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hematical achievement

검색결과 477건 처리시간 0.022초

문제중심보완수업이 수학과 문제해결력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on raising achievement of mathematics underachievers)

  • 이혁재;임문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8권2호
    • /
    • pp.115-128
    • /
    • 2004
  • This study is based on the observation of preceded research that problem 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acquiring advanced mathematical knowledge but is not effective for rai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The treatment of this experimental research is named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because it adds an expository session to the original problem based instruction. The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ake sure that revised problem based instruction is effective in raising mathematical achievement of underachievers.

  • PDF

수능 응시 영역에 따른 대학 교양 수학 성취도 분석 (A Statistical Survey of the Freshmen's Math Achievement Level according to Subdivision Areas of KSAT)

  • 김영희;허민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20권4호
    • /
    • pp.523-535
    • /
    • 2006
  • We surveyed statistically the freshmen's achievement of the first year mathematics courses in Kwangwoon University, which were opened at the first semester of academic year 2006. In doing so, we classified the freshmen according to the Mathematical Area 'ga' or 'na' and the Natural Science or Social Science Area of Korean Scholastic Aptitude Test(KSAT) which they have chosen. We found that the freshmen who have chosen the Mathematical Area 'na' and the Social Science Area have the serious problem in studying the freshmen's math courses.

  • PDF

Environmental and Interpersonal Factors on Development of the Mathematically Gifted: Cases of International Mathematical Olympiad Winners from Korea

  • Choi, Kyong Mi;McAninch, Melissa;Jensen, Jessica;Susadya, Laurentius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2권3호
    • /
    • pp.175-201
    • /
    • 2019
  • Spending as much time outside of school as in school, gifted youth are affected by non-school aspects including parents, other family members, peers, mentors, mathematics competitions and camp participations. These influences have been known to shape children's intellectual development, academic achievement, interests, and eventually college and career choices. From interviews with five former Olympians from Korea to identify out-of-school influences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and development, we discovered, in addition to confirmation of previously identified factors, additional sources of positive influence seldom previously mentioned and more common to Korean culture were gleaned - mathematics workbooks and Ha-Gw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informative for teachers and parents who are interested in development of gifted youth in providing ways to accommodate their special needs and in showing how they can carefully individualize those sources to be positively affecting intellectual development as well as academic achievement.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다층구조방정식의 적용 (Exploring Effects of Elementary Teachers' Mathematics Instruction,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Student Mathematical Interest on Mathematics Achievement : An Application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 황성환;손태권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3권4호
    • /
    • pp.175-189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사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와 수학성취도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TIMSS 2015 한국자료를 다층구조방정식을 적용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학생수준에서 학생이 평가한 수학수업의 질은 학생의 수학 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학흥미는 수학성취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수학수업의 질이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수학흥미의 매개를 통한 총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수준에서 평균적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은 학생의 수학흥미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러나 수학수업의 질, 수학 교수효능감, 학생의 수학흥미가 학교의 평균적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으며, 수학수업의 질과 수학 교수효능감이 수학흥미의 매개 효과를 통해 학생의 수학성취도에 미치는 총효과는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Research on Gender Differenc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from the Views of Gender Socialization

  • Zhang, Xiaoui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4권3호
    • /
    • pp.299-308
    • /
    • 2010
  • The gender differenc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exists in many counties in the world. Some Chinese scholars think that the differences also exist in China. The researchers explain the gender differences of mathematics learning mainly from the individual psychology and education. This paper, firstly, introduces an investigation of the gender differenc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in grade 1-9 in three areas (Hefei urban area, Cuozhen area, and Chenji area) of Hefei in China. The investigation found that the gender differences of mathematics achievement exist but are different in these areas. Then, the results are explained from the theory of the gender socialization.

A Meta-Analytic Review of the Effectiveness of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Approach on Academic Achievement in Turkey

  • Bae, Yejun;Sahin, Ercin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24권3호
    • /
    • pp.175-199
    • /
    • 2021
  • The Science Writing Heuristic (SWH) approach is described as an immersive argument-based science inquiry focusing particularly on learning through epistemic practices. In the literature, several previous studies indicate how academic achievement is positively influenced by the SWH. In addition to these previous studies, several meta-syntheses of qualitative data have been conducted on this particular topic. With these literatures in mind, a quant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ten studies (N = 724)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SWH on student achievement in Turkey. To present a thoroughly detailed report, this study also examined the following moderators: grade level, subject area, school location, intervention length, and report source. Overall, this study found that in Turkey, the SWH classrooms performed better in academic achievement tests than traditional lecture-based classrooms. Additionally, the SWH is more likely to be effective regardless of grade levels, subject areas, and school locations.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through CGI and DMI

  • Lee, Kwang-Ho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D:수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127-141
    • /
    • 2007
  • This paper compares and analyzes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after experiences with the Cognitively Guided Instruction (CGI) or the Development of Mathematical Ideas (DMI) teaching strategies. This report sheds light on current issues confronted by the educational system in the context of mathematics teaching and learning. In particular, the declining rate of mathematical literacy among adolescents is discussed. Moreover, examples of CGI and DMI teaching strategies are presented to focus on the impact of these teaching styles on student-centered instruction, teachers' belief, and students' mathematical achievement, conceptual understanding and word problem solving skills. Hence, with a gradual enhancement of reformed ways of teaching mathematics in schools and the reported increase in student achievement as a result of professional development with new teaching strategies,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that emphasize teachers' understanding of students' mathematical comprehension is needed rather than the currently dominant traditional pedagogy of direct instruction with a focus on teaching problem solving strategies.

  • PDF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이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신념에 미치는 영향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mathematical beliefs through instruction using concepts learning hand-out)

  • 안종수
    •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 /
    • 제16권3호
    • /
    • pp.519-538
    • /
    • 2013
  • 본 연구는 고등학교 수학 I 의 각 단원에 대하여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이 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수학적 신념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구체적인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의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 향상에 효과적인가? 둘째, 수학의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은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가? 셋째, 수학의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에 대한 학생들의 반응은 어떠한 가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학업성취에 향상을 보여 주고 있다. 둘째,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수학적 신념 변화에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개념학습지를 활용한 수업에서 실험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하여 학습태도의 변화에 도움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PDF

초등학생의 공간시각화능력 및 수학성취도에 관한 연구 (Spatial Ability and Mathematical Achieve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 박성선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16권3호
    • /
    • pp.303-313
    • /
    • 2013
  • 공간능력은 수학의 직관적 관점과 수학적 이해 및 수학적 성취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한 능력으로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 5, 6학년 학생 1228명을 대상으로 공간시각화능력을 조사하였다. 이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공간시각화 능력과 수학성취도, 공간시각화 능력과 공간시각화 검사시간 사이에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공간능력은 남녀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며,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공간능력은 학년수준에서 4학년보다는 5학년이 높았으며, 5학년보다는 6학년이 더 높게 나타났다.

우리나라 중.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 측정 및 특성 분석 (Instrument Development and Analysis of Secondary Students' Mathematical Beliefs)

  • 김부미
    • 대한수학교육학회지:수학교육학연구
    • /
    • 제22권2호
    • /
    • pp.229-259
    • /
    • 2012
  • 본 연구는 우리나라 학생들의 수학적 신념을 간편하게 측정할 수 있는 표준화된 측정 도구를 문헌연구와 심리측정학적 분석을 바탕으로 수학교과에 대한 신념, 수학 문제해결 신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수학적 자아개념의 4개의 하위 요소로 구성하여 중학생용은 총 37문항으로, 고등학생용은 총 40문항으로 개발하였다. 그리고 대단위 표집 검사를 실시하여 우리나라 중 고등학생의 수학적 신념이 학교급별, 성별, 성취수준에 따라 어떤 특성이 나타나는지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중 고등학교 모두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학이 유용하다고 믿는 신념, 수학에서 과정보다 정답을 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믿는 신념, 많은 수의 문제를 푸는 것이 중요하고 믿는 신념 등이 강하게 나타났고, 중학교에서 고등학교로 진급하면서 수학적 자아개념 중 '감정' 요인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여학생은 중 고등학교 모두 수학 교수 학습에 대한 신념 중 '교사의 수업활동' 요인만이 남학생보다 강하였다. 성취수준이 '기초이하' 집단 학생들이 수학은 암기해야 하는 공식과 절차라거나 창의적 활동에 대한 기회를 제공하지 못한다고 생각하는 '고정관념'이 가장 강하였다. 그 외요인에서는 '우수' 집단 학생들의 신념이 강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