH, exchangeable Ca and exchangeable Mg content are high and Spiraea prunifolia for. simpliciflora dominant population is placed where CEC, total nitrogen and organic matter content are high.

유방암 세포주를 이용한 국내 자생 콩과식물의 에스트로겐 활성검색 (Estrogenic Activity of Leguminosae Species in Korea using MCF-7 Cells)

  • 배지영;김혜진;박우성;안미정
    • 생약학회지
    • /
    • 제52권2호
    • /
    • pp.118-125
    • /
    • 2021
  • Leguminosae plants are known for its phytoestrogen constituents which play a major role in the prevention of osteoporosis, cancer and heart disease. In this study, the estrogenic activity of 158 samples from 58 species, 3 subspecies and 10 varieties of Leguminosae plants growing in Korea was evaluated. An estrogen, 17β-estradiol was used as a reference compound, and the potency of each sample was expressed in relative efficacy (%) compared to that of the reference by a reporter gene assay using MCF-7 cells. As results, the estrogenic activity of methanolic extracts of Phaseolus vulgaris var. humilis, Sophora flavescens, Lespedeza × robusta, Indigofera pseudotinctoria, Maackia amurensis, Glycine soja, Wisteria floribunda, Robinia pseudoacacia, Astragalus sinicus, Pueraria lobata,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Trifolium repens and Crotalaria sessiliflora showed similar to or higher at 100 ㎍/ml than the positive control at 10 nM. These findings can be a potential evidence for developing estrogen alternatives resolving various types of menopause symptoms with information on proper harvest season and usage plant part. To the best of our knowledge, the estrogenic activity of Lespedeza × robusta, Indigofera pseudotinctoria, Wisteria floribunda, Robinia pseudoacacia and Lespedeza maximowiczii var. tomentella is reported for the first time in this study.

북한산 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 식생변화 (Trail Damage and Vegetational Change of Trail Side in Bukhan Mountain National Park)

  • 오구균;권태호;전용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5-45
    • /
    • 1987
  •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훼손 및 등산로주변식생변화를 조사하기 위하여 북한산지구를 대상으로 1987년 8월에 실측조사를 실시하였다. 등산로훼손은 이용강도가 높은 우이동계곡과 정능계곡간 등산로 7.18km 구간을 조사했다. 식생 변화는 등산로 경계부에서 임내로 벨트-트란 섹트를 설치하여 매목조사를 하였고, 주변부식생은 등산로경계부를 따라 벨트를 설치해서 출현종을 조사하였다. 등산로 훼손량과 이용강도는 직접적 상관관계가 없었다. 훼손등급 II등급구간은 23.9%, III등급구간은 8.0%로 나타났으며, 자연등산로 II, III등급구간(19.7%)이 시설등산로 II, III등급구간(12.3%)보다 많게 나타났다. 북한산지역 주요등산로 15.3km중 보수정비가 필요한 등산로 II등급구간은 3.6km, III등급구간은 1.27km로 추정되었다. 등산객의 직접적 간섭이 없었던 등산로 주변 식생변화는 6-8m 구간까지 나타났으며, 등산로의 간섭이 있었던 등산로주변식생변화는 토양경도변화와 일치하지 않고 않았고 국지적으로 다르게 나타났다. 능선부 등산로 주연부식생으로서 Remkiaer 빈도계급 E계급수종은 신갈나무, 참싸리, 진달래, D계급수종은 병꽃나무, 조록싸리, 철쭉, 팥배나무이었으며, 중복등산로에서는 신갈나무가 E계급으로, 진달래, 참싸기,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다. 계곡부에서는 진달래,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출현했으며 자동차도로 옆 계곡부에서는 참싸리, 조록싸리, 국수나무가 D계급수종으로 나타났다.

  • PDF

께묵뿌리의 화학성분과 건조방법에 따른 변화 (Chemical Components of Hololeion maximowiczii Root and Change by Drying Methods)

  • 최동연;김영희;박훈;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5권5호
    • /
    • pp.421-425
    • /
    • 1993
  • 께묵뿌리를 사용하여 건조처리별로 일반성분 당, 지방산, 아미노산 및 무기성분의 함량변화를 측정 비교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일반성분의 함량은 건조방법에 따라서 별다른 변화가 없었다. 2. 유리당함량은 sucrose가 $27.7{\sim}29.3mg/g$로 가장 많았고 fructose는 $0.8{\sim}3.04mg$으로 적게 함유되었으며 glucose와 xylose은 흔적정도로 나타났다. 건조처리별로는 sucrose는 별다른 변화가 없었고 fructose는 증숙건조에서 감소되었다. 3. 지방산조성을 보면 9종이 동정되었으며 그중 linoleic acid가 $54.9{\sim}58.3%$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 palmitic, linolenic acid의 순이었으며 이들 3종류의 지방산함량이 총지방산의 $88{\sim}90%$를 차지하였다. 건조처리별로는 냉동건조구보다 열풍 및 증숙건조구에서 저비점지방산들이 약간 감소되었다. 4. 총아미노산의 조성을 보면 arginine이 $33.6{\sim}41.5mg/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었고 그 다음 Lys>Glu>Gly>Asp>Val>His의 순이었고 유리아미노산조성은 Arg>His>Lys>Asp>Ser>Glu>Ile의 순으로 함유되었다. 건조처리별로는 총아미노산중 glycine과 glutamic이 증숙건조에서 약간 감소할 뿐 전체적으로 큰 변화는 없었다. 5. 무기성분에서는 Ca 함량이 $1927{\sim}2379ppm$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 K $1159{\sim}1259ppm\;Mg\;760{\sim}777ppm$의 순으로 함유되었고 건조처리별로는 별다른 함량변화가 없었다.

  • PDF

건조방법에 따른 께묵뿌리 추출물의 수소공여능 조사 (Changes in Hydrogen Donating Activities of the Extract from Hololeion maximowiczii Root by Drying Methods)

  • 최동연;도재호;이광승;양차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2호
    • /
    • pp.147-151
    • /
    • 1994
  • 께묵(Hololeion maximowicizii)뿌리를 냉동건조, 열풍건조 및 증숙후 열풍건조의 3가지 방법으로 건조한 후 용매추출하여 DPPH 방법에 의한 수소공여능이 변화를 조사하였다. 증숙한 후 열풍건조구가 가장 큰 수소공여능을 나타냈으며, 여러가지 용매 추출물중에서 물추출물의 색도가 가장 높았으나 수소공여능은 50% ethanol 추출물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냉동건조한 께묵뿌리를 $100^{\circ}C$에서 120분까지 열처리 한 위에 흡광도를 조사한 결과는 가열 20분까지는 감소하다가 증가하였으나 수소공여능은 계속 증가하였다. 50% ethanol 추출물(6.05mg/ml)은 $2{\times}10^{-4}M$${\alpha}-tocopherol$과 비슷한 수소공여능을 보였으며, 투석외액과 내액의 수공여능을 비교한 결과 외액이 내액보다 강하였다.

  • PDF

포플러 연구현황과 전망 (The Status and Prospect of Poplar Research in Korea)

  • 구영본;여진기
    • 임산에너지
    • /
    • 제22권2호
    • /
    • pp.1-17
    • /
    • 2003
  • 포플러는 생장이 빠르고 세대가 짧아 임목육종의 모델 수종으로 이용되어 왔을 뿐만 아니라 다른 어떤 수종보다 임목 육종성과가 많은 수종이다. 국내에서 개발된 신품종 포플러는 도입종으로 이태리포플러(p. eurmericana“I-214”,“I-476”), 이태리포플러 1, 2호(p. euramericana“Eco 28”, p. deltoides “Lux”), 교잡종으로 현사시 1, 2, 3, 4호(P. alba x p. glandulosa No. 1. 2. 3, 4), 양황철나무(P. nigra x P. maximowiczii), 수원포플러(P. koreana x P nigra var. italica) 등이 있으며, 신발육종으로 사시나무가 있다. 신품종으로 개발된 포플러류의 조림 실적은 지금까지 935,162 ha로 그 중 이태리포플러가 745,773ha, 현사시가 184,636 기타 신품종이 4,753ha가 조림되어 국토 녹화뿐만 아니라 농촌 경제에도 기여한 바 크다. 포플러와 관련되어 개발된 기술은 신품종 포플러의 적지판정, 교배가 불가능한 원연종간 교배, 무성증식법 등 수많은 기술을 개발 한 바 있다. 앞으로도 포플러는 용재수 및 가로수, 공원수 등 녹음수로서 뿐만 아니라 쓰레기 매립지 침출수, 축산폐수 등 각종 환경 오염물질 정화수로도 전망이 대단히 밝은 수종이다.

  • PDF

식재 당년생 신품종 포플러류의 Biomass 생산량 및 생산량 추정 (Biomass Production of One-year-old Hybrid Poplars and Its Estimation)

  • 구영본;심상영;노의래
    • 임산에너지
    • /
    • 제7권1호
    • /
    • pp.22-27
    • /
    • 1987
  • 신품종 포플러류의 식재(10,000본/ha) 당년생일 때 직경, 수고, 재적$(D^2H)$등 몇가지 조사특성에 의한 biomass 생산량과 생산량 추정식을 유도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현사시의 평균 건물 생산량은 줄기 2.86, 가지 0.41, 잎 0.70, 전체가 3.97t/ha이었으며 건중량 대 생중량의 비는 줄기 0.47, 가지 0.36, 잎 0.31, 전체가 0.41로 나타났다. 양황철나무의 경우 평균 건물생산량은 줄기 1.48, 가지 0.54, 잎 0.71, 전체가 2.73t/ha이었으며 건중량 대 생중량의 비는 줄기 0.42, 가지 0.37, 잎 0.28, 전체가 0.36이었다. 2. Biomass 생산량(건중량 및 생산량) 추정은 현사시의 경우 직경만으로 비교적 정확히 추정할 수 있었지만 양황철나무의 경우 직경 식재 당년생에서는 어느 특성으로도 추정이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3. Biomass 생산량(건중량) 분포비율은 현사시의 경우 줄기, 가지, 잎이 각각 73, 10, 17$\%$로 나타났으며 양황철나무는 줄기, 가지, 잎이 각각 54, 20, 26$\%$로 나타나 줄기 건중량에 의한 가지, 잎, 전체 건중량을 추정할 수 있었다.

  • PDF

경주국립공원 특별보호구역의 식생 특성 분석 - 애기송이풀, 애기등, 복주머니란 개체군을 대상으로 - (Analysis o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in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 Millettia japonica (Siebold & Zucc.) A.Gray and Cypripedium macranthos Sw. Populations -)

  • 유주한;권순영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45-62
    • /
    • 2020
  •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basic data for the conservation and management of natural resources of National Park by understanding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pecial protected areas located in Toh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South Korea. The numbers of vascular plants were summarized as 106 taxa including 47 families, 79 genera, 96 species, 1 subspecies, 7 varieties and 2 forms. For status by sites, there were 59, 50 and 55 taxa in A area(Pedicularis ishidoyana), B area(Millettia japonica) and C area(Cypripedium macranthos), respectively. In the dominant species, the tree layer was Quercus serrata(A area), Platycarya strobilacea and Pinus koraiensi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subtree layer was Carpinus cordata and Quercus serrata(A area), Pinus koraiensis and Castanea crenata(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C area), the 1st shrub layer was Toxicodendron trichocarpum and Rhododendron schlippenbachii(A area), Lindera erythrocarpa and Styrax japonicus(B area) and Fraxinus rhynchophyll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2nd shrub layer was Styrax obassis and Lespedeza maximowiczii(A area), Lespedeza maximowiczii and Rhododendron mucronulatum(B area) and Lindera erythrocarpa(C area), the herbaceous layer was Athyrium yokoscense, Dryopteris chinensis, Dryopteris lacera and Lindera obtusiloba(A area), Athyrium yokoscense, Millettia japonica, Carex humilis Leyss. var. nana and Carex ciliato-marginata(B area) and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 subsp. serrata, Ajuga spectabilis and Oplismenus undulatifolius(C area).

낙동정맥 삼척시 용소골 계곡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Yongso Valley in the Nakdong-jeongmaek, Samcheok-si)

  • 조현서;이수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582-590
    • /
    • 2010
  • 백두대간에 대한 관심은 현황조사 및 분석, 관리 및 복원 방안 등 다양한 연구결과를 도출한 반면, 지맥인 정맥에 대한 관심은 증가하고 있으나 현황연구는 없는 상태이다. 본 연구는 향후 관리 및 복원방안을 제안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낙동정맥 중 용소골의 식생구조를 밝히고자 $10m{\times}10m(100m^2)$ 조사구 30개소를 설치하여 조사하였다. 상대우점치 및 평균상대우점치에 의한 군집분류 결과 소나무군집, 박달나무군집, 황철나무군집, 신갈나무군집, 굴참나무군집의 5개 유형이 용소골 계곡을 대표하는 군집이었다. 소나무군집은 능선부에 주로 분포하며 꼬리진달래가 출현하는 것이 특징이었고 박달나무군집은 참나무류와 경쟁을 피할 수 있는 능선부 급경사지와 완만한 전석지에 분포하였다. 단위면적당($400m^2$) 종다양도는 0.7914~0.9442이었으며 수령은 30~115년으로 층위구조가 형성된 보호가치가 있는 숲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