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practice

검색결과 378건 처리시간 0.024초

Impact of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matter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their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Performance

  • Wong, Tak-Wah;Lai, Yiu-Ch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1호
    • /
    • pp.51-66
    • /
    • 2012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mpact of entry level of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on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and performance in mathematics teaching practice. The sample consisted of 24 mathematics student teachers, 12 of whom passed A-Level mathematics and 12 of whom only passed O-level mathematics. They were all studying in a 4-year bachelor of education (Honours/Primary) programme; they were either majoring or minoring in mathematics. Results showed that student teachers' entry-level mathematics subject knowledge is not related to their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development or their mathematics teaching performance. These findings may lead society to consider whether student teachers who have passed O-level mathematics are already eligible to be trained as professional primary mathematics teachers. As a consequence, this study raises the issues of how to develop student teachers' mathematic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whether we need to restructure our bachelor of education (Primary) programmes' curriculum in teacher professionalism.

초등학교 5학년 수학교실에서 교사와 학생의 정체성 분석 (A study on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신인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4권4호
    • /
    • pp.603-625
    • /
    • 2005
  • Identity is the concept which approaches individuals' affective problems with the social and cultural view. The previous studies on the problems, studied the attitudes, beliefs, or emotions while they restricted the problems to teachers or students' private problems. Otherwise, identities focus on individuals which participate to any community and share its social practices(Mclead, 1994). This study purposed to get an understanding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with an ethnographic view, while we consider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s as communities of practice. We analysed teacher's identitie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depending on her responses of the questions as following: How does she think about mathematics, what are the instructional goals in her mathematics classroom, how do students learn mathematics in her mathematics classroom. In addition, we analysed students' identitie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depending on their responses of the questions as following: What do students think of mathematics, do they like mathematics, why do they study mathematics, how do they feel their mathematics classroom(describe your classroom) and themselves in it(describe yourselves in your classroom), what are their duties and what do they do actually in their mathematics classroom.

  • PDF

우리나라 수학교육의 문제점 진단을 위한 조사 연구 (A Survey Research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D Korea)

  • 박경미;김동원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0권1호
    • /
    • pp.89-102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problems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by conducting an in-depth analysis of international comparative studies, a Delphi method, and a survey. Further analysis of TIMSS and PISA results also reveals several negative aspects of mathematics education practice in Korea. The mathematics education experts' opinions collected by Delphi method were classified into 12 categories: private education and test-driven education, curriculum and textbooks, lessons, evaluation, teacher, learner, teaching aid and facilities. affective aspects of mathematics, discrepancy between a theory and a practice, preservice/in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teacher employment test, education policy, and overall. Another survey was conducted to focus more on the development of curriculum which is a pending issue. Considering the fact that mathematics education should contribute to improve practical aspect as well as elaborate theoretical aspect, this study lays a foundation of improvement of mathematics education in Korea.

교사의 성별에 따른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태 차이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thematics Teachers' Gender Difference in Teachers' Perceptions of the Affective Domain in Teaching Practice)

  • 한혜숙;최계현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363-381
    • /
    • 2012
  • 본 연구의 목적은 수학 수업의 각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및 수업 실천에 있어서 교사의 성별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경기도 소재 중등학교 수학 교사 327명을 대상으로 수학 교수 학습 과정에서 정의적 특성의 중요도 및 수업 실태와 관련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에 의하면 여교사 집단이 남교사 집단에 비해 수업의 계획, 학생평가, 반성의 단계에서 정의적 특성에 대한 인식 및 실천에서 더 긍정적 반응을 보였고, 특히 가치인식 요소의 경우 수업의 모든 단계에서 여교사 집단의 평균이 남교사 집단보다 높게 나타났다.

초등학교 수학교실에서 사회적 관행과 정체성의 상호작용 분석 (A Study on Interaction between Social Practices and Ident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 권점례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46권4호
    • /
    • pp.389-406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learning mathematics in elementary mathematics classroom by considering mathematics as a kind of social practices and mathematics classroom as a kind of community of practice. The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ings: 1) Do the identities which teacher ha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influence the social practices form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identities which students ha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2) Do the social practices formed in mathematics classroom, and the identities which students has on mathematics and learning mathematics, influence the identities which teacher has on mathematics and teaching mathematics? This study was based on ethnomethodology. It was executed participation observations, interviews and surveys with teacher and 5 graders to collect the data for the social practices formed their classroom and their identities, and was analyz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We found the scenes that teacher's identities influenced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students' identities, and also the scenes that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students' identities influenced teacher's identities. So, we could know that there existed the interaction between the social practices of mathematics classroom and teacher and students' identities.

  • PDF

제논의 역설에 대한 철학적 검토를 통한 교육적 시사점 고찰 (A Study on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Zeno's Paradoxes through Philosophical Investigation)

  • 백승주;최영기
    • 한국수학사학회지
    • /
    • 제33권6호
    • /
    • pp.327-343
    • /
    • 2020
  • This study investigate philosophical discussions related to the Zeno's paradoxes in order to derive the mathematics educational implications. The paradox of Zeno's motion is sometimes explained by the calculus theories. However, various philosophical discussions show that the resolution of Zeno's paradox by calculus is not a real solution, and the concept of a continuum which is composed of points and the real number continuum may not coincide with the physical space and time. This is supported by the fact that the hyperreal number system of nonstandard analysis could be another model of a straight line or time and that an alternative explanation of Zeno's paradox was possible by the hyperreal number system. The existence of two different theories of the continuum suggests that teachers and students may not have the same view of the continuum.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real world model used in school mathematics may not necessarily match the student's intuition or mathematical practice, and that the real world application of mathematics theory should be emphasized in education as a kind of 'correspondence.'

초등학교 5-6학년군 수학 교과서에 제시된 교과 역량 분석 (An analysis of mathematics competenc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textbooks for fifth and sixth grade)

  • 김정원;방정숙;황지남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9권2호
    • /
    • pp.147-166
    • /
    • 2020
  • 2015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강조하는 역량이 제대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역할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 수학 교과서에 수학 교과 역량이 어떻게 반영되어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교과서에는 의사소통을 강조하는 활동 및 문항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추론, 문제 해결, 창의·융합, 태도 및 실천, 정보 처리의 순으로 드러났다. 또한 역량별 하위 요소를 분석한 결과 특정 하위 요소가 강조되어 각 역량이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교과 역량 및 교과 역량의 하위 요소의 구현이 서로 관련되어 이루어진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본 연구를 통하여 교과서를 통하여 교과 역량의 실행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익힘책에 제시된 '이야기 마당'에 대한 고찰 (A Note on the 'Story Corners' in Third Grade Mathematics Practice Activity Books)

  • 백대현;이진희
    • 대한수학교육학회지:학교수학
    • /
    • 제14권4호
    • /
    • pp.553-564
    • /
    • 2012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3, 4학년 수학 익힘책에는 학생들이 수학에 흥미를 느끼게 하고 학습한 내용과 관련된 이야기를 풀어보기 위하여 '이야기 마당'이 신설되었다. 본 논문은 초등학교 3학년 수학 익힘책에 제시된 이야기 마당의 활용 방안에 따른 내용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이야기의 내용이 해당 단원의 학습 내용과 관련이 없는 경우, 학습자의 수준에서 이야기의 내용 또는 문제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학습자의 수준에서 이야기의 내용 또는 문제를 이해하기 어려운 경우, 제시된 문제가 해당 단원의 학습 내용과 관련되지 않은 경우가 나타났다.

  • PDF

초등학교 교사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활용 실태 및 인식 조사 - 초등학교 1.2학년을 담당한 교사들을 대상으로 (A Survey of the Use and Conception of Mathematical Communication: Focused on Teacher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 김상화;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4권2호
    • /
    • pp.147-164
    • /
    • 2011
  • 2007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에서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부각하였는데, 현재는 모든 학년에서 이 교육과정이 시행되고 있다. 학생들의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을 신장하려면 교사가 그 취지를 제대로 이해하여 수업에 적용해야할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수학을 가르친 교사들을 중심으로 수학적 의사소통을 고려한 수업에 대한 실태와 인식이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학생중심 수업과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올바른 이해가 부족하였고, 다양한 표현 활동이나 토론 활동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학급당 학생 수가 많아서 수학적 의사소통이 활발한 수업을 하기 힘들다는 인식이 많았으나 실제 활용 실태에서는 학급당 학생 수에 따른 답변에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위한 인식의 개선이나 교사의 역할에 대한 시사점을 찾아보았다.

대학 기초수학 교과목 수준별 학습지도 개선 방안 (Improvement strategies of teaching methods for university basic mathematics education courses by ability grouping)

  • 박준식;표용수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7권1호
    • /
    • pp.19-37
    • /
    • 2013
  • P대학에서는 수학 기초학력 부진학생들의 문제해결력 향상과 학업성취도 고양을 위하여,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을 개설하고 있다. 이 교과목은 미적분학의 선수과목으로 운영되며, 수준별 학급을 편성하여 다양한 학습 자료를 활용한 발표 중심의 수업을 진행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한국공학인증 지원을 위해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강의 포트폴리오를 제출한 30개 학급에서 수강한 1,106명의 취득 성적과 및 강의평가 결과를 분석하였다. 아울러, 각 담당교수가 제출한 강의 포트폴리오의 강의개선 보고서를 기반으로 기초수학및연습 교과목의 수준별 학급 운영에 대한 유의점과 그 개선방안을 찾아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