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ing age

검색결과 64건 처리시간 0.036초

산란계에 있어서 가금티푸스 저항성 계통의 산란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Egg Production among Crossbreds with Resistance to Fowl Typhoid in Egg Type Chickens)

  • 오봉국;한성욱;김기석;한경택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03
  • 본 시험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시 품종으로 국내 산란계 품종중 우수계통으로 ISA 계통 White와 Brown P.S, Hyline 계통 White와 Brown P.S와 Lohman 계통 White와 Brown P.S 등 6개 계통을 선발하여 우량교배조합구를 구성하고 대조구로는 현재 국내에서 가장 널리 사육하는 품종 ISA Brown CC. Hyline Brown CC와 Lohman Brown CC 3계종과 우량교배 조합구 6구를 공시하여 산란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한바 성적은 다음과 같다. (1) 생존율에 있어서 육성율(0~l7주) 99.95%, 성계생존율 (18~72주) 91%로 시험구와 대조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2) 시산일령은 평균 147~148일로 시험구,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3) 18~72주령 산란율에서 시험구는 83.76%, 대조구는 77.82%로 시험구 산란율이 약 6%가 높아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4) 산란지수에 있어서도 시험구 평균 산란지수는 18~72주시까지 292.33개이고 대조구는 271.31개로 시험구가 21개 더 생산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5) 산란량에서도 18~72주시까지 시험구는 18.83kg, 대조구는 16.48kg으로 시험구가 2.35kg 더 많은 생산을 하였고 유의하였다. (6) 난중에 있어서도 30주령시, 72주령시 모두 시험구 난중이 대조구에 비하여 유의하게 무거웠다. 18~72주시 평균난중에 있어서 시험구는 64.32g이고 대조구는 60.73g로서 시험구가 3.59g 만큼 더 무거웠으며 통계적인 유의차가 있었다. (7) 사료요구율에 있어서 18~72주시 시험구는 2,297인데 대조구는 2,454로서 시험구가 계란 I1kg 생산에 사료 157g 만큼 절약되었으며 유의성이 있었다. (8) 난질조사에 있어서 산란말기인 72주령시 성적을 보면 시험구 H.U는 82.20이고 대조구는 77.82로서 시험구 계란이 4.38 H.U만큼 품질이 우수하였으며 난황색, 난각두께에 있어서는 시험구와 대조구 간에 차이가 없었다. (9) 난각색에 있어서는 시험구 난각색이 백색란과 갈색란의 중간에 속하는 연갈색 난각을 나타내며 소비자 기호도가 낮은 편이었다. (10) 체중에 있어서 육성기 8주령시, 12주령시, 18주령시까지 시험구와 대조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그리고 산란기 42주령시, 72주령시 체중에 있어서도 두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다.

토종 종계 이면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생산형질의 결합능력 추정 (Estimation of Combining Ability of Production Traits from Diallel Crosses of Korean Native Chicken Strains)

  • 최은식;방민희;김기곤;권재현;정옥영;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3호
    • /
    • pp.189-198
    • /
    • 2017
  • 본 연구는 국산 신품종 토종닭 개발을 위하여 국내 보유중인 원종계 5계통을 대상으로 $5{\times}5$ 이면교잡을 통해 생산된 교배조합종 암컷 1,157수를 대상으로 조합별 능력을 검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결합능력 및 상반교잡효과를 추정하였다. 생산능력에 대한 검정형질로는 체중, 생존율, 시산일령, 난중 및 산란율을 대상으로 하였다. 분석 결과, 일반결합능력에 있어 생존율은 -9.6~11.1의 범위를 보이며 W계통이 가장 높았고, 12주 체중에서는 F계통이 가장 높은 추정치를 보이며, -209.7~162.2의 범위로 추정되었다. 산란형질에 대한 일반결합능력의 추정치는 시산일령에서 -2.8~3.7, 난중은 -0.91~0.96, 일계산란율은 -4.9~6.0의 범위를 보이며, W계통이 가장 높은 산란율을 나타내었다. 특정결합능력의 추정 결과, 생존율은 Y와 W계통 간의 조합이, 12주 체중은 F와 W계통 간의 조합이 가장 높았으며, 일계산란율은 G와 W간의 조합이 가장 높게 추정되었다. 상반교잡효과의 분석 결과, 거의 모든 형질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며, 동일한 교배조합이라 할지라도 어느 쪽을 부모계로 이용하느냐에 따라 상이한 능력의 차이를 보였다. 결합능력을 근거로 한 조합가의 추정치로 생존율은 WY, WF, GW 순으로 높았고, 12주 체중에서는 GF, HG, HF 순으로 높았으며, 일계 산란율은 GW, YW, FW 순으로 높은 추정치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우수한 실용계(commercial chicken)를 작출하기 위한 최적의 종계(parents stock) 조합의 선정은 부 계통으로는 체중이 우수하면서 상대적으로 생존율이 양호한 GF나 HF조합이 적합할 것으로 사료되고, 모 계통은 산란능력이 우수하며 적절한 체중을 지닌 GW나 FW조합이 가장 바람직 할 것이라 사료된다.

Flock composition, breeding strategies and farmers' traits of interest evaluation of Wollo highland sheep and their F1 crosses

  • Amare, Tadesse;Goshu, Gebeyehu;Tamir, Berhan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60권5호
    • /
    • pp.14.1-14.12
    • /
    • 2018
  • Background: Sheep production is a major component of the livestock sector in Ethiopia. The country owing to the large population of 30.70 million estimated numbers of sheep in the country and out of which about 72.14% are females, and 27.86% are males with diverse genetic resources. The real value of indigenous breeds was often under-estimated mostly due to their poor appearance and relatively low productivity. Developing countries in most cases opt for exotic breeds to increase animal productivity through crossbreeding or breed substitution without properly investigating the production potential of the indigenous breeds. The main objective of the research was to identify sheep flock composition and structure, farmers' traits of interest and breeding objective of Wollo highland sheep, and their $F_1$ crossbreed progenies. Results: Smallholder farmers' flock synthesized from breeding ewes, breeding rams, pre-weaned ewe lambs, pre-weaned ram lambs, unproductive ewes, castrated and fattened rams, with the percentage coverage of 29.2, 13.3, 15.5, 16.5, 12.4, and 12.5%, respectively. The maximum number of flock size was 289.0 sheep per flock and higher in the third stratum. The off-take rate percentage of the three strata presented as 21.9% in 1st stratum, 12% in the 2nd stratum, and 16.4% in the 3rd stratum and higher off-take rate recorded in the first stratum. Sheep producer's traits of interest ranked by growth rate (first), body size (second) and marketing value was third rank. Communal breeding (random mating), village based controlled breeding, mixed type and private ram controlled breeding practice were comprised of 39.7, 61.7, 52 and 71.3%, respectively. The percentages of ewes per flock composition were presented as 36.5, 27.1 and 25.5%, respectively in the 3rd stratum, 2nd stratum and 3rd stratum in the order of their importance's. Conclusion: Genetic improvement practices at smallholder sheep producers situation was showing promising outcome with indigenous Washera $F_1$ crossbred lambs and which designated for weaning rate, body size, marketing age, age at first lambing, good temperament and large litter size in the order of their rank. The contemporary breeding practice tendency indicated that, reduced flock size to improve flock productivity via crossbreeding practices.

한우(韓牛)와 Holstein종(種) 교잡우(交雜牛)의 발육(發育) 및 비유능력(泌乳能力)에 관(關)한 연구(硏究) (Study on the Differences in Growth and Milk Production Performance between Holstein Crossbreds and Korean Native Cattle)

  • 임흥순;한성욱
    • 농업과학연구
    • /
    • 제8권1호
    • /
    • pp.72-81
    • /
    • 1981
  • 본(本) 시험(試驗)은 한우(韓牛) 암소에 Holstein종(種) 수소를 교배(交配)하여 생산(生産)된 1대(代) 잡종(雜種)의 발육능력(發育能力)과 필유능력(泌乳能力)을 구명(究明)하기 위하여 1973년(年)부터 1978년(年)까지, 6개년간(個年間)에 걸쳐 농촌진흥청(農村振興廳) 축산(畜産) 시험장(試險場)에서 생산사육(生産飼育)된 한우(韓牛) 빈우(牝牛)15두(頭)와 Holstein 교잡종(交雜種) 빈우(牝牛) 11두(頭)를 대상(對象)으로 실시(實施)하였다. 체중(體重)은 생시(生時)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체형(體型)은 6개월령(個月令)부터 36개월령(個月令)까지, 그리고 필유능력(泌乳能力)은 분만후(分晩後) 11일(日)부터 180일(日)까지 조사(調査)하였다. 교배조합(交配組合),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 효과(效果)를 추정(推定)하기 위하여, Harvey의 최소(最少) 자승법(自乘法)을 이용(利用)하였으며, 그 분석(分析)한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1. 한우순종(韓牛純種)은 Holstein교잡종(交雜種)에 비(比)하여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체중(體重)이 가벼웠으며 생시(生時), 6개월령(個月令), 12개월령(個月令), 24개월령(個月令) 및 36개월령(個月令)에서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2.45kg, 132.82kg, 220.68kg, 363.54kg 및 365.54kg인데 대(對)하여 Holstein교잡종(交雜種)의 체중(體重)은 각각(各各) 28.09kg, 146.64kg, 254.48kg, 392.04kg 및 454.46kg이었다. 2. 체중(體重)에 미치는 분만년도(分晩年度)의 효과(效果)는 생시(生時)를 제외(除外)하고 육성기(育成期)의 발육(發育)에 많은 영향(影響)을 미쳤으며,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생시(生時)부터 6개월령(個月令)까지는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가을과 봄에 출생(出生)한 송아지가 여름과 겨울에 출생(出生)한 송아지보다 더 무거운 경향(傾向)을 보였다. 3. 산차(産次)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별(月令別)로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을 보였으며, 5 산차(産次)의 송아지가 다른 산차(産次)의 송아지보다 각(各) 월령(月令)에서 더 무거운 체중(體重)을 나타내는 경향(傾向)이었다. 4. 체위(體位)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24개월령(個月令)에 체고(體高), 십자부고(十字部高), 흉심(胸深), 흉위(胸圍), 요각폭(腰角幅)에서 유의성(有意性)을 나타냈으나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 및 산차(産次)는 대부분 체부위(體部位) 발육(發育)에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다. 5. 필유량(泌乳量)에 대(對)한 교배조합(交配組合)의 효과(效果)는 각(各) 월령(月令)에 걸쳐 고도(高度)의 유의성(有意性)이 인정(認定)되었으며, 분만년도(分晩年度), 분만계절(分晩季節)은 영향(影響)을 미치지 못하였고, 산차(産次)는 분만후(分晩後) 11~30일간(日間)에서만 유의성(有意性)을 보였다. 6. 한우순종(韓牛純種)의 일일평균(一日平均) 필유량(泌乳量)은 3.6kg, Holstein 교잡종(交雜種)은 8.26kg 이었다.

  • PDF

토종 종계 이면교배조합 시험에 따른 생산능력 및 잡종강세효과 (Production Performances and Heterosis Effects of Korean Native Chicken Breed Combinations by Diallel Crossing Test)

  • 최은식;방민희;김기곤;권재현;정옥영;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4권2호
    • /
    • pp.123-134
    • /
    • 2017
  • 본 연구는 국산 신품종 토종닭을 개발하기 위하여 국내 토종닭 GPS 계통들을 대상으로 $5{\times}5$이면 교배조합 시험을 실시하여 교배조합별 성적을 토대로 최적의 종계 조합을 선발하고자 하였다. 총 25개 교배조합의 암컷 1,157수를 대상으로 주요 생산능력인 생존율, 체중, 시산일령, 난중, 일계산란율 및 산란지수를 조사하고 분석하였으며, 각 조합별 형질들의 잡종강세효과도 추정하였다. 분석 결과, 성계의 평균 생존율은 순계구가 67.7%, 교잡구가 77.1%로 나타났다. 체중 측정 결과, 이들 25개 조합은 뚜렷한 3개의 그룹 즉, 9개의 고체중구, 12개의 중체중구 및 4개의 저체중구로 구분되었다. 12주령 평균 체중은 고체중구는 $1,873.8{\pm}43.0g$, 중 체중구는 $1,595.4{\pm}56.6g$, 저 체중구는 $1,152.7{\pm}24.7g$이었으며, 순계구는 $1,560.2{\pm}339.3g$, 교잡구는 $1,640.9{\pm}213.7g$이었다. 산란능력에 있어 시산일령은 순계구는 $139.7{\pm}4.9$일, 교잡구는 $135.8{\pm}5.1$일이었고, 평균 난중은 순계구에서 $52.3{\pm}1.6g$, 교잡구는 $53.0{\pm}1.6g$이었다. 20주령부터 40주령까지의 산란지수는 순계구가 $58.3{\pm}12.9$개, 교잡구는 $69.2{\pm}10.4$개였다. 잡종강세 효과 추정에 있어 전체 조합에 대한 평균 생존율은 16.9%, 12주 체중은 5.4%, 시산일령은 -2.7%, 난중은 1.3% 및 일계 산란율은 14.3%의 잡종강세율을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생존율 및 산란형질들의 잡종강세 효과가 성장형질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상을 종합할 때 최적의 실용계 생산을 위하여 부계통으로는 우수한 성장능력을 가진 HF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고, 모계통으로는 우수한 산란능력을 가진 GW 및 FW 조합구의 선정이 바람직하리라 예측된다.

흰쥐의 Mortierella alpina 균사체와 추출유의 섭취에 의한 생육 효과와 학습능력 비교 (The Effects of Mortierella alpina Fungi and Extracted Oil (Arachidonic Acid Rich) on Growth and Learning Ability in Dam and Pups of Rat)

  • 이승교;강희윤;박영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1084-1091
    • /
    • 2002
  • 아라키돈산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점차 증가하면서 생산가능한 균주로서 독성을 보이지 않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할 때 오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곰팡이의 추출유와 곰팡이 자체의 섭취로서 arachidonic acid를 섭취토록 하여 생육과 뇌발달 및 학습에 미치는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조군으로서 우지를 섭취시킨 쥐와 비교할 때 식이군별 암컷의 체중변화에서는 비교적 체중이 증가되지 않은 군은 Mortierella alpina섭취군으로 나타났으며 새끼를 젖뗀 후 심하였지만 개체 차이가 심하여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 분만 직후의 체중증가는 수유동안 감소가 일어나 이유시기에는 체중 감소가 각군 모두에서 일어났다. 새끼에서는 이유전까지는 체중증가에 어미의 식이군에 따른 차이가 전혀 보이지 않았으나 이유 후 식이섭취 동안 군별 차이가 있어 특히 적은 양을 섭취한 Mortierella alpina 섭취군(LF)에서 체중이 가장 적었다. 섭취량자체도 적었고 증체량도 적었기에 이에 대한 식이 효율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어미와 새끼의 미로실험에서 어미의 경우는 식이별 통계적 유의성을 볼 수 없었으며 또한 2차에 걸친 시기에서도 학습효과를 볼 수 없었다. 그러나, 이유가 새끼의 미로 측정 결과를 보면, 통제군에 비하여 고추출유섭취군(HO)에서 실수의 빈도가 감소하였고 backing error빈도는 다른 군보다 낮았다고 볼 수 있어 긴사슬 지방산의 효과를 일부 추정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성숙기인 7주령에 시행한 미로실험 에서는 유의적 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뇌의 성장에 이유기까지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는 좋은 결과로 보며, 지방급원으로서 곰팡이 자체의 섭취군에서는 통계적 유의차를 나타내지 않아 불포화지방산의 효과를 추정하기 어려우며 곰팡이의 체내 소화작용이나 식이섭취에 다른요인이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었다. 어미와 새끼의 DNA함량을 비교하면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의 체중 증가의 지연에서 보듯이 뇌의 성장에서도 지연됨(무게감소)과 함께 DNA함량에서도 적게 나타났으나 어미의 경우, 간과 뇌의 DNA함량에 식이군간의 유의차가 없었다. 그러나 이유기 새끼의 뇌의 DNA함량은 Mortierella alpina 섭취군이 가장 적었고 간의 DNA 함량은 차이가 없었다. 새끼의 성숙기에는 식이군 간 차이가 있어 뇌의 DNA함량은 여전히 적었으나 간의 DNA함량에서는 체중 g당 환산할 때 Mortierella alpina를 적게 섭취한 군(LF)이 더 많아서 신체에서 간이 더 커진 모습을 보였다 아라키돈산의 섭취가 특히 어린시기의 뇌발달에 필요함을 인식할 때, 아라키돈산의 급원으로서 식이에 일정비율 공급할 필요에 맞추어 다량 생산할 수 있는 기반이 Mortieralla alpina 곰팡이를 이용함으로서 가능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곰팡이의 배양과 기름의 추출과정을 통하여 생산된 기름의 섭취에서 생육에 문제를 보이지 않았으며 다량의 함유 아라키돈산의 효과를 미로를 이용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기에 산화과정을 우려하여 곰팡이 자체를 섭취시켜 본 결과 성장이 느리게 진행되는 것으로 나타났기에 이는 진균류의 세포막을 분리하여 내부에 포함된 지방을 이용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었다. 아라키돈산의 가격이 워낙 비싸기에 쉽게 이용할 수 있는 Mortierella alpina를 이용한 추출유로 충분한 식품첨가 가능성을 보여 주었다고 보지만 기타 미량 성분에 대한 추적이 요구되며 모든 공정에서 문제를 발견하지 못할 때 식품산업에 응용할 수 있을 것이다.

남생이의 성적 이형성 (The sexual dimorphism of Mauremys reevesii)

  • 오정우;남상헌;이성경;강정훈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1호
    • /
    • pp.132-140
    • /
    • 2023
  • 본 연구는 천연기념물인 남생이(Mauremys reevesii)의 암컷과 수컷의 성적 이형성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총 21마리의 남생이를 머리, 배갑(Carapace), 복갑(Plastron)의 21개의 부위를 머리길이(HL)와 배갑길이(CL)를 기준으로 총 19개 부위의 비율 값을 도출하였다. 비율 값을 비교한 결과 남생이 수컷은 암컷보다 머리길이, 머리폭, 머리높이가 더 크고, 배갑과 복갑의 경우 모든 측정부위에서 암컷이 수컷보다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암컷은 짝짓기 후 체내 수정을 통해 산란 전까지 체내에서 알을 성장시키기 때문에 암컷이 전체적으로 수컷보다 큰 것으로 판단된다. 측정된 수치의 비율 값을 통계 분석한 결과, 복갑길이(PL), 골교길이(BL), 후갑판길이(GL), 견갑판길이(IH), 항갑판길이(IAN), 고-항갑판길이(FA), 머리높이(HH)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복갑의 부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보아 남생이는 성장함에 따라 복갑의 각 갑판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남생이 수컷의 머리 크기는 암컷 보다 작지만 비율적으로 봤을 때 더 큰 것을 알 수 있었다. 남생이는 교미 전 수컷이 머리를 흔들며 구애행동을 하는 습성으로 인해 체구에 비해 오히려 머리가 더 큰 것이라 사료된다. 이번 연구를 통해 남생이의 성적 이형성 특징을 파악할 수 있었다. 하지만 대부분 구조된 개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서식환경과 연령을 정확히 파악할 순 없었다. 추후 서식지와 연령이 명확한 개체를 대상으로 추가적인 연구를 진행한다면 성장하면서 발달하는 신체적 차이에 관한 특징을 규명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Estimation of Inbreeding Levels and Its Effect on Growth Performances of Calves in Hanwoo and Chikso (Korea Brindle) Cattle Population

  • Park, Yong-Soo;Jeong, Dae-Jin;Choy, Yun-Ho;Choi, Tea-Jeong;Lee, Chang-Woo;Choi, Jae-Woun;Lee, Ji-Hong
    • Reproductive and Developmental Biology
    • /
    • 제37권3호
    • /
    • pp.123-127
    • /
    • 2013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levels of inbreeding on body weight traits between two breed populations, Hanwoo and Korea Brindle cattle. Birth weight (BW), weaning weight (WW), body weight at 6 months of age (W6) and yearling weight (YW). Records of 1,745 calves (1,513 from Hanwoo, and 232 from Korea Brindle calves) were collected from Livestock Research Institutes in Kangwon, Gyeongbuk and Chungbuk provinces. The least squares means (LSM) and their standard errors for BW, WW, W6 and YW were $25.4{\pm}0.1$ kg, $81.0{\pm}1.8$ kg, $146.1{\pm}3.7$ kg and $291.5{\pm}2.4$ kg, respectively in Hanwoo calves and $22.6{\pm}0.3$ kg, $79.9{\pm}2.3$ kg, $137.6{\pm}4.6$ kg and $249.3{\pm}6.6$ kg, respectively in Korea Brindle calves. Pedigree data showed that 14.8% (316 out of 2131) of Hanwoo was inbred and the average inbreeding coefficient was 0.0209 (2.09%). Inbreeding coefficients of ten calves out of 316 total inbred Hanwoo calves were 12.5% or higher, whereas those of the other 306 calves were less than 12.5%. In both breeds, calve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of inbreeding classes - highly inbred group($F{\geq}0.125$), lowly to medially inbred group(0

체세포 복제돼지 생산에 있어서 대리모의 선발과 배란상태 분석 (Selection of Surrogates and Analysis of Its Ovulation Status for the Production of Somatic Cell Cloned Piglets)

  • 현상환;정연우;이은송;김현욱;김근형;정의배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23-128
    • /
    • 2006
  • Production of cloned pigs by somatic cell nuclear transfer (SCNT) has unlimited value for developing critical biotechnology such as xenotransplantation. Various efforts have been made to establish this technology, and several litters of live piglets have been produced after transfer of SCNT embryos. However, the efficiency is very low compared to piglet production by artificial insemination or natural mating. So far, most studies have been limited to in vitro production of SCNT embryo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standardize a surrogate recipient (gilts) for transfer of SCNT embryos to improve pregnancy rate. Potential surrogate gilts over 7 months of age were checked for their estrous status by observing external signs; vaginal fluid, vulva redness, vulva swelling, and standing response to back pressure. Viscosity of vaginal fluid was evaluated and classified as none (0), medium (1), and strong (2). Vulva redness and swelling was respectively assessed by none or shrink (0), medium (1), strong (2). Back pressure was estimated by an immediate move (0), standing less than 10 sec (1), and standing over 10 see (2). And then ovulation status of each surrogate was classified as pre-ovulation (PO-17 surrogates), just prior to ovulation (JPO-20 surrogates), in ovulation (IO-12 surrogates), just after ovulation (JAO-14 surrogates) and after ovulation (AO-24 surrogates) at the time of surgery for embryo transfer (ET). Real-time ultrasonographic scanners have been used for pregnancy diagnosis by observing amniotic vesicles. The first pregnancy diagnosis was done on Day 30 after ET and then repeated 2-week interval. In the results, SCNT embryos transferred into JPO surrogates gave better pregnancy rates (45%) than others (4% to 11%) on Day 30 after ET. These result indicates that surrogate gilts in a status just prior to ovulation can offer optimal condition to establish pregnancy by transfer of SCNT pig embryos.

산란계 합성종의 가금티푸스 저항성 비교 연구 (Comparison of Resistance to Fowl Typhoid among Crossbreed)

  • 김기석;이영주;강민수;한성욱;오봉국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59-75
    • /
    • 2002
  • 1992년에 국내에서 최초로 가금티푸스 발생이 확인된 이래로 이 병 방제를 위한 여러 가지 예방 및 치료 방안의 강구에도 불구하고 최근까지 전국 양계농가에 만연하여 질병 발생에 의한 경제적 손실이 막대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질병에 대한 질병 저항성이 강한 것으로 널리 알려져 있는 백색란 산란계를 이용하여 갈색란 산란계와의 교배종 육성으로 국내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유색란을 생산하면서 생산성이 우수하고 동시에 가금티푸스에 대한 높은 질병 저항성을 가진 합성종의 닭 품종 개발을 목적으로 현재 국내에 도입하여 사육하고 있는 몇가지 품종의 백색란 및 갈색란 생산 종계를 대상으로 선발한 동종 및 이종간의 교배 합성종 계통 닭에 대하여 가금티푸스 저항성을 비교 시험하였던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White Leghorn(WL), Rhode Island Red(RIR) 및 WL$\times$RIR교배종의 가금티푸스에 대한 질병 저항성 WL, RIR및 WL$\times$RIR닭 품종에 대하여 2주, 5주 및 8주령시에 각각 가금티푸스에 감염시킨 다음 2주간에 걸쳐 폐사율, 증체량, 접종균 회수율 및 응집항체 양성을 등을 비교 조사하였던 바, 폐사율에 있어서 WL은 시험 주령에 관계없이 전혀 폐사가 없었던 반면에 RIR은 감염 일령이 높아질수록 다소 감소는 하였으나 평균 86.2~64.1%의 높은 폐사율을 나타내었다. WL$\times$RIR교배종은 평균 20.7~2.9%의 폐사율을 나타내어 WL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RIR보다는 훨씬 낮았다. 증체량에서는 공시 품종의 감염군 모두가 대조군 보다는 낮았으나 한편 감염 군간에 있어서는 WL과 WL$\times$RIR이 서로간에 유의차 없이 RIR보다 훨씬 더 높았다. 시험계의 뇌, 심장, 간장, 비장 및 맹장 등 체내 장기로부터 접종균의 회수율은 WL이 일령 증가에 따라 점차 증가하였으나 다른 품종들 보다는 현저히 낮았던 반면에 RIR은 80~90% 이상으로 매우 높았으며 WL$\times$RIR 교배종은 WL보다는 다소 높았으나 RIR보다는 상당한 차이로 낮았다. 항체 양성을에 있어서는 WL$\times$RIR이 WL 및 RIR보다도 높게 나타났다 2. Hyline white$\times$ Hyline brown(HwHb) , Hw$\times$ Isa brown(HwIb), Isa white$\times$Ib(IwIb), Iw$\times$Hb(IwIb) 및 Ib$\times$Iw(IbIw) 등 합성 교배종의 가금티푸스에 대한 질병 저항성 HwHb, Hwlb, Iwlb 및 IwHb 등 4가지 합성품종과 IbIw의 역교배종을 공시하여 6주령 시험계에 감염후 2주간에 걸쳐 폐사율, 증체량, 접종균 회수율 및 응집 항체 양성율 등으로 가금티푸스에 대한 질병 저항성을 비교 시험하였던 바, 공시 품종 모두가 가금티푸스에 대해 현저한 질병 저항성이 있는 것으로 인정되었으며 품종간 비교에서는 HwHb가 공시한 다른 품종들보다 더 강한 저항성을 가지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