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terialistic love

검색결과 4건 처리시간 0.02초

솔 벨로우의 "죽음보다 더한 실연"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A study on Bellovian love in Saul Bellow's More Die of Heartbreak)

  • 이영애
    • 영어어문교육
    • /
    • 제12권4호
    • /
    • pp.235-251
    • /
    • 2006
  • This study aims to analyze what Saul Bellow wants to define "Love" in his recent work, More Die of Heartbreak. As a humanist, Saul Bellow is concerned about materialism in Post-modern age through his works. Today there are so many people that are hurt by the failure of love or experience heartbreak. We need to sense invisible danger all around us. We can find Bellovian love in More Die of Heartbreak. Bellow suggests that there should be "true love" between people, especially between men and women. But Kenneth Trachtenberg and Benn Crader have selfish and materialistic love. Kenneth had only a sensual desire for Treckie who is his daughter's mother. He cannot persuade Treckie to marry him. Benn, a middle-aged widower, peremptorily marries Matilda Layamon who is much younger than he. Unfortunately, the marriage brings him neither peace nor love. Benn recognizes his wrong conception of love through the death of Mrs. Bedell and Villitzer, and breaking off a marriage with Matilda. He decides to go to Antarctica. This is not an escape. This is his determination to save himself. At the North Pole he sets out to recover his gift of vision and redeem his fall from grace. He will desert his materialistic and absurd self. After the expedition, he will experience rebirth as an authentic human being who has acceptable eyes. Kenneth and Benn learn to conceive of love as one of man's strongest inner energies, for it is through love that you can penetrate to the essence of human being. In this study I try to define Bellovian love. In More Die of Heartbreak, love is a spiritual power that may even transfigure man.

  • PDF

사랑과 경제의 관계를 통해 본 이주결혼 (Love and Economy in Cross-border Marriages in South Korea)

  • 이재경
    • 여성학논집
    • /
    • 제26권1호
    • /
    • pp.183-206
    • /
    • 2009
  • 이 논문은 전 지구적으로 감정 자본주의가 확대되는 현상을 이주결혼의 맥락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감정, 사랑, 애정, 친밀성, 돌봄이 비물질적이고, 노동이 아니며, 자연스러운(natural) 여성성에 기반을 둔 역할이며, 경제의 영역과는 분리된 것이라는 근대적 신화(myth)는 결혼 산업, 감정 및 서비스 노동, 돌봄 산업 등이 증가됨에 따라 도전을 받고 있다. 이 논문은 문헌연구를 토대로 사랑과 친밀성에 대한 개인의 욕망과 경제적 필요가 상호 결합 또는 협상되는 방식을 논의한다. 구체적으로 1) 후기 근대사회에서 어떻게 사랑과 친밀성이 자본주의와 결합하는지 이론적 논의를 검토하고, 2) 한국사회의 맥락에서 결혼이 상업적으로 거래되는 현상을 논의한 후, 3) 상업적으로 거래되는 측면이 강한 결혼이라도 그 동기나 과정을 경제적 요인으로만 환원할 수 없다는 전제에서 이주결혼에서 사랑과 경제가 상호 결합되는 측면을 분석한다. 상호 분리되고, 일견 모순적인 것으로 보이는 사랑과 경제에 대한 분석은 후기 근대 친밀성과 한국가족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필수적인 과제이다. 그러나 사랑과 친밀성의 상업적 거래를 어떻게 평가할 것인가에 대한 고민은 여전히 해결되기 어렵다. 어떤 교환은 불가피하거나 혹은 필요하고, 어떤 교환은 우리 삶을 위협하는가에 대한 도덕적, 정치적 경계나 기준에 대한 논의는 향후과제로 남긴다.

오페라 $\ll$황진이(黃眞伊)$\gg$의 무대의상(舞臺衣裳) 디자인 연구(硏究) - 황진이(黃眞伊)의 내적(內的) 이미지를 중심(中心)으로 - (A Study on Stage Costume Design for Opera $\ll$Whangjinie$\gg$ - Focusing on Inner Image of Whangjinie -)

  • 신경섭
    • 패션비즈니스
    • /
    • 제4권2호
    • /
    • pp.127-140
    • /
    • 2000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and design stage costumes of Whangjinie focusing on inner image of Whangjinie, present stage costumes of new image. Four steps were taken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he first step was to investigate the old documents and prior research about literature world of Whangjinie. The second step was to analyze stage costumes of Whangjinie which were worn in opera, movie. The third step was to design and make the stage costumes according to new images Whangjinie which were extracted from above two research results. The new images of Whangjinie are as follows 1. Whangjinie as a kisaeng(professional entertainer) She thirsted for new, materialistic love though she failed in love everytime. 2. Whangjinie as a woman. She had a hard time by feeling an irresistible yearning for lover 3. Whangjinie as a poet. She expressed as a poetry her vanity and loneliness of life. Using above three images, this study designed four new stage costumes of Whangjinie and two designs of them were made really. But this study didn't present historic costume of her age but expressed modern mood in color and form.

  • PDF

금전(金錢)을 매개(媒介)로 한 사설시조(辭說時調)의 성담론(性談論) (A study on the Pecuniary mediated Sexual Discussion in Saseol Sijo)

  • 류해춘
    • 한국시조학회지:시조학논총
    • /
    • 제25집
    • /
    • pp.29-48
    • /
    • 2006
  • 인간의 삶을 반영하고 있는 사설시조에서는 애정과 관련된 재화(財貨)나 금전(金錢)이 등장하여 그 당대 사람들의 애정과 경제의 상관성을 보여주는 경우가 종종 있다. 주부란 한 가정을 이루며 살고 있는 가장의 아내로서 여성을 의미하는 말이라고 할 수 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물질문제나 금전문제는 물질적 궁핍을 강요하는 사회와의 투쟁이 드러나지 않고 오락성이나 유흥성의 측면에서 재화나 금전의 과소비를 추구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때 나타난 사설시조의 성담론은 여성의 성적억압을 상상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욕망의 투사체이거나 혹은 대리 만족으로 여성의 성적 욕망을 다루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조선후기 우리 사회의 풍류방이나 유흥의 산물로 흥행한 사설시조에 담겨있는 주부의 모습은 유교적 질서가 확고했던 조선시대에도 여성이 가정 내에서 그 역할이 점차 변해가고 있었으며 현대 사회의 주부들 못지 않게 자유롭고 발랄한 성담론을 구사하고 있었다. 사설시조에 나타난 금전을 매개로 한 주부들의 성담론이라는 주제는 현재 무너져 가는 가족관계와 천민자본주의 그리고 성(性) 산업의 노예가 되고 있는 21세기 현대인들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고 할 수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