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ticatory function

검색결과 202건 처리시간 0.028초

완전 무치악 환자에서 Locator® system을 이용한 임플란트 피개의치 수복 증례 (Implant Supported Overdenture using Locator® System on Edentulous Patient)

  • 이상엽;신수연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4권4호
    • /
    • pp.351-359
    • /
    • 2008
  • 임플란트의 도입으로 악골이 흡수된 무치악 환자의 보철 치료에 획기적인 변화가 가능해졌다. 특히 하악 무치악 환자의 경우 2개의 임플란트에 의해 유지를 얻는 피개의치가 일반적인 총의치의 대안으로 자리잡았으며 첫 번째로 고려되어야 할 치료 방법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본 증례는 상하악 완전 무치악 환자로서 상악에는 일반적인 총의치, 하악에는 2개의 임플란트를 식립하고 $Locator^{(R)}$ Attachment를 사용하여 수복한 임상과정 및 결과에 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Orthodontic tooth movement after periodontal regeneration of intrabony defects

  • Conchita Martin;Mariano Sanz
    • 대한치과교정학회지
    • /
    • 제54권1호
    • /
    • pp.3-15
    • /
    • 2024
  • The prevalence of intrabony defects in patients with advanced periodontitis stages III and IV is high. These patients usually need both periodontal treatment and orthodontic therapy, including tooth movement through bone defects, to improve masticatory function, aesthetics, and overall quality of life. Clinical practice guidelines recommend periodontal regenerative surgical interventions to resolve these defects and propose initiating orthodontic tooth movement (OTM) once periodontal therapy goals have been met. Surgical interventions using various regenerative technologies like barrier membranes and enamel matrix proteins, combined or not with bone replacement grafts, have proven effective in regenerating lost periodontal tissues. However, the combination of periodontal and orthodontic treatments requires consideration of how periodontal regenerative therapies influence OTM. Studies suggest that regenerated bone may differ in density, composition, vascularity, and cellular activity, potentially affecting the speed and efficiency of OTM, and potential root resorption of moved teeth. Understanding the sequence and timing of implementing OTM after regenerative periodontal interventions is crucial due to their interlinked processes of bone resorption and formation. This narrative review aims to uncover scientific evidence regarding these combined treatments, examining the impacts of different regenerative technologies on OTM and delineating their advantages, limitations, and best practices.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미치는 효과 (Effect of 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n Oral Motor Function in Stroke Patients)

  • 손영수;민경철;우희순
    • 재활치료과학
    • /
    • 제12권4호
    • /
    • pp.135-151
    • /
    • 2023
  • 목적 : 본 연구는 구강운동촉진기술(oral motor facilitation technique, OMFT)이 뇌졸중 환자의 구강운동 기능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방법 : 연하장애를 동반한 뇌졸중 환자 72명을 대상으로 시행되었다. 실험군과 대조군은 난수표를 활용하여 36명씩 무작위로 분류하였고, 두 그룹 사전-사후 검사 설계로 진행되었다. 실험군은 OMFT 중재를, 대조군은 전통적 연하재활치료를 각각 30분간 1일 1회, 주 5회로 4주 동안 총 20회기 적용하였다. 구강운동기능 평가를 위해 포괄적 구강안면기능척도(Comprehensive Oro-Facial Function Scale, COFFS)를 사용하였고, 기간별 치료 효과 확인을 위한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ANOVA), 두 그룹간 변화량 차이 분석을 위해 독립표본 t-검정(independence t-test)을 시행하였다. 결과 : 두 그룹 모두 COFFS의 총점이 향상되었다. 실험군은 아래턱 및 입술 움직임, 볼 부풀리기, 혀 움직임에서 유의한 변화가 나타났다. 또한 저작 분포도, 음식물 유출, 고체형 및 액체형 음식 삼킴, 목소리 변화 항목에서 치료 기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아래턱 벌리고 닫기 항목에서 두 그룹 사이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결론 : OMFT가 뇌졸중으로 인한 연하장애 환자의 구강운동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임상에서 기초적인 근거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노인의 의치관련특성, 의치만족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Analysis of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geriatric denture-related characteristics, denture satisfaction, and GOHAI)

  • 권영옥;최미숙;이종화;윤현경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2권4호
    • /
    • pp.399-407
    • /
    • 2014
  • 본 연구는 노인의 의치 관련 특성, 의치 만족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노인의 구강건강 증진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경북지역 안동시, 영주시, 의성군에 거주하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2013년 3월 25일부터 5월 9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의치만족도는 의치고정만족, 발음심미만족, 저작기능만족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노인의 의치관련 특성, 의치만족도, 구강건강관련 삶의 질 간에 인과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효과적인 의치사용과 관리를 위한 노인구강보건교육과 노인 구강건강상태 인식수준을 향상 시킬 수 있는 제도적 및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일정한 간극으로 새롭게 고안된 완압형 볼 어태치먼트를 이용한 피개의치 수복 (Overdentures using newly designed metal ball attachment containing predetermined gap with stress breakers)

  • 유진주;김만용;윤준호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11-318
    • /
    • 2017
  • 임플란트 지지 혹은 유지 피개 의치에서 다양한 종류의 유지 장치가 사용되어 왔다. Locator는 stud type의 유지 장치 중 하나로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그 matrix는 탄성을 가지며 쉽게 마모되는 경향이 있어, 보철물 장착 후 빈번한 유지 관리가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새로운 유지 장치의 도입이 요구되었다. 본 증례에서는 새로운 ball type 유지 장치인 Air Gap attachment (AGA)를 이용한 피개의치로 수복한 증례를 보고하고자 한다. AGA는 금속으로 제작되어 다른 탄성 유지 장치에 비해 마모 저항성이 높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치가 움직일 때 일정한 간극을 통해 움직임을 허용함으로써 stress breaker로의 역할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또한 기존에 식립된 임플란트와 자연치 모두 AGA와 연결이 용이하여 다른 unsplinted type의 유지 장치를 대체할 수 있다. AGA를 이용한 피개의치에서 기능, 심미 및 유지력의 면에서 만족할 만한 결과를 얻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며, 장기간의 경과 관찰을 요한다.

GABAergic Synaptic Input to Mesencephalic Trigeminal Neurons in Rat

  • Ryu, Hyo-Chel;Piao, Zheng Gen;Choi, Se-Young;Lee, Sung-Joong;Park, Kyung-Pyo;Kim, Joong-Soo;Oh, Seog-Bae
    • International Journal of Oral Biology
    • /
    • 제30권2호
    • /
    • pp.71-76
    • /
    • 2005
  • The mesencephalic trigeminal nucleus (Mes V) contains cell bodies of primary afferent sensory neurons that relay proprioceptive information from the periodontium and masticatory muscles and function as typical sensory neurons or potentially as integrative interneurons. In the present study, we studied these two potential functions using combined experimental approaches of retrograde labeling and whole cell patch clamp recording. Mes V neurons that presumably originate from periodontal nerve fibers in subsets of Mes V nucleus were identified by retrograde labeling with a fluorescent dye, DiI, which was applied onto inferior alveolar nerve. These cells were elliptical perikarya shaped cells about $40{\mu}m$ in diameter. In these neurons, we measured high voltage-activated calcium channel (HVACC) currents. $GABA_B$ agonist, baclofen, inhibited calcium currents, and the HVACC currents inhibition by baclofen was voltage-dependent, exhibited prepulse facilitation, indicating that it was mediated by $G_i/_G_o$ protein. Taken together,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Mes V neurons not only have cell bodies originating from periodontium, but also receive synaptic inputs including GABAergic neurons suggesting that Mes V neurons function as both primary sensory neurons and integrative interneurons.

마모된 치열을 지닌 고령 환자의 상악 전악 고정성 수복 증례 (Maxillary full-arch fixed dental prosthesis of the elderly patient with worn dentition)

  • 이재현;최연조;류재준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33권2호
    • /
    • pp.154-162
    • /
    • 2017
  • 노인 환자 구강의 생리적 변화 중 하나인 생리적 치아 마모는 일반적으로 치료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교합 부조화, 저작기능의 저하, 치수 노출 등 구강 내 문제 발생 시 보철 수복을 필요로 한다. 마모된 치열을 지닌 환자의 보철 수복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사항들 중 하나가 바로 수직고경에 대한 고려이다. 이에 정확한 진단 및 분석과 예지성 있는 치료계획을 위한 악간관계에 대한 올바른 판단이 요구되며, 노인 환자의 치과 치료를 감안한 단계별 치료접근을 필요로 한다. 본 증례는 93세 남자 환자로 전반적인 치아 마모 및 기존 고정성 보철물의 동요도를 보이고 있었다. 진단 및 평가 후 수직교합 고경을 유지한 상악 구강회복술을 시행하였으며, 기능 및 형태적으로 만족할만한 결과를 보여 보고하는 바이다.

하악구치부 보철공간을 위한 상악구치부의 분절골절단 및 상방 정위 (SURGICAL REPOSITIONING OF THE EXTRUDED DENTO-ALVEOLAR SEGMENTS BY THE SINGLE-STAGE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Y)

  • 김명래;김충;김형섭
    • Maxillofacial Plastic and Reconstructive Surgery
    • /
    • 제23권4호
    • /
    • pp.338-347
    • /
    • 2001
  • Purpose: This is to review the cases of posterior maxillary segmental osteotomies to regain the interarch spaces for dental implants in the posterior mandible. Materials & Methods: Seven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lveolar extrusion of upper posterior molars underwent segmental osteotomies by single-stage Kufner's buccal approach under the intravenous sedation and local anesthesia. The posterior maxillary cento-alveolar segments were repositioned upward using pre-fabricated palato-occlusal resin splints and immobilized with osteosynthesis microplates and screws. Dental implants were installated simultaneously. The regained spaces, tooth vitality, periodontal healing, relapse, tenderness on function, and complications including maxillary sinus involvements were evaluated periodically for over one year after the surgeries. Results: The single-tage procedures were completed within 80 minutes without any surgical complications. The posterior maxillary segments were repositioned upward to regain the interarch spaces ranging from 2.5 to 5.5mm. All teeth involved in the procedures keep their vitalities. The repositioned segments were maintained showing neither evidence of periodontal break-down nor tenderness to function. One patient whose segments had not been immobilized by osteosynthesis plate resulted in 2mm down-ward relapse in post-operative 8 months. A case of postoperative nasal bleeding from the posterior-lateral wall resulted in oroantral fistula and chronic maxillary sinusitis later. Conclusion: The extruded dento-alveolar segments of the posterior maxilla were repositioned properly by Kufner's one-stage segmental osteotomies. One microplate can be of help to keep the position until the osseous healing enough to support the masticatory force.

  • PDF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구개 폐쇄 장치를 이용한 보철치료: 증례보고 (Prosthetic Treatment with Palatal Obturator for the Patient who had Hemimaxillectomy: Case Report)

  • 최수정;조광헌;이규복
    • 구강회복응용과학지
    • /
    • 제27권3호
    • /
    • pp.337-342
    • /
    • 2011
  • 악안면 부위의 선천적 결손이나 외상성 손실, 종양의 외과적 절제 등에 의한 악골의 결손은 환자에게 저작 장애, 연하 장애 등의 기능적 문제와 발음장애 및 심미적 장애를 초래하게 된다. 이러한 장애를 줄여주고 손상된 조직과 기능을 회복시켜주기 위해 많은 경우 보철적인 수복을 필요로 하게 된다. 상악골에 결손부가 생긴 경우 음식물과 액체가 비강으로 새어나가고 이 결손부로 공기가 누출되어 과비음이 발생한다. 이런 경우에 구개 폐쇄 장치가 사용되는데, 이 장치는 상악의 결손부를 채우고 구강과 상악동 또는 비강과의 개통부를 차단하여 심미성을 증진시키고 기능을 회복시킨다. 본 증례의 환자는 우측 상악동에 편평상피세포 암종이 발생하여 상악골 부분 절제술을 시행한 환자로 구개 폐쇄 장치를 제작하여 장착한 후, 발음과 연하 등의 기본적 기능이 회복되었고 안모의 심미성이 증가하였다.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에서 임플란트를 지대치로 이용한 가철성 국소의치 수복 증례 (Prosthetic rehabilitation of marginal mandibulectomized patient using implant-supported removable partial denture)

  • 백창현;허성주;곽재영;김성균;박지만
    • 대한치과보철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126-131
    • /
    • 2016
  • 구강암에 의해 하악골 절제술을 받은 환자들은 저작 및 연하 기능의 저하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며 동반된 안모의 변화와 발음의 문제로 인하여 사회적, 심리적인 영향을 받게 된다. 따라서 보철적인 수복을 통해 하악골 변연절제술 환자의 문제를 개선해 나아가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증례는 편평세포암으로 인하여 하악골 변연절제술을 받은 환자에서 골결손이 일어나지 않은 후방부위에 전략적으로 임플란트를 식립하였고 임플란트를 통해 의치의 유지와 지지를 담당할 수 있도록 보철물을 설계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Kennedy class IV 국소의치를 제작하여 만족스런 심미적, 기능적 결과를 얻었으며, 8개월 간의 임상 관찰 동안 임플란트 주변 골의 안정적인 유지가 관찰되는 바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