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pre-service teachers

검색결과 276건 처리시간 0.021초

예비교사를 위한 수학답사활동 수행 결과 분석 (The Analysis on the Results of Mathematics Field Trips for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

  • 서보억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0권2호
    • /
    • pp.139-159
    • /
    • 2016
  • 본 연구는 수학교육의 현장을 교실이 아닌 교실 밖으로 확장할 수 있다는 것을 전제로 진행되었다. 최근 수학교육은 다양한 현장체험활동, 실생활을 기반으로 한 수학교육 등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고, 이로 인해 예비교사교육에서도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 예비수학교사를 대상으로 수학답사활동을 진행하고, 그 구체적인 적용 결과를 분석하였다. 우리 고유의 역사적 문화재 속에서 실시한 예비교사의 수학답사활동 전후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 대한 양적 분석과 더불어, 수학답사활동의 목적인 인지적 효과, 정의적 효과, 문화-수학적 효과, 수학수업 개선 효과 및 수업목표지식, 수업내용지식 측면에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수학답사활동은 예비수학교사에게 유의미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정착하기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기대된다.

지수함수 그래프의 구성 맥락에 대한 예비교사들의 이해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f Contexts for Constructing Exponential Graph)

  • 허남구;강향임;최은아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7권3호
    • /
    • pp.411-430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예비수학교사 24명을 대상으로 지수함수 맥락에서 지수함수의 그래프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와 각 맥락의 교수학적 적절성에 대해서 어떻게 판단하는지를 살펴보았다. 제시된 지수함수 맥락은 무수히 많은 점을 이용하는 맥락과 무수히 많은 직선을 이용하는 맥락, 무한히 지급되는 이자 맥락이었다. 연구 결과, 예비교사들은 단계별로 그래프의 개형을 제시하는 과제에서 유한개의 점에 대한 그래프의 극한이라는 아이디어 A에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나타낸 반면에 한 점에서의 변화율과 함숫값이 비례한다는 아이디어 B와 연속 복리 개념이 내포된 아이디어 C를 사용한 그래프 구성에는 어려움을 나타내었다. 지수함수 그래프 구성 맥락이 적절한가에 대한 판단은 예비교사들의 내용교수지식에, 부적절하다는 판단은 수학의 내용지식 측면에 의존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예비교사들은 각 맥락에 따른 그래프를 구성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교수학적 조건과 상황을 언급하며 그래프 구성 맥락의 적절성을 주장한 반면에, 부적절성에 대해서는 각 맥락에 내포된 수학 개념의 본질과 논리적 관계들을 언급하였다.

예비교사의 수리논술 평가문항 개발과 평가 기준 설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pre-service teachers' development of assessment items and standards in a mathematical essay course)

  • 이동근;최상호;김동중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7권4호
    • /
    • pp.541-563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이 수리논술과목을 통해 수학적 과정을 경험하고 평가문항 및 평가기준을 개발하는 교육과정이 예비교사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여 향후 교사교육에 시사점을 주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서울 K대학교 수리논술 수업을 수강하는 49명의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수리논술 문항개발측면과 그 문항에 대한 평가 기준 설정 과정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들이 개발한 수리논술 문항은 수학적 과정의 요소를 반영하고 있었고 특히, 그룹토의 및 중 고등학생의 응답을 보고 문항을 수정할 때는 문항의 난이도, 수학적인 추측을 통한 정당화와 문제 해결 과정을 논리적으로 서술하는 것을 고려하여 수정하는 특징을 보였다. 둘째, 예비교사들은 대부분 분석적 평가 기준표를 개발하였고, 문항의 평가 기준표를 만들고 학생의 반응을 통해 수정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결과보다는 문제해결을 중시하고 학생의 예상치 못한 풀이방법을 고려하는 등 수학적 과정을 고려하는 평가기준을 설정하였다고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교사양성교육에서 수학적 과정 평가 경험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수리논술 수업을 계획하고 실행하는데 구체적인 방법론에 시사점을 제시한다.

  • PDF

예비수학교사의 AI 소양과 SW 역량 계발에 관한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Development of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 김동화;김승호
    •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 /
    • 제39권2호
    • /
    • pp.93-117
    • /
    • 2023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pre-service math teachers' characteristics of education to develop their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and to derive some implications. We conducted a 14-hours AI and SW education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s with theory and practice, and an analysis on class observation data, video frames of classes and interview, Python programming assignments and papers. The results of this case study for 3 pre-service teachers are as follows. First, two students understood artificial neural network and deep learning system accurately, furthermore, all students conducted a couple of explorations related with performance improvement of deep learning system with interest. Second, coding and exploration activities using Python improved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as well as SW competency, which help them give convergence education in the future. Third, they responded positively to the necessity of AI literacy and SW competency development, and to applying coding to math class. Lastly, it's necessary to endeavor to give a coding education to the student's eye level according to his or her prerequisite and to ease the burden of student's studying AI technology.

수학 과제 분석을 통한 예비 초등 교사의 전문성 신장 (Professional Development of Prospective Elementary School Teachers by the Analysis of Mathematical Tasks)

  • 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465-482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pre-servic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articipate in a course specifically designed to help them learn how to analyze instruction in terms of the levels of cognitive demand of mathematical tasks. This paper describes what prospective teachers learned while reading the cases of "implementing standards-based mathematics instruction", analyzing all tasks of one unit in one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 observing master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as well as their colleagues during the practicum period, and developing their own cases on the basis of the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 focused on mathematical tasks. This paper includes various reflections of the prospective teachers.

  • PDF

초등학교 교직수학에 관한 연구(2) - 교육대학교 교양수학 교재 분석 및 초등학교 교직수학 교수요목 탐색 (A Study on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part 2) - An Analysis of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and Groping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 정은실;박교식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0권1호
    • /
    • pp.115-137
    • /
    • 2000
  • In this paper, we tried to analyze 7 textbooks for liberal mathematics in elementary teacher's colleges in Korea and 3 foreign textbooks (2 American textbooks and 1 Japan textbook) which are believed to be used for pre-service education. We tried also to analyze in 3 lesson plans in homepages of Japan teacher's colleges. Next we tried to grope for syllabus of Mathematics for Elementary Teachers, and we suggested one syllabus. But we think that syllabus as a tentative one. So, it must be criticized by other researchers to be better one.

  • PDF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 설계에 대한 연구 (On the design of a cyber mathematics mentoring system)

  • 조한혁;송민호;진만영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3권2호
    • /
    • pp.313-325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멘토와 학습자 사이에 멘토링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의 설계를 다룬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활동을 고려하여 학생들의 흥미, 참여와 학습 동기를 유도하는 다양한 장치들에 대하여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그러한 장치들을 사용하여 설계된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을 소개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이버 수학멘토링 시스템이 학습자와 멘토, 예비수학교사 및 현직교사에게 주는 의미에 대하여 논한다.

  • PDF

국내 수학 교사교육 연구의 동향 분석: 2000년 이후 게재된 한국수학교육학회의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Domestic research trends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Focused on the journals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 선우진;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8권1호
    • /
    • pp.121-138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trends of domestic research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terms of the period, topics, methods, subjects, and mathematics content strand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220 research articles dealing with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analyzed, which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0 by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s Education in the three journals: (a) The Mathematical Education; (b) Education of Primary School Mathematics; and (c)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Regarding the period when the research was conducted, the number of articl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has been rapidly increased since the late 2000s. Regarding the topics, research on teacher orientation has been the most frequent topic and the studies dealing with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teachers, teaching practices, or teacher knowledge tend to be popular. Regarding methods, survey and case study have been most frequently employed in studying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Regarding subjects, the main participants were in-service teachers, pre-service teachers,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spectively, who were in charge of a regular class. Finally, regarding mathematics content strands, previous studie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were not specific to mathematics content strands. Given these results, this paper closes with important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directions on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in Korea.

함수의 연속과 연속확률변수 개념에 대한 교수·학습적 고찰 (Teaching and Learning of Continuous Functions and Continuous Random Variables)

  • 윤용식;이광상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35-155
    • /
    • 2019
  • One of the reasons students have difficulty in studying probability is that they do not understand the meaning of mathematical terms precisely. One such term is a continuous random variable. Students tend not to think of the accurate definition of continuous random variables but to understand the definition of continuity of functions and the meaning of continuity in probability as equal. In this study, we try to explore the degree of pre-service teachers' understanding on the concept of continuation of functions and continuous random variables. To do this, the questionnaire items related to continuous random variables and continuity of functions were developed by experts and examined by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is, we make suggestions on implications for teaching and learning about continuous random variables.

ChatGPT를 활용한 예비교사의 수학수업설계 분석 (An Analysis of Pre-service Teachers' Mathematics Lesson Design Using ChatGPT)

  • 이유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7권3호
    • /
    • pp.497-516
    • /
    • 2023
  •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ChatGPT에 대한 인식과 ChatGPT를 활용하여 구안한 수업설계의 특징을 분석함으로써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수업설계역량 신장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의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ChatGPT를 활용하여 작성된 수업설계지를 수학수업의 설계 요소, 대화 및 정보 처리 유형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예비교사들은 ChatGPT 활용에 다소 소극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보이며, 교사의 중재 가능성과 ChatGPT의 특성이 ChatGPT 활용에 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예비교사들은 주로 동기유발 활동과 배운 내용을 적용하는 놀이 활동에 ChatGPT를 활용했으며, 개인마다 ChatGPT를 활용하는 수준, 즉 ChatGPT와의 대화 양상과 정보 처리 양상에 차이를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토대로 ChatGPT를 활용한 교사의 전문성 신장 및 교사 교육에 대한 가능성을 탐색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