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achievement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4초

문제중심학습이 중.상위권 학생의 학업 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on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Attitudes of the Middle and High Class Students)

  • 김문희;권혁진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2권2호
    • /
    • pp.171-193
    • /
    • 2009
  • 수학 능력을 평가하는 국제적인 시험 평가에서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 성적은 상위권에 속해 있으나, 수학 교과에 대한 선호도 및 자신감과 같은 정의적인 측면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문제해결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성주의 학습이론에 바탕을 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성취수준에 맞게 학습 목표를 재구성하여 고등학교 중 상위권 학생들에게 적용한 후, 문제중심학습 지도 방안이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교과에 대한 수학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학업성취도 및 수학적 태도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수학적 태도 검사의 하위 영역중의 하나인 학생들의 자아개념 분석에서는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으나 실험집단의 자아개념 평균 점수는 문제중심학습 실험 전 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젓으로 나타났다.

  • PDF

초등수학에서 상호글쓰기 활동의 효과 분석 (Effects of Students' Collaborative Writing Activities in Elementary Mathematics)

  • 이선명;최창우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5권1호
    • /
    • pp.57-75
    • /
    • 2011
  • 본 연구는 초등수학 5-나 단계의 수와 연산 영역, 도형 영역, 측정 영역에서 수학적 글쓰기의 한 방법인 상호글쓰기3) 활동이 학생들의 수학 학업성취도 및 성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행된 실험연구이다.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 달서구에 소재한 J초등학교 5학년 2 개 학급(실험집단 : 31명, 비교집단 : 31명)을 대상으로 약 6주간 수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학 학업성취도 및 성향을 측정하는 두 검사도구를 선정하여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사전검사의 분석 결과 두 집단은 동질집단이었고 사후검사는 연구문제 1과 2의 효과를 확인하는데 사용되었으며 검사결과는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상호글쓰기 활동은 학업성취도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통계적으로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수와 연산 영역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수학적 성향의 하위 영역인 수학적 자신감, 융통성, 의지, 호기심, 반성, 가치 모두에 있어서 긍정적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학 기피유형의 분류 및 수학 성취 수준과의 상관성 연구 (Math-disliking Types and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Mathematical Achievements and Them-Focused on the 8th Graders)

  • 김영국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33-50
    • /
    • 2007
  • 우리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자신감이나 호감과 같은 정의적 요인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 정도는 국제적인 비교를 통해서 드러난 바와 같이 매우 낮은 실정이다. 그런데 학생들의 수학에 대한 정의적 태도는 그들이 왜 수학을 기피하는가 하는 이유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를 정확히 파악 할 수 있다면 문제의 해결을 위한 효율적인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훨씬 수월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이 수학을 싫어하는 이유에 대해서 요인분석을 통하여 수학 기피유형을 설정하고 개별 학생들의 수학 기피유형을 판정하기 위한 검사 도구인 '수학 기피유형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수학 성취수준과 이들 수학 기피유형사이의 상관계수를 조사 분석함으로써 이 도구의 활용법과 함께 수학 성취수준별, 성별 차이에 따른 학생들의 수학 기피경향에 관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PDF

Assessing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Spatial Ability: The Relationship with Mathematics, Gender, and Grade

  • Park, Sung Sun;Yoon, So Yoo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91-106
    • /
    • 2012
  • Spatial ability has been valued as a talent domain and important skill in mathematics education because it enhanced an intuitive view and an understanding in many areas of mathematic. In addition, spatial ability highly correlates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indicating its crucial role in success in mathematics education. Some researchers founded gender differences in mathematics and spatial ability, and indicated that spatial ability served as a mediator of gender difference in mathematics. This study explored the spatial ability of 349 Korean middle school students (Grade 7-9), and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among students' spatial ability and their mathematics achievement, gender, and grad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spatial ability correlates positively with mathematics achievement. While gender difference did not exist in mathematics,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 existed in spatial ability favoring male students.

Investigating the relation between secondary school students' achievement in forming and solving equations

  • Ertekin, Erhan;Yazici, Ersen;Delice, Al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3권2호
    • /
    • pp.171-180
    • /
    • 2009
  • This study investigates relationships between 7th and 8th grade students' achievements in forming and solving equations of. Study was conducted on randomly selected 7th and 8th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s in Konya City, Turkey. 145 students (99 female, 46 male) participated in the research. Data were collected by an 'Equation Test'. The test which is suitable for equation types in 7th Grade Elementary Mathematics Curriculum. It wa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The relationships between achievements in forming and solving equations were examined by dependent samples t-test. The t-test results show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This difference is in the favor of equation solving (p>0.05). In other word, students are more successful in equation solving. In addition, students' achievements about different types of equations were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 that the students have the highest achievement in ax=b type and the lowest achievement in (ax+b)/c=(dx+e)/f type of equations.

  • PDF

Cross-Cultural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s and Motivation, Attitude and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 Pang, Ku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153-163
    • /
    • 2007
  • Utilizing the quantitative analysis methodology of questionnaire, the study explores the differences in the factors of achievement motivation, learning mathematics attitude and learning mathematics self-confidence and also the relationship between mathematics academic achievement and these factors in three areas in China. The following conclusions are drawn: 1. The subjects from different development level areas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in motivation, attitude and self-confidence in mathematics; 2. The subjects from different areas who possess the same ethnic group have significant differences. But the subjects from same area who possess different nationalities have little difference. It can be concluded that that the differences in these factors can be contributed to regional differences, rather than to ethnic differences; 3. The subjects from undeveloped areas have significant gender differences, and the levels of males are higher than those of female.

  • PDF

초등학교에서의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와 성취요소 설정 - D.R.O.C 유형을 중심으로 - (Standards for Promoting Mathematical Communication in Elementary Classrooms)

  • 김상화;방정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4권2호
    • /
    • pp.385-413
    • /
    • 2010
  •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수학과 교육과정의 목표에 새롭게 부각된 수학적 의사소통에 대한 중요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초등학교에서 구현 가능한 수학적 의사소통 목표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구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교사들이 이해하기 쉽도록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을 전달방식에 따라 담화, 표현, 조작, 복합으로 구분하였으며, 학생 수준에 따른 수준별 교수 학습이 가능하도록 수학적 의사소통 유형별로 저 중 고학년에 따른 성취요소와 목표를 설정하였다. 성취요소와 목표 설정에 있어 타당성을 높이고자 전문가와 현장 교사들의 의견을 수렴하였다. 전문가와 교사 집단의 의견 중 각각 10%이상 부적절하다고 응답한 경우 판단 이유를 파악하여 삭제하거나 수정하였으나, 일부 특정 요소의 경우 국제적 동향이나 선행연구를 토대로 이상적인 목표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될 경우 그대로 두거나 학년 이동만 한 것도 있다. 본 연구에서 설정된 초등학교 수학적 의사소통 성취요소와 목표는 수학교실에서 실질적으로 학생들의 다양한 수학적 의사소통을 돕고, 학생 수준을 파악하는데 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수학 학업성취의 불평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의 개발 (Development a Tool Which Can be Used in Factor Analysis of Inequality on Mathematics Scholastic Achievement)

  • 이강섭;박용범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321-330
    • /
    • 2007
  • 수학 학업성취의 불평등을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불평등성의 주요 요인이 무엇인지 분석하는 데 기초를 제공하고자 수학 학업성취에서 목표이탈의 척도로 사용할 수 있는 지수(성취 목표이탈 지수)를 개발하였다. 일반적으로 학업성취의 분석에서 가장 중요한 가정은 모집단 또는 자료의 분포가 정규분포를 따른다는 것이다. 이것은 분포에 대한 가정뿐만 아니라, 학업성취의 목표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학업성취의 측정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자료들의 분포는 정규분포와 차이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가정 또는 목표에 대하여 실제 자료가 이탈한 정도를 나타낼 수 있는 지수를 고안하였다. 즉, 학습목표를 나타내는 정규분포의 로렌츠곡선(정규로렌츠곡선)과 실제자료에 의한 로렌츠곡선(자료로렌츠곡선) 사이의 넓이를 정규로렌츠곡선과 x축 사이의 넓이로 나눈 값을 성취 목표이탈 지수로 정의하였다.

  • PDF

The Effects of Mastery Learning and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Learning Environment Organizations on Achievement and Attitudes in Mathematics

  • Guzver Yildiran;Emin Ayd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9권1호
    • /
    • pp.69-96
    • /
    • 2005
  • Motivation for learning is important for positive learning outcomes as well as for measured achievement levels. When students come to our classes, they bring with them learning histories in which we as individual teachers, most likely, did not have an input. Our students do not only bring with them different levels of prerequisite leanings but also different levels of affect for what they will be learning. If we leave their final learning at the mercy of these entry characteristics, a test given the first day before the course will have almost isomorphic results with their achievement levels on the last day. The ones who had 'it' on the first day will be the ones who in the future will also have 'it', not too different from what the present situation is all over the world. These circumstances will tend to be the case ad infinitum, unless of course, we want to change the situation. This research clearly shows that effective instructional methodologies coupled with cooperative peer interactions not only have an impact on achievement but also on positive attitudes toward one's learning.

  • PDF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 최원영;김혜경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A:수학교육
    • /
    • 제53권2호
    • /
    • pp.263-274
    • /
    • 2014
  • The purposes of the study are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academic achievement and satisfaction of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university calculus. First, we classified the tes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applied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to the test group. According to results,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s very effective in improving academic achievement. Second, the pre-survey and the post-survey were conducted to the test group. The survey contains five categories including 1) background of the participants, 2) learning objectives and expectation, 3) the intention of the continual learning Mathematics, 4) the individual self-efficacy, and 5) general Mathematics learning satisfaction. We found some facts from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 and post surveys. The learning satisfaction has improved after the reciprocal peer tutoring in the test group. Even though this trend has not changed regardless of sex, high school levels and teaching understan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