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type distribution

검색결과 25건 처리시간 0.02초

시민참여형 무미목 양서류 음성신호 수집 및 품질관리 방안 (Anura Call Monitoring Data Collection and Quality Management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 김경태;이현정;송원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230-245
    • /
    • 2024
  • 외부 환경변화에 민감한 양서류는 지역 내 생태환경의 변화나 교란을 평가하는 생물지표종으로 활용되고 있다. 도시화로 인한 서식지 파괴, 단절과 같은 인위적인 위협으로 인해 무미목 양서류 종 3분의 1이 멸종 위험에 처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무미목 양서류의 적절한 보호 및 보전전략 마련을 위해서는 개체군의 특성을 고려한 생물종 조사가 요구된다. 본 연구는 무미목 양서류의 번식기 울음소리를 이용한 생태모니터링에 있어 시민들의 참여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적절한 품질관리 방안을 제안하여 오류나 편향을 제거하고 신뢰도 높은 생물종 출현 자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시민과학 프로젝트는 국내에 서식하는 무미목 양서류 12종을 대상으로 2022년 4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전국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시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통해 무미목 양서류의 번식기 울음소리를 직접 청취하고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녹음함으로써 음성신호 모니터링이 진행되었다. 또한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구축하여 시민들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의 오류 및 편향을 누락, 허위, 잘못된 식별과 같이 3단계로 분류하여 신뢰도 높은 생물종 출현 자료를 추출하고자 하였다. 시민참여 무미목 양서류 음성신호 모니터링 결과 총 6,808건의 관찰 기록을 수집할 수 있었다. 품질관리 프로세스를 통해 6,808건의 데이터 중 1,944건(28.55%)에서 오류 및 편향이 발생하였다. 오류 및 편향 유형으로는 누락이 922건 (47.43%)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으며 잘못된 식별 540건(27.78%), 허위 482건(24.79%) 순서로 나타났다. 시민과학프로젝트를 통해 국내에 서식하는 12종의 무미목 양서류 중 두꺼비(Bufo gargarizans Cantor), 한국산개구리(Rana coreana)를 제외한 10종의 무미목 양서류의 번식기 울음소리를 관찰할 수 있었다. 주로 개체수 감소로 인하여 관찰이 어렵거나 비 출현 개체의 번식기와 시민과학 프로젝트 진행 시점과의 차이로 인해 번식기 울음소리를 수집하는데 어려움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시민참여를 토대로 국내에 서식하는 무미목 양서류의 번식기 울음소리를 통해 분포현황과 생물종 출현 자료 수집을 처음으로 검토한 연구이다. 향후 시민과학을 접목한 생물음향 모니터링 설계와 시민과학 데이터 품질관리 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내측연결 임플란트 시스템에서 고정체와 지대주 연결부의 적합에 관한 연구 (FIT OF FIXTURE/ABUTMENT INTERFACE OF INTERNAL CONNECTION IMPLANT SYSTEM)

  • 이흥태;정재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92-209
    • /
    • 2004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mach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of implant/abutment/screw combination or internal connection type. Material and methods: In this study, each two randomly selected internal implant fixtures from ITI, 3i, Avana, Bicon, Friadent, Astra, and Paragon system were used. Each abutment was connected to the implant with 32Ncm torque value using a digital torque controller or tapping. All samples were cross-sectioned with grinder-polisher unit (Omnilap 2000 SBT Inc) after embeded in liquid unsaturated polyester (Epovia, Cray Valley Inc). Then optical microscopic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SEM) evaluations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s were conducted to assess quality of fit between the mating components. Results : 1) Generally, the geometry of the internal connection system provided for a precision fit of the implant/abutment into interface. 2) The most precision fit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was provided in the case of Bicon System which has not screw. 3) The fit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was usually good in the case of ITI, 3I and Avana system and the amount of fit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was similar to each other. 4) The fit of the implant/abutment interface was usually good in the case of Friadent, Astra and Paragon system. The case of Astra system with the inclined contacting surface had the most Intimate contact among them. 5) Amount of intimate contact in the abutment screw thread to the mating fixture was larger in assembly with two-piece type which is separated screw from abutment such as Friadent, Astra and Paragon system than in that with one-piece type which is not seperated screw from abutment such as ITI, 3I and Avana system. 6) Amount of contact in the screw and the screw seat of abutment was larger in assembly of Friadent system than in asembly of Astra system of Paragon system. Conclusion: Although a little variation in machining accuracy and consistency was noted in the samples, important features of all internal connection systems were the deep, internal implant-abutment connections which provides intimate contact with the implant walls to resist micro-movement, resulting in a strong stable interface.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further research of the stress distribution according to the design of internal connection system will be required.

GzRUM1, Encoding an Ortholog of Human Retinoblastoma Binding Protein 2, is Required for Ascospore Development in Gibberella zeae

  • Kim, Hee-Kyoung;Lee, Yin-Won;Yun, Sung-Hwa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27권1호
    • /
    • pp.20-25
    • /
    • 2011
  • Gibberella zeae (anamorph: Fusarium graminearum), a homothallic (self-ferile) ascomycete with ubiquitous geographic distribution, causes serious diseases in several cereal crops. Ascospores (sexual spores) produced by this fungal pathogen have been suggested as the main source of primary inoculum in disease development. Here, we report the function of a gene designated GzRUM1, which is essential for ascospore formation in G. zeae. The deduced product of GzRUM1 showed significant similarities to the human retinoblastoma (tumor suppressor) binding protein 2 and a transcriptional repressor, Rum1 in the corn smut fungus (Ustilago maydis). The transcript of GzRUM1 was detected during the both vegetative and sexual stages, but was more highly accumulated during the latter stage. In addition, no GzRUM1 transcript was detected in a G. zeae strain lacking a mating-type gene (MAT1-2), a master regulator for sexual development in G. zeae. Targeted deletion of GzRUM1 caused no dramatic changes in several traits except ascospore formation. The ${\Delta}$GzRUM1 strain produced perithecia (sexual fruit bodies) but not asci nor ascospores within them. This specific defect leading to an arrest in ascospore development suggests that GzRUM1, as Rum1 in U. maydis, functions as a transcriptional regulator during sexual reproduction in G. zeae.

데이텀과 위치공차에 최대실체조건이 적용되었을 경우의 위치공차의 Cp (Calculating Cp of Position Tolerance when MMC Applied at Datum and Position Tolerance)

  • 김준호;장성호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0권3호
    • /
    • pp.1-6
    • /
    • 2017
  • Process capability is well known in quality control literatures. Process capability refers to the uniformity of the process. Obviously, the variability in the process is a measure of the uniformity of output. It is customary to take the 6-sigma spread in the distribution of the product quality characteristic as a measure of process capability. However there is no reference of process capability when maximum material condition is applied to datum and position tolerance in GD&T (Geometric Dimensioning and Tolerancing). If there is no material condition in datum and position tolerance, process capability can be calculated as usual. If there is a material condition in a feature control frame, bonus tolerance is permissible. Bonus tolerance is an additional tolerance for a geometric control. Whenever a geometric tolerance is applied to a feature of size, and it contains an maximum material condition (or least material condition) modifier in the tolerance portion of the feature control frame, a bonus tolerance is permissible. When the maximum material condition modifier is used in the tolerance portion of the feature control frame, it means that the stated tolerance applies when the feature of size is at its maximum material condition. When actual mating size of the feature of size departs from maximum material condition (towards least material condition), an increase in the stated tolerance-equal to the amount of the departure-is permitted. This increase, or extra tolerance, is called the bonus tolerance. Another type of bonus tolerance is datum shift. Datum shift is similar to bonus tolerance. Like bonus tolerance, datum shift is an additional tolerance that is available under certain conditions. Therefore we try to propose how to calculate process capability index of position tolerance when maximum material condition is applied to datum and position tolerance.

육계의 체지방 분포특성과 유전변이 추정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Body Fat and the Estimation of Genetic Variation of Fat Amount in Broiler Type Chicken)

  • 오희정;김재홍;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21-29
    • /
    • 1988
  • 생존계로부터 체내지방축적함량을 추정할 수 있는 육종 기초자료를 얻기 위한 연구이었다. 공시계는 White Plymouth Rock C계통으로. 부계 13수와 모계 52수간에서 생산된 429수이었고 모든 자료는 8주령에 도살하여 얻었으며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생체종은 암수 각각 1,856g과 1,483g으로서 상용종계의 정상범위였고, 체중에 대한 각부위%는 수컷에 비하여 암컷이 낮았다. 2. 체지방 총량%는 암컷이 수컷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피부지방량과 복강지방량의 비율도 암컷이 높았다. 3. 체중에 대한 각부위내 축적지방량의 비율이 대형군에서 다소 높기 때문에 체중에 대한 체지방총량의 비는 대형군에서 높았다. 4. 비만군의 개체들은 저지방군에 비하여 각 부위 체중이 모두 크고, 또 체중에 대한 이들 비율 역시 비만군에서 높았다. 5. 체중과 각부위내 축적지방양간에는 비교적 높은 상관도를 보이는데 비하여 체중과 체중에 대한 체지방총양비율 및 피부나 박피도체내 지방%간에는 상관이 낮았다. 6. 체중의 유전력은 암수 다같이 높았으며 모체효과가 작용하는 것으로 보였다. 그러나 피부체중이나 복강지방총량의 유전력은 0.20이하로 낮았다. 7. 체지방총양의 유전력은 낮고. 체중에 대한 체지방총양의 유전력은 중정도이며. 이들은 모두 모분산성분에 추정치가 커서 모체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피부내 지방%와 함량의 유전력과 복강지방양의 유전력은 모두 중정도(0.20∼0.30)였다. 8. 체중과 각 형질간 유전상관에서 각피도체내지방%. 피부지방%, 그리고 체지방 총량비율등은 부상관을 보이는 반면. 체지방총양, 각피도체지방, 그리고 피부지방량등은 정상관을 나타냈다. 9. 복강지방량과 박피도체내 지방%, 박피도체지방량, 피부내 지방%, 그리고 피부지방함총간 유전상관은 암수 모두 낮은 반면. 피부지방량과 각피도체내 지방%. 그리고 도체지방 함양간에는 높은 상관을 보인다. 따라서 선발에 의해서 복강지방량을 감소시킬 때 도체내 지방%나 축적지방량에_ 큰 영향은 받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이상을 종합하면 비만계는 체내지방%가 높고 체중도 무겁지만. 실체중과 체중에 대한 체지방총량비간에는 상관도가 낮기 때문에 체중의 감소 없이 체지방량을 줄일 수 있으며, 근육내 지방량을 현저히 줄이지 않고서도 복강지방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