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검색결과 84건 처리시간 0.032초

Impact of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matter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ir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Performance

  • Wong, Tak-Wah;Lai, Yiu-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51-6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ntry level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The sample consisted of 24 mathematics student teachers, 12 of whom passed A-Level mathematics and 12 of whom only passed O-level mathematics. They were all studying in a 4-year bachelor of education (Honours/Primary) programme; they were either majoring or minoring in mathematics.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is not related to their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or their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may lead society to consider whether student teachers who have passed O-level mathematics are already eligible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 primary mathematics teacher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raises the issues of how to develop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hether we need to restructure our bachelor of education (Primary) programmes' curriculum in teacher professionalism.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s to Improve Mathematical Capabilities for Electronics Engineering

  • LEE, Seung-Woo;LEE, Sangwon
    •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 /
    • 제13권2호
    • /
    • pp.120-126
    • /
    • 2021
  • The importance of mathematics is emerging to create new values and secure competitiveness in an intelligent information society based o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improving the academic performance and increasing interest of electronics majors in mathematics subjects. In order to develop learners' mathematical capabilities in major fields that utilize mathematics that electronics majors do not prefer, we have proposed a new teaching method to promote employment in mathematics-based electronics fields. In addition, to enhance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we developed teaching methods for efficient mathematics subjects with programming languages as tools in electronics engineering and applied them to real-world teaching sites to effectively cultivate academic performance improvement of majors. Finally, we conducted a survey and statistically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teaching methods to present effective operational measures for mathematics education, an essential tool in intelligent information technology.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A Study of Criteria for Self-Assessment of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 김소형;김용석;한선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5권2호
    • /
    • pp.171-192
    • /
    • 2016
  • As teachers' competency is evaluated based on their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teachers need to have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mselves by systematically analyzing and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through self-assessment. In this study, we aimed to examine what 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 in the process of self-assessment. This study used a mixed-methods research design. To draw the self-evaluation criteria for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pre-service self-reported assessments were analyzed using qualitative analyses. In addition,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investigate the pre-service teachers' distribution across the criteria and check the ratio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for each element. As a result, it was disclose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considered eight elements in self evaluating their own lesson planning and teaching performance. In addition, we found that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tended to consider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more than Subject-Matter Knowledge (SMK). Moreover,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the curriculum in the pre-service teacher's education program.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효과적인 교육실습을 위한 수업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 Portfolio for Effective Teaching Practicum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6권2호
    • /
    • pp.225-246
    • /
    • 2016
  • 교사에게 요구되는 역량 중에서 수업능력은 가장 핵심이며, 예비교사 시기에서부터 관련된 교육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의 수업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학교현장에서 스스로 계획하고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그것을 개선해 나가는 실천능력을 길러야 한다. 교육실습은 예비교사에게 필수적인 과정으로 수업능력 향상을 경험할 수 있는 중요한 기회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교육실습에서 중등 예비수학교사에게 요구되는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활용방안, 구성요소와 적용절차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실습에서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포트폴리오의 적용의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중등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Utilization of Teaching-Learning Portfolio for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of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강현영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6권3호
    • /
    • pp.567-584
    • /
    • 2014
  • 최근 교사의 전문성 중 가장 핵심이 되는 수업 전문성이 강조되고 있다. 특히 2012년 수학교육선진화 방안 발표 후 수학 교사의 수업 능력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수학 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예비수학교사 시기에서부터 교육 경험이 필요하다. 예비수학교사의 수업 능력 개발 및 강화를 위해서는 교육적 실행과 관련하여 자신의 실천을 체계적으로 반성하고 개선해 나아가는 경험이 필요하다. 즉, 반성적 사고와 실천적 지식의 함양을 위한 수업 실습에 관한 이론과 실천 양면의 체계적인 실행과 지도가 필요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을 위해 실행 가능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의 구성요소 및 적용절차를 개발하였다. 또한 수업능력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 포트폴리오 작성 후 설문조사를 통하여 예비수학교사의 수업능력 향상에 효과적이었으며, 수학교사 교육을 위한 발전적인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 PDF

수학학습부진아 지도방법에 따른 학업성취도 향상에 대한 메타연구 (Meta analysis on the improvement of academic performance by the teaching method for underachievers of learning mathematics)

  • 김홍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1호
    • /
    • pp.31-45
    • /
    • 2020
  • 시대적 흐름과 정부의 정책 시행 노력에도 불구하고 수학학습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학생들이 많이 늘어나고 있다. 이를 반영하여 수학교육에서 수학학습부진아와 관련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연구들의 대부분은 수학학습부진아의 원인을 밝혀내거나 교수학적 처치를 시행하고 그 효과를 알아보는 실험연구가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위논문 및 학술지 논문 49편을 메타분석하여 수학학습부진에 대한 교수학적 처치가 학업성취도 향상에 얼마나 큰 효과크기를 갖는지 분석하였다. 이러한 분석의 결과 수학학습부진아에게 교수학적 처치는 전반적으로 중간 정도의 효과크기를 갖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또한 여러 중재요인을 분석하여 어떠한 환경에서 가장 큰 효과를 거둘 수 있는지에 대한 제안점도 얻을 수 있었다.

중등수학교육에서 그래픽 계산기를 활용한 수업모형 연구 (Study for Teaching Mathematics using Graphing Calculator)

  • 박은주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권2호
    • /
    • pp.529-545
    • /
    • 1999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troduce a model for learning-teaching mathematics using graphing calculator. This study consists of four main chapters. In chapter III, there are some Teaching Procedures and reports. Graphing calculator was used as a tool in understanding mathematical concepts and solving given problems. Also there is an example of performance assessment on second-grade students in high school. This study left much to be desired and has to be followed by a continuing study to make it better.

  • PDF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 조사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perceptions on assessment)

  • 권나영;오서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4호
    • /
    • pp.295-312
    • /
    • 2020
  • 본 연구는 중등학교 수학교사의 평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비교하기 위하여 진행되었다. 이를 위해 인천지역에 근무하는 중학교 188명, 고등학교 125명의 수학교사로부터 평가에 관한 6가지 영역과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일반적인 인식에 대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자료는 중요도-수행도 분석기법(IPA)을 사용하여 학교급별, 경력별, 학교규모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로 대부분의 영역에서 중학교 수학교사들이 고등학교에 비해 중요도와 수행도 모두 높게 나타났다. 경력별로는 경력이 높을수록 높은 중요도-높은 수행도, 낮은 중요도-낮은 수행도가 많이 나타나고. 학교규모가 클수록 낮은 중요도-높은 수행도에 다양한 의견이 나타났다.

수학 수업평가 기준 개발에 관한 기초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Standards on the Mathematics Teaching Evaluation)

  • 최승현;황혜정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9권3호
    • /
    • pp.327-352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현직 교사 전문성 발달의 일환으로, 교사 전문성의 핵심 영역인 수업과 관련된 일련의 활동에 대하여 수학 교과를 중심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 가능한 수업평가 기준을 개발하고, 그 활용 방안을 안내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서 2년간 수행한 선행 연구(임찬빈 외, 2005, 2006)에 후속하는 제3차년도 연구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 연구에서의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 개발은 제1, 2차년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국내 외 교사 평가 및 수업평가에 관한 선행연구, 수학교육 전문가 협의회, 수업 관찰 및 면담 결과, 면담 교사의 수업 관련 자료 분석를 통하여 이뤄졌다. 또, 현장 교사들을 대상으로 수업평가 기준에 대한 적합성과 중요도를 묻는 설문 조사를 통해 기준(안)에 대한 적절성을 검토하여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수학과 수업평가 기준은 '지식', '계획', '실천', '전문성'의 4개 대영역하에, 6개의 중영역과 36개의 요소를 두고 있으며, 또 각 요소에 대하여 관찰지표와 수행수준을 마련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