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s item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A NEW INDEX OF DIMENSIONALITY - DETECT

  • Kim, Hae-Rim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B:순수및응용수학
    • /
    • 제3권2호
    • /
    • pp.141-154
    • /
    • 1996
  • A data-driven index of dimensionality for an educational or psychological test - DETECT, short for Dimensionality Evaluation To Enumerate Contributing Traits, is proposed in this paper. It is based on estimated conditional covariances of item pairs, given score on remaining test items. Its purpose is to detect whatever multidimensionality structure exists, especially in the case of approximate simple structure. It does so by assigning items to relatively dimensionally homogeneous clusters via attempted maximization of the DETECT over all possible item cluster partitions. The performance of DETECT is studied through real and simulated data analyses.

  • PDF

컴퓨터기반수학평가(CBAM)의 문항 제작 가능성 탐색: 동적 기하소프트웨어 환경에서 PISA2012 또는 2015 울타리 문항을 중심으로 (Exploring of the Possibility to Construct the Items for Computer-based Assessment in Mathematics : Focused on Fence Items in PISA2012 or 2015 within an Environment of Dynamic Geometric Software)

  • 이서빈;김선호;고상숙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3호
    • /
    • pp.325-344
    • /
    • 2017
  • PISA2006부터 부분적으로 도입된 컴퓨터기반 평가가 PISA2015부터 전면 도입됨에 주목하고, 앞으로 4차 산업혁명시대로 나아가는 시점에서 컴퓨터기반 수학 문항 제작을 위한 가능성을 조사하여 교사교육의 현주소를 파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 PISA의 문항을 포함하여 컴퓨터기반 평가에 관한 문헌들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컴퓨터기반 문항 중 PISA의 울타리 문항을 GSP로 구현한 후 지필평가에서의 환경과 가장 다른 점인 Dragging 활동을 중점으로 그 특성인 종속성, 불변성, 경로에 대해 조사하였다. 특히 평가에서도 컴퓨터 환경의 장점인 개방형문제로의 확장이 가능함을 시사하였다.

  • PDF

한국 초등학생들의 성차: TIMSS 2011 2015 수학 학업성취도 평가를 통한 분석 (Gender differences in Korean elementary students: An analysis of TIMSS 2011 and 2015 fourth grade mathematics assessment)

  • 황성환;여승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3호
    • /
    • pp.217-235
    • /
    • 2020
  • 본 연구는 TIMSS 2011와 2015 수학 성취도 평가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4학년 남녀 간의 성차가 드러나는 문항들을 내용과 인지영역에 따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성차가 유의미하게 차이나는 20% 문항들에서 내용 영역별 성차를 보면 남학생은 수와 측정영역에서 여학생은 도형영역에서 상대적으로 우위에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지 영역별 성차를 보면, 남학생이 지식, 적용, 추론 영역에서 여학생보다 상대적인 우위에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현직 수학교사 문항 개발 연수의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 효과 (The Effectiveness of the Training Program to Improve Mathematics Teachers' Professional Competency of Developing Assessment Instrument)

  • 최지선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4권2호
    • /
    • pp.253-267
    • /
    • 2014
  • 교사의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은 자동적으로 개발되지 않으며 실습을 통해서 개발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평가 문항 개발 연수가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에 효과에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연수에 참여한 수학 교사들이 문항 개발에 대한 실습을 할 수 있도록 연수 과정을 구성하였고, 연수 전과 후로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평가지, 문항 검토 의견서를 작성하게 하고, 연수 후에 일부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수를 평가하도록 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첫째, 교사들이 스스로 판단하기에 문항 개발 연수는 평가도구 개발 전문성 향상에 효과가 있었다. 특히 표준화 검사에 대한 이해와 문항의 난이도와 변별도에 대한 이해가 증가하였다. 둘째, 구체적인 근거를 제시하여 검토 의견을 제시하는 비율이 증가하였다. 셋째, 짧은 연수시간은 연수의 효과를 저해하는 요인이었고, 팀내 토론과 팀간 토론 과정, 강사의 피드백, 적극적인 참여와 전문성 부족의 자각은 효과적인 요인이었다.

  • PDF

Rasch 모형을 활용한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의 심리측정적 특성 분석 및 수정: 개인 효능감 요인을 중심으로 (A Psychometric Analysis and Revision of th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Beliefs Instrument Using the Rasch Model: Focusing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 황성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4권1호
    • /
    • pp.1-18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교수 효능감 측정 도구(MTEBI)의 심리측정적 특성을 탐색하고 한국 초등 교사들에게 사용할 수 있게 측정 도구를 수정하는 것이다.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MTEBI 중 개인 효능감 요인만을 분석하였다. 299명의 초등 교사들의 설문자료를 Rasch 모형을 이용하여 일차원성 가정, 응답범주 적절성, 문항 난이도 적절성, 분리지수와 신뢰도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5점 범주로 된 13개 문항은 심리측정적 측면에서 몇 가지 문제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후속 분석에서 5점 범주 대신 4점 범주로 수정하였으며 5개의 문항을 삭제한 후 8문항을 사용해 심리측정적 특성을 재분석하였다. 그 결과, 수정된 측정 도구는 초등 교사들의 수학 교수에 대한 개인효능감을 타당성 있게 측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추가 논의하였다.

미국의 선다형 문항 적용을 통한 우리나라 초등 교사의 수학을 가르치는데 필요한 지식 분석 (Adapting U.S. Multiple-choice Items to Measur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Korea)

  • 권민성;남승인;김상룡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8권4호
    • /
    • pp.399-417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adaptability of U.S. multiple-choice items to measure Mathematical Knowledge for Teaching (MKT) in Korea. For this purpose, the authors selected the number and operations form B which was developed by Learning Mathematics for Teaching (LMT)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Michigan and then adapted items in terms of general cultural context, school cultural context, mathematical substances, and language in Korea. The survey was administrated to 77 Korean in-service teachers who had more than three years of teaching experiences. Based on the survey, the authors compared the data to that of U.S. teachers who had participated California's Mathematics Professional Development Institute. As a result, the survey measures less knowledge Korean teachers than more knowledgable Korean teachers and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of relative item difficulties between Korean teachers and U.S. teachers for both Content Knowledge (CK) items and Knowledge of Content and Students (KCS) items. This study implies the future direction for developing items to measure teacher knowledge as well as designing effective teacher education programs.

  • PDF

수학불안 대처행동 척도개발을 위한 연구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ping Behavior Scale to Mathematics Anxiety)

  • 이세나;이승훈;한석실
    • 아동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51-63
    • /
    • 2008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develop an scale to measure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Of the first 45 items selected from a review of literature, 33 items were selected by content validation, modification and revision. Validity, reliability, and item discrimination was based in responses of 1,831 subjects.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Cronbach's, $\alpha$,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s, and t-test. The resulting Scale of Children's Mathematics Anxiety Coping Behavior consisted of 26 items with 5 factors : active problem-solving, aggressive emotion expression, aversive coping, passive coping, and seeking social support. Cronbach's $\alpha$ ranged from .67 to .86 for five factors. T-test showed the 26 items of the scale to be discriminant.

  • PDF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물리 전공 선발 문항 분석 (Item Analysis for Selecting Science Gifted Middle School Students at Physics Class)

  • 임춘우;박윤배
    • 영재교육연구
    • /
    • 제20권1호
    • /
    • pp.61-77
    • /
    • 2010
  • 본 연구는 영재선발도구로서 지필 검사 문항의 적합성에 대한 검토를 위해 과학영재교육원 중학교 물리 전공 학생 선발에 지난 3년간 사용된 문항들을 대상으로 문항 분석을 하여, 새로운 전형방식에 주는 교훈을 얻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분석결과, 객관형 문항의 평균 문항 난이도와 변별도는 대체로 양호한 편이었으나, 교과 및 내용별로 차이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술형 문항이 객관형 문항에 비해 어렵게 출제되었으며, 변별력이 높았던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정 문항들과 총점과의 상관관계에서 객관형 문항의 경우는 수학과 물리, 화학 문항들과, 과학영재성 및 창의성 문항들에서 가장 높은 상관이 나왔으며, 서술형 문항이 객관형 문항보다 총점과 의 상관이 더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선발 시험에 응시한 학생들 가운데서 다른 영재교육기관에서 영재교육을 받은 학생과 그렇지 않은 학생들의 차이를 t 검증으로 분석한 결과, 영재교육을 받은 적이 있는 학생들의 총점 평균이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서술형 문항에서는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국제 수학·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 분석을 위한 국가 수준 진단평가 모형 탐색 (An Investigation of a Country-Level Diagnostic Assessment Model for the TIMSS)

  • 박찬호
    • 비교교육연구
    • /
    • 제28권5호
    • /
    • pp.1-19
    • /
    • 2018
  •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와 같은 교육평가의 목적은 국가와 같은 집단을 비교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평가의 단위가 학생보다 상위 수준일 때 집단을 비교하기 위해서는 다층 문항반응이론 기반의 집단 수준 진단평가 모형을 고려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Park과 Bolt(2008)가 제안한 문항특성모형을 수정하여 새로운 다층 문항반응이론 기반의 집단 수준 진단평가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수정된 모형은 2015년에 실시된 국제 수학 과학 성취도 추이 연구의 8학년 수학 평가 자료에 적용되었다. 그 결과 9개의 인지적 요소에 대한 국가들의 프로파일을 구할 수 있었다. 이 연구 결과는 국가 간 비교 또는 요소 간 상호 비교에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잔차항을 설명할 수 있도록 수정된 모형은 보다 높은 신뢰도를 지니며 국가 간 비교에 보다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예를 이용하여 연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수 있는지 제시하였으며, 연구의 제한점과 후속 연구에 대해서도 논의하였다.

수학과 중등임용 확률과 통계학 기출문항 분석 (An Analysis on the Past Items of Probability and statistics in Secondary School Mathematics Teacher Certification Examination)

  • 김창일;전영주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387-404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최근 4개년(2014~2017학년도)의 수학교과내용학 기출문항 가운데 확률과 통계학 문항을 분석 대상 문항으로 분류하고, 수학과 임용시험 문항 분석틀을 기반으로 분류된 문항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첫째, 확률과 통계학 교육과정의 정상화를 유도하기 위하여 4개 평가영역이 고르게 출제되어야 한다. 둘째, 통합적 사고, 종합 분석적인 사고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수학적 사고력과 논리적 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 발문이 사용되어야 한다. 넷째, 문항 수에 의한 출제 비율은 7.7%~10.0%이고, 배점에 따른 비율은 이 보다 낮은 5.0%~7.5% 사이로 출제되었다. 다섯째, 적정난이도 안정화 정책을 유지하고 있다. 여섯째, 확률과 통계학은 귀납적 관점의 문제해결력 측정을 해야 한다는 결론과 시사점을 얻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