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ximal depth

검색결과 51건 처리시간 0.024초

정식시 아장, 질소의 시용량과 시용시기, 재식거리 및 피복정도가 감자추작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Sprout Length, Amounts and Times of Nitrogen Application, Transplanting Rate and Depth of Wheat Straw Mulch on the Fall Crop Production of Potato)

  • 최중현;조재영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0-25
    • /
    • 1977
  • 감자추작의 알맞는 재배법을 구명하기 위하여 1976년 천안에서 시마바라(도원)품종을 대상으로하여, 7월13일 4절종서를 GA$_2$ppm과 Ethrel 250ppm의 혼합액에 60분간 처리하여 노지의 최아상에 파종하고, 7월 24일 몇가지 재배처리를 하여 정식한 성적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정식당시의 아장(아경)을 4cm(3.5mm), 7cm (4.5mm) 및 10cm(6.0mm)로 구분한즉 싹이 크고 굵은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 되었다. 2. 질소시용량을 10a당 요소 10, 20 및 30kg으로 구분한즉 질소시용량이 많을수록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3. 질소를 정식기(7월24일)에 전량기비로 주는 것 보다 정식기와 8월15일 또는 8월15일과 9월5일로 분시하는 것이 발아 생육 수량 및 품질이 모두 증대향상되었다. 4. 재식거리 60$\times$20cm 또는 70$\times$17cm이상의 밀식은 도장을 유발하여 수량 품질이 저하되었다. 5. 정식후에 밀짚을 4, 8, 12cm로 피복한즉 피복이 두꺼울수록 성하기의 최고지온을 낮추고 추냉기의 최저지온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

  • PDF

파형 웨브주름 보의 휨성능에 관한 실험적 연구 (Experimental Study on Flexural Structural Performance of Sinusoidal Corrugated Girder)

  • 김종성;채일수
    • 한국강구조학회 논문집
    • /
    • 제27권6호
    • /
    • pp.503-511
    • /
    • 2015
  • 강구조물에서 장스팬의 경우, 일반적으로 스티프너로 보강된 플레이트거더를 많이 사용하는데, 보(girder)의 춤이 크고 웨브의 폭이 좁은 단면을 선택하는 경우는, 웨브가 세장해져서 면외좌굴이 문제가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 연구에서는 국내에서도 공장, 창고건물을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춤이 큰 주름 웨브 보를 휨재로 사용했을 때, 그 적용가능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그 선행작업으로, 주름 웨브(파형, Sinusoidal)를 가진 H형 단면보의 재하실험을 실시하였다. 평판웨브 P-4.5실험체에 비해서 주름웨브 CP-2.3실험체는 최대 휨내력은 12% 부족했지만, CP-3.2 실험체는 약 24% 내력상승이 나타났다. 이는 주름웨브 보는 평판보보다 불리한 판폭두께비를 가진 경우에도 충분한 내력확보가 가능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유로코드(EN 1993-1-5)에 의하여 산정된 휨 내력 및 전단내력을, 재하실험에 의한 휨내력과 KBC2009에 의한 전단내력을 비교하였다. 유로코드에서는 주름웨브의 판두께 증가는 휨성능 향상에 도움이 안 되며, 전단성능은 웨브 판두께와 주름 웨브의 형상에 민감함을 알았다.

20/60대 여성을 중심으로 살펴본 좌우 촌관척 부/침맥 정량화 임상연구 (Clinical Study of the Floating-Sinking Pulse Quantification Analysis on Ages, Left/Right, and Palpation Positions)

  • 김재욱;김성훈;전영주;유현희;이유정;이혜정;김종열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193-1198
    • /
    • 2009
  • Pulse diagnosis is a central diagnosis method used in traditional Oriental medicine. To standardize and modernize the pulse diagnosis method, it is essential to develop an instrument-based reinterpretation of the clinically used pulse images in terms of the physical quantities such as the strength, period, width, length, and depth of the pulse. As a step towards such standardization, we conducted a clinical study on the floating/sinking pulses based on an automated palpation instrument (3D-MAC, Daeyo Medi, Korea) for 213 female subjects in their 20s and 174 female subjects in their 60s. The floating/sinking pulses are the two representative pulse images depending only on the depth of the pulse, and can be conveniently scaled by the coefficient of the floating-sinking pulse ($C_{fs}{\in}(0,1)$), which represents how strong one should apply the hold-down pressure to obtain the maximal pulse strength. As a result, primarily we found that it tends to appear more floating-like pulse ($C_{fs}{\rightarrow}0$) at Gwan and more sinking-like pulse ($C_{fs}{\rightarrow}1$) at Cheek, at both age groups and at both wrists.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a previous study on the geometrical structure of the blood vessel by an ultrasonograph. Second, the pulse tends to be more sinking-like in the age group of 60s than 20s. Finally, the pulses at the right palpation positions were found to be more sinking-like than the left, at both age groups.

Ad libitum Pasture Feeding in Late Pregnancy Does Not Improve the Performance of Twin-bearing Ewes and Their Lambs

  • Corner-Thomas, R.A.;Back, P.J.;Kenyon, P.R.;Hickson, R.E.;Ridler, A.L.;Stafford, K.J.;Morris, S.T.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3호
    • /
    • pp.360-368
    • /
    • 2015
  • The present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controlled ryegrass-white clover herbage availability from day 128 until day 142 of pregnancy in comparison to unrestricted availability, on the performance of twin-bearing ewes of varying body condition score (BCS; 2.0, 2.5, or 3.0) and their lambs. It was hypothesised that under conditions of controlled herbage availability, the performance of lambs born to ewes with a greater BCS would be greater than those born to ewes with a lower BCS. During the period that the nutritional regimens were imposed, the pre- and post-grazing herbage masses of the Control regimen ($1,070{\pm}69$ and $801{\pm}30$ kg dry matter [DM]/ha) were lower than the ad libitum regimen ($1,784{\pm}69$ and $1,333{\pm}33kg\;DM/ha$; p<0.05). The average herbage masses during lactation were $1,410{\pm}31kg\;DM/ha$. Nutritional regimen had no effect on ewe live weight, BCS and back fat depth or on lamb live weight, indices of colostrum uptake, maximal heat production, total litter weight weaned or survival to weaning (p>0.05). The difference in ewe BCSs and back fats observed among body condition groups was maintained throughout pregnancy (p<0.05). At weaning, ewes from the BCS2.0 group had lower BCS and live weight ($2.4{\pm}0.2$, $74.3{\pm}2.6kg$) than both the BCS2.5 ($2.6{\pm}0.2$, $78.6{\pm}2.4kg$) and BCS3.0 ewes ($2.7{\pm}0.2$, $79.0{\pm}2.6kg$; p<0.05), which did not differ (p>0.05). Ewe BCS group had no effect on lamb live weight at birth or weaning or on maximal heat production (p>0.05). Serum gamma glutamyl transferase concentrations of lambs born to BCS3.0 ewes were higher within 36 hours of birth than lambs born to BCS2.0 ewes and BCS2.5 ewes ($51.8{\pm}1.9$ vs $46.5{\pm}1.9$ and $45.6{\pm}1.9IU/mL$, respectively [p<0.05]). There was, however, no effect of ewe body condition on lamb plasma glucose concentration (p>0.05). Lamb survival was the only lamb parameter that showed an interaction between ewe nutritional regimen and ewe BCS whereby survival of lambs born to BCS2.5 and BCS3.0 ewes differed but only within the Control nutritional regimen ewes (p<0.05). These results indicate farmers can provide twin-bearing ewes with pre- and post-grazing ryegrass-white clover herbage covers of approximately 1,100 and 800 kg DM/ha in late pregnancy, provided that herbage covers are 1400 in lactation, without affecting lamb performance to weaning. The present results also indicate that under these grazing conditions,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ewe performance within the BCS range of 2.0 to 3.0 and therefore they do not need to be managed separately.

출력인자 계산에 이용되는 등가면법의 타당성 연구 : 장방형 X-선 조사면에 대해서 안전한가\ulcorner (Application of the Equivalent-Field Method for Output Calculation: Is it safe for elongated x-ray fields\ulcorner)

  • Kim, Chang-Seon;Kim, Chul-Yong;Park, Myung-Sun
    • 한국의학물리학회지:의학물리
    • /
    • 제9권4호
    • /
    • pp.195-200
    • /
    • 1998
  • 연구 목적: 등가면법은 장방형의 X-선 조사면의 출력인자 계산에 널리 이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는 출력인자 계산시 등가면법의 적용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선질, 조사면의 두 변의 길이의 비, 측정점의 깊이 등을 조사하였다. 또한 등가면법의 타당성이 유지되는 영역을 밝히는 어림계산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 사용된 X-선의 선원은 4-, 6-, l0-MV 이었다. 조사면의 폭을 5-40 cm 까지 변화시키고 각 조사면에서 두 변의 비를 1:1 에서 10:1 까지 변화시켰다. 조사면의 장방효과는 물팬톰을 이용하였으며, dmax, 5-cm, 10-cm 깊이에서 시행하였다. 장방형의 조사면과 각 조사면에 대한 등가정사각형면에서의 출력인자를 구하여 이들 두 방법에서의 차이를 나타냈다. 결과 및 토의: 장방형의 조사면과 이에 대응하는 등가면 간의 출력인자의 차이는 일반적으로 장방비가 커질수록 증가하였다. 장방형의 조사면에 대한 출력인자의 측정값은 일반적으로 각 조사면의 등가정사각형면을 이용하여 계산한 값보다 높게 나타나서 크게는 10%의 차이를 나타냈다. 똑같은 두 변의 비에 대하여 장방형의 조사면과 둥가정사각형면에 대한 출력인자의 차이는 조사면의 크기가 작을수록 크게 나타났다. 실험에 사용한 각각에서 선질의 종류와 각각의 선질에서 측정깊이에서 두 값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 본 연구결과에 의하여 등가면법을 출력인자 계산에 사용할 경우 이를 판단할 어림계산법을 구할 수 있다. 한 변의 길이가 25-cm 이하인 조사면에 대하여 만일 장방비 < (0.48) (긴 변의 길이) - 0.5를 만족하는 경우에는 출력인자의 오차를 2% 안에서 등가면법을 이용할 수 있다. 이와는 다른 경우에는 출력인자를 직접 측정하여야 한다. 이러한 기준은 4-10MV X-선원에 대하여 10-cm 깊이의 측정점까지 타당하다.

  • PDF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을 위한 공간 분할 (Spatial Partitioning for Query Result Size Estimation in Spatial Databases)

  • 황환규
    • 전자공학회논문지CI
    • /
    • 제41권2호
    • /
    • pp.23-32
    • /
    • 2004
  • 질의 최적화기의 중요 기능 중에 하나는 질의가 주어졌을 때 질의 조건을 만족하는 입력 레코드의 개수를 추정하는 일이다. 관계 데이터베이스와 마찬가지로 공간 데이터베이스에서 질의 결과 크기 추정은 입력 데이터 공간을 버켓으로 불리는 작은 영역으로 분할한 후 분할된 영역에 대해서 질의 결과 ■기를 추정한다. 추정의 정확도는 작은 영역으로 분할할 때 근사 계산한 데이터와 실제 데이터의 차이에 의해서 결정되며 이것은 공간 분할을 어떻게 분할하는가에 달려 있다. 기존의 방법은 일차원에 많이 사용되는 데이터의 범위를 균일하게 하는 너비 균등 방법과 빈도수의 합을 일정하게 하는 높이 균등 방법을 공간상의 이차원에 적용한 면적 균등 분할과 개수 균등 분할 방법에 기초를 두고 있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방법은 공간을 분할할 때 데이터의 범위와 빈도수의 곱을 면적으로 나타낸 후 면적 값의 차이가 가장 큰 순서로 버켓을 정하는 방법으로 데이터 범위와 빈도수를 동시에 고려하여 최적의 버켓을 결정한다. 본 논문에서는 제안한 방법과 기존의 방법을 실제 데이터와 인위데이터를 사용하여 질의 크기, 버켓수, 데이터 개수, 데이터 크기의 변화에 대해서 질의 결과 추정에 대한 정확도를 비교, 분석하여 제안한 방법의 성능 우수성을 확인한다.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Revision Anterior Cruciate Ligament Surgery Using Hamstring Autograft)

  • 인용;박원종;권오수;서영완;임동선
    • 대한관절경학회지
    • /
    • 제7권2호
    • /
    • pp.183-188
    • /
    • 2003
  • 목적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 시행시 자가 슬괵건을 이식건으로 사용하고 대퇴 및 경골 터널은 이중으로 고정하는 방법으로 시행하여 그 치료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0년 5월부터 2002년 7월까지 슬괵건을 이용한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을 시행 받고 1년이상 추시가 가능하였던 6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6예 모두 남자였으며 평균 연령은 28.3세였다. 1차 재건술 후 재 재건술까지 기간은 평균 28.9개월이었으며 재 재건술 전까지 평균 수술 횟수는 1.7회였다. 슬괵건은 네 겹으로 준비하여 이용하였으며 기존 대퇴 터널이 재 재건술에 영향을 주는 경우 대퇴 터널을 40 mm 깊이로 만들고 횡고정 핀 고정후 흡수성 간섭 나사로 이중 고정하였다. 경골 터널은 Intrafix로 고정하였고 기존 터널의 영향이 있는 경우 screw-washe로 이중 고정하였다. 술후 평가는 Lysholm 점수, IKDC (International Knee Documentation Committee) 평가 기준, KT-2000 관절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결과 : 최종 추시상 Lysholm 점수는 술전 77.2점에서 술후 87.7점으로 호전되었고 IKDC 평가 기준상 술전 B 1예, C 4예, D 1예에서 술후 A 1예, B 4예, C 1예로 5예$(83\%)$에서 B이상의 결과를 보였다. KT-2000 관절계를 이용한 최대 도수 부하 검사상 술전 평균 4.5 mm에서 술후 1.8 mm로 호전되었다. 결론 : 전방 십자 인대 재 재건술시 슬괵건은 좋은 이식물로 사료되며, 수술시 기존 터널의 영향이 있는 경우 이중 고정 방법은 좋은 방법으로 사료된다.

  • PDF

Minimum 2-Year Follow-Up Result of Degenerative Spinal Stenosis Treated with Interspinous U ($Coflex^{TM}$)

  • Park, Seong-Cheol;Yoon, Sang-Hoon;Hong, Yong-Pyo;Kim, Ki-Jeong;Chung, Sang-Ki;Kim, Hyun-Jib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6권4호
    • /
    • pp.292-299
    • /
    • 2009
  • Objective : Clinical and radiological results of posterior dynamic stabilization using interspinous U (ISU, $Coflex^{TM}$, Paradigm Spine $Inc.^{(R)}$, NY, USA) were analyzed in comparison with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in degenerative lumbar spinal stenosis (LSS). Methods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for a consecutive series of 61 patients with degenerative LSS between May 2003 and December 2005. We included only the patients completed minimum 24 months follow up evaluation. Among them, 30 patients were treated with implantation of ISU after decompressive laminectomy (Group ISU) and 31 patients were treated with wide decompressive laminectomy and posterior lumbar interbody fusion (PLIF; Group PLIF). We evaluated visual analogue scale (VAS) and Oswestry Disability Index (ODI) for clinical outcomes (VAS, ODI), disc height ratio disc height (DH), disc height/vertebral body length ${\times}100$), static vertebral slip (VS) and depth of maximal radiolucent gap between ISU and spinous process) in preoperative, immediate postoperative and last follow up. Results : The mean age of group ISU ($66.2{\pm}6.7$ years) was 6.2 years older than the mean age of group PLIF ($60.4{\pm}8.1$ years; p=0.003). In both groups, clinical measures improved significantly than preoperative values (p<0.001). Operation time and blood loss was significantly shorter and lower in group ISU than group PLIF (p<0.001). In group ISU, the DH increased transiently in immediate postoperative period ($15.7{\pm}4.5%{\rightarrow}18.6{\pm}5.9%$), however decreased significantly in last follow up ($13.8{\pm}6.6%$, p=0.027). Vertebral slip (VS) of spondylolisthesis in group ISU increased during postoperative follow-up ($2.3{\pm}3.3{\rightarrow}8.7{\pm}6.2$, p=0.040). Meanwhile, the postoperatively improved DH and VS was maintained in group PLIF in last follow up. Conclusion : According to our result, implantation of ISU after decompressive laminectomy in degenerative LSS is less invasive and provides similar clinical outcome in comparison with the instrumented fusion. However, the device has only transient effect on the postoperative restoration of disc height and reduction of slip in spondylolisthesis. Therefore, in the biomechanical standpoint, it is hard to expect that use of Interspinous U in decompressive laminectomy for degenerative LSS had long term beneficial effect.

유한 요소 법을 이용한 노화에 따른 요추의 피질 골과 해면 골 간의 하중 분담 비율 (Load Sharing Ratios Between the Cortex and Centrum in a Lumbar Vertebral Body with aging using Finite Element Method)

  • 임종완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7권2호
    • /
    • pp.90-103
    • /
    • 2016
  • 본 연구는 유한 요소 법을 이용한 노화되어 강성/강도가 저하되는 요추 체의 얇은 피질과 해면 골의 하중 분담 비율 분석과 사용된 탄성계수들의 평가가 목적이다. 해면 골의 나은 해석을 위하여, 20년마다 압축 시험에서 얻은 탄성계수를 체적 공극 비율로 나눈 유효 탄성계수를 사용하였다. 이와 상응하는 피질 쉘도 공극 비율을 포함한 빔 이론의 수식들로부터 유효 탄성계수를 구한 후에 적용하였다. 또한 p-요소를 사용하여 수치 오차를 최소화하였다. 보고된 논문들을 참고하여 후관절 부분이 제거된 매개 변수적인 퇴행된 L3 척추 형상을 만들어 유한 요소 모델링 하였다. 일정 변위의 압축 조건을 가한 후에 여덟 조각의 부피 별로 각 뼈에서 탄성 변형률 에너지와 수직 하중의 비율을 사용하여 하중 분담 비율을 계산하였다. 결과로는 1) 20대에서 80대까지 해면 골의 하중 비율은 55%에서 49%로 감소하였다; 2) 피질 쉘은 중간 면에서 최고 비율을, 해면 골은 종판에서 최고 비율을 나타냈다; 3) 다공성 얇은 피질과 해면 골을 위한 유효 탄성계수의 사용은 적절하였다; 4) 두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하중 분담 비율의 차이는, 전체 비율은 1% 미만 내에서 같지만 각 위치에서의 비율 값들은 약간 달랐다.

유방보존술 후 방사선치료에서 수술 흉터와 삽입된 클립을 이용한 전자설 추가 방사선 조사야 평가 (Evaluation of Electron Boost Fields based on Surgical Clips and Operative Scars in Definitive Breast Irradiation)

  • 이레나;정은아;이지혜;서현숙
    • Radiation Oncology Journal
    • /
    • 제23권4호
    • /
    • pp.236-242
    • /
    • 2005
  • 목적: 본 연구에서는 초기 유방암환자에서 보존적 수술 후 전자선을 이용한 추가방사선 조사 시 조사야의 범위 결정에 수술상흔 및 외과적 클립이 미치는 역할을 분석하였으며 이상적인 조사야 범위 결정방법을 제시하였다. 대상 및 방법: 조기 유방암 환자로 병소를 제거한 후 외과적 클립을 $4{\sim}7$개 삽입한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전자선의 치료 에너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피부에서부터 흉부벽까지의 거리(SCD)와 병변 조직의 가장 뒤쪽에 위치해 있는 클립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였다. 수술시 삽입된 클립들을 simulation 필름 상에서 연결하여 방사선학적 tumor bed로 정의하였다. 방사선 조사야의 범위는 3가지 방법에 의해 simulation 필름에 그렸다. 임상방사선 조사야(CF)는 수술 상흔 둘레로 3 cm의 여유를 주었고, 외과적방사선 조사야(SF)는 클립주위로 2 cm의 여유를 주었으며, 마지막으로 이상적 방사선조사야(IF)는 수술 상흔과 클립을 모두 포함하여 2 cm의 여유를 주었다. 그려진 조사야들의 면적을 측정하기 위하여 치료계획 컴퓨터에 입력되었고 측정된 면적을 비교하였다. 마지막으로 삽입된 클립들을 CT상에서 그려 넣었고 클립들의 3차원적인 선량분포를 알아보기 위해 선량체적표를 얻었다. 결과: SCD와 가장 깊이 삽입된 clip까지의 거리의 평균차이는 $0.7{\pm}0.56cm$이다. 12명의 환자의 경우 깊이의 차이가 있다. 수술 상흔과 클립들의 평균 위치의 변화는 상방으로 1.7 cm, 하방으로 1.2 cm, 내측으로 1.2 cm, 그리고 외측으로 0.9 cm이다. CF의 면적은 20명의 환자 중 6명의 경우 SF보다 크고 IF보다 크다. SF 와 IF의 면적 차이는 15의 환자에서 5%보다 작다. CF 조사야를 이용할 경우 15명의 환자들에 대해 1개 또는 3개의 클립들을 조사야 내에 포함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클립들의 선량분포를 볼 때 17명의 환자들이 처방선량의 80% 미만을 받는 즉 선량적으로 부적절한 선량을 받는 클립들이 있었다. 결론: 수술 상흔을 중심으로 방사선 조사야 범위를 결정 할 경우 병변의 상하 부위를 적절히 포함하지 못하므로 병변 조직의 충분한 선량을 전달하지 못하였다. 외과적 클립만을 이용할 경우는 수술 상흔을 모두 포함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결론적으로 즉 수술 상흔과 외과적 클립을 모두 포함하는 본 기관에서 사용하는 방법으로 전자선 추가 조사야를 그린다면 정상조직의 부작용 및 지리상으로 병변조직의 빠트림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