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mass-like lesion

검색결과 94건 처리시간 0.021초

족부에서 발생한 장딴지신경의 신경외막 결절종 (Epineural Ganglion Cyst of the Sural Nerve at the Foot: A Case Report)

  • 김철한;김현성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7권6호
    • /
    • pp.839-842
    • /
    • 2010
  • Purpose: Ganglion cysts of peripheral nerve are uncommon. Ganglion cysts located within the nerve and extraneural ganglia that cause symptomatic nerve compression have been reported. We report an unusual case of epineural ganglion cyst confined to the epineurium of the sural nerve at the foot. Methods: A 45-year-old woman was referred because of a mass on the foot. She had six months' history of pain and numbness in the right small toe. During the examination of the lesion, multinodular cystic mass was identified arising from the epineurium of the sural nerve. The nerve fascicles were compressed by the cyst, but the cyst wall clearly did not invade the fascicle. With the aid of surgical microscope, the epineural cyst was completely excised along with epineural tissue to which it was attached, and the sural nerve was decompressed.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the cyst and either the joint capsule or tendon sheath. Since the cyst was on the periphery of the nerve it was possible to remove the cyst intact without damaging the underlying fascicles. Results: The postoperative course was uneventful. Pathologic examination showed a ganglion cyst with a degenerated collagen fibers and contained a yellowish, jelly-like mucinous substance. No neural elements were identified within the cystic wall. Her sensory impairment improved progressively. At the 15 months follow-up, she was asymptomatic with no neurological deficits. Conclusion: Rarely, ganglion cysts can involve peripheral nerves, leading to varing degrees of neurological deficits. Intraneural intrafascicular ganglion may be difficult to separate from the neural elements without nerve injury. Epineural ganglion, subcategorized as intraneural extrafascicular ganglion, can be removed without damage to the underlying nerve.

Limited eye movement caused by clumping of fibrin glue used in blowout fracture surgery: a care report

  • Shin, Jin Yong;Lee, Nae-Ho;Kim, Min-Seok;Roh, Si-Gyun;Chung, Yoon Kyu
    • 대한두개안면성형외과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228-231
    • /
    • 2022
  • Fibrin glue is a topical agent widely used for hemostasis, wound healing, and surgical adhesion. Complications of fibrin glue itself are extremely rare because it is absorbed over time, but can occur as a result of inappropriate application. We report a case of a postoperative complication caused by inappropriate application of fibrin glue in blow-out fracture surgery. A 65-year-old male patient presented with periorbital swelling and an open wound on the right infraorbital area. Computed tomography showed a right orbital floor fracture. After reduction of the herniated tissue into the orbit, an implant was inserted and fibrin glue was applied to stabilize the implant. This procedure was performed without difficulty, but the patient complained of persistent diplopia and limited eyeball movement after surgery. An imaging study showed a mass-like lesion, which was not a hematoma, in the orbital cavity. In a second operation, the mass was identified as clotted fibrin glue that had not been applied properly. After removal, the patient's symptoms were relieved without further complications. Appropriate and careful application of fibrin glue is necessary to avoid unnecessary complications.

뇌수막종으로 오인된 두개 내에만 발생한 Rosai-Dorfman Disease: 증례 보고 (Isolated Intracranial Rosai-Dorfman Disease Mimicking Meningioma: A Case Report)

  • 신민지;허영진;김동현;정해웅;백진욱;박하영
    • 대한영상의학회지
    • /
    • 제83권3호
    • /
    • pp.719-723
    • /
    • 2022
  • Rosai-Dorfman Disease (이하 RDD)는 드문 조직구 증식성 질환이며 두개 내에만 발생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대부분의 두개 내 RDD는 균질한 조영증강을 동반하는 경막의 종괴들로 나타나서, 심한 경부 림프절증을 보이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하기 전에 뇌수막종과의 감별이 어렵다. 저자들은 65세 남자 환자의 두개 내에만 발생한 RDD의 드문 증례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뇌 MRI에서 우측 전엽 원개에 경계가 분명한 조영증강되는 종괴의 형태로 보였으며 미세한 확산제한이 관찰되었다. 하지만 수술 전 뇌혈관조영상에서는 겨우 미세한 홍조만이 보였다. 비록 두개 내에만 발생한 RDD가 드물기는 하지만, 경막에 기반한 종괴가 뇌혈관조영상에서 저혈관성의 형태로만 보일 때 감별질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

기무라씨 질환, 5 예 보고 (REPORT OF EXPERIENCE WITH KIMURA'S DISEASE)

  • 설대위;박윤규;이광민
    • 대한두경부종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39-46
    • /
    • 1989
  • 기무라씨 질환은 특히 두경부 부위에 피하 종괴를 일으키는 만성염증성, 증식성 질환이다. 저자들은 최근 치험하였던 본 질환 5 예를 한국외과 문헌에 처음으로 보고하는 바이다. 기무라씨 질환은 크게는 ALHE(Angiolymphoide Hyperplasia with Eosinophilia) 의 범주에 속한다. 본 질환의 병리학적 특징은 증식된 lymphoid follicles, eosinophilic infiltration 과 혈관의 증식성이다. 이 질환은 이하선, 악하선 및 상부 경부 부위등에 흔히 종괴를 일으키며 이들 종괴들은 피하조직 뿐만 아니라 타액선과 상부 경부 임파선에까지도 파고 든다. 저자들의 증례 중 한명에서는 서혜부에 종괴가 있었으며 새로이 증식된 혈관과 동상들 (Sinusoids) 로 인하여 혈관 분포가 매우 풍부하였다. 저자들 증례 5 명의 평균 연령은 35세이었지만 한명을 제외한 나머지 모두는 38세 이하이었다. 남녀비는 3:2 이었으며 증상의 평균 기간은 5.2 년이었다. 전례에 있어서 말초 혈액 소견상 Eosinophilia 가 있었다. 전례에서 다발성 종괴들을 보였으며 가끔은 대칭적이기도 하였다. 저자들이 시행한 치료 양상은 수술만 시행한 경우와 수술 및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시행 경우가 각각 1례씩이었고 수술과 방사선조사 경우가 2례이었으며 나머지 1례에서는 수술, 스테로이드 홀몬요법 및 방사선조사의 복합치료를 실시하였다. 저자들은 기무라씨 질환과 ALHE 질환과의 관계를 고찰해 보았으며 기무라씨 질환의 치료 경험을 보고하는 바이다.

  • PDF

후두실 탈출증 1례 (A case of prolapse of the laryngeal ventricle)

  • 권우영;손학선;백문찬;김종애;조진규
    • 대한기관식도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기관식도과학회 1977년도 제11차 학술대회연제 순서 및 초록
    • /
    • pp.7.1-7
    • /
    • 1977
  • 후두실의 탈출은 Bryce 및 Cranston에 의하면 후두실 점막이 염증성 비후 또는 부종으로 인해 후두강내에 탈출된 것이라고 했다. 환자는 53세의 여자로서 1977년 3월 11일 호흡곤란과 사성의 주소를 갖고 본원에 입원하였다. 입원당시 후두소견은 가성대 하부에 표면이 평활하고 둥근 연홍색의 종물이 양측으로부터 돌출되어 기도를 거의 폐쇄하고 있었으며, 종물에는 궤양은 없었으며 주위 조직에 침윤된 소견은 볼 수 없었다. 경부에는 임파선비대를 촉진할 수 없었다. 호흡곤란이 심하여 기관절개술을 실시한 후에 직달후두경하에 조직검사를 하였으며, 검사결과는 만성염증으로 판정되었다. 1977년 4월 2일 전신마취하에 후두절개술을 시행하여 후두강을 관찰한 결과, 후두실의 앞에서 뒤까지 전역에 걸쳐 기시된 표면이 평활한 판상의 연홍색 종물이 양쪽에서 상대적으로 후두강내로 자라나와 중앙부에서는 거의 서로 맞닿아 있었다. 제거된 종물의 조직검사 결과도 술전과 같이 염증성비후로 나타났다. 수술후 경과는 양호하여 현재 호흡곤란은 완전히 소실되었고 음성은 경도의 사성을 호소할 뿐이고 후두강내에는 종물의 재발 증후는 없었다. 본증은 임상증상, 수술시의 후두강 소견 및 조직소견으로 보아 "후두실 탈출증"이라고 진단되었다. 이 후두실 탈출증은 문헌상 희소한 것으로서 일증례를 문헌적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

아랫입술에 생긴 선천성 샛길 증례 (A Case of Congenital Midline Fistula of the Lower Lip)

  • 최환준;최임돈;최창용;김숙;김용배
    • Archives of Plastic Surgery
    • /
    • 제38권1호
    • /
    • pp.73-76
    • /
    • 2011
  • Purpose: Congenital midline upper lip sinus is a rare lesion. There are two postulates that can account for the formation of the upper lip sinus based on two major theories of the development of the face: the fusion theory and the merging theory. However, congenital midline lower lip sinus is very rarely reported and described. We report a case of a congenital midline sinus of the lower lip in a 6-year-old female. Methods: A 6-year-old girl presented with a nipple like swelling on the midline lower lip. Physical examination revealed about $5{\times}5$ mm protruding round mass with a just small opening that was non-tender to palpation. The mass was not associated with any skin changes. It umbilicated at the apex and contains a fistulous tract, discharging clear fluid. Only, simple radiologic finding shows bony spur on the lower one third of mandibular symphsis. Results: A small transverse ellipse is made around the opening and elevated mass with sharpe dissection. The tract is excised using the probe and dye as the guide. The tract was extended to periosteum of the lower one third of the mandible. The tract and involved periosteum were excised en bloc, and removed protrusion of the mandibular bone using diamond burr. Microscopic examination of the resected sinus revealed the fistulous tract itself, consisting of fibrous connective tissue covered with cornified stratified squamous epithelium, was observed in the center of the sample. In 6 months follow-up, This patient had a good result was obtained by the method of fistulectomy alone. Conclusion: Midline cranoifacial fistulas represent rare lesions resulting from abnormal fusion of embryologic structures. Our case report describes the excision of a congenital midline sinus of the lower lip in a 6-year-old female. This case represents the first report of a lower lip sinus presenting in a girl as a mass in the skin of the chin with extension to the midline of the mandible. However, the etiology of this rare congenital sinus remains obscure.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의 치험례 (CALCIFYING ODONTOGENIC CYST ASSOCIATED WITH COMPLEX ODONTOMA : CASE REPORT)

  • 이상엽;김대업;이광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645-650
    • /
    • 2004
  • 석회화 치성낭은 비교적 드문 낭으로 하나의 독립된 유형의 치성 병소로 인정받고 있지만, 조직학적 소견이 다양하고 분류체계도 학자들마다 다르다. 석회화 치성낭의 이장상피는 중층편평상피로 되어 있으며, 상피층 내에 특징 세포인 유령세포가 출현한다. 유령세포들은 인접한 결합조직 에 치성조직을 유도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고 있어 법랑모세포종, 법랑모세포 치아종, 법랑모세포 섬유치아종, 치아종 등의 치성종양이 합병되어 발생하기도 한다. 외과적 제거 후 재발율은 적지만 치성종양이 병발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조직병리학적 검사를 수행하여야 한다. 7세 남아가 상악 좌측 중절치의 미맹출을 주소로 원광대학교 치과병원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방사선 사진에서 맹출되지 않은 상악 좌측 중절치 및 측절치 치관 상방에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이 보였다. 초기 임상적 방사선학적 검사 결과 치아종으로 진단하였으며, 외과적 적출 및 생검을 시행하였다. 적출물은 불규칙적인 석회화 물질로 구성된 복잡 치아종 양상을 보였으며 상피조직으로 싸여 있었다. 조직병리학적 검사 결과, 이장상피에서 유령세포의 군집이 관찰되었고, 석회화 조직은 법랑질, 상아질 형태의 조직들이 혼합된 양상을 보여, 복잡 치아종을 동반한 석회화 치성낭으로 진단하였다. 본 증례에서와 같이 매복치 상방의 치아종 양상의 병소가 관찰되었을 때 석회화 치성낭의 가능성을 염두에 두어야 할 필요가 있다.

  • PDF

직장암 유래 전이성 구강 암종의 진단예 (A Case of Metastatic Oral Carcinoma from Rectal Cancer)

  • 신금백;강기현;채규삼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24권2호
    • /
    • pp.171-179
    • /
    • 1999
  • 최근 저자들은 좌측 안검하수, 안면마비, 좌측 협궁부의 부종 및 안모비대칭을 호소하는 49세 한국 여성 환자로부터, 임상적으로 우측 하악지 부위에서의 융기성 경결성 병소를 발견하고, 이에 대한 진단 및 감별진단을 위해 (1) 문진상 직장 선암(直腸 腺癌)에 대한 과거 수술병력 소견, (2) 두부 전산화단층촬영사진상 우측 하악지 전내방에서의 비교적 균질한 괴(塊)의 존재와 이것에 의한 우측 하악지 내측 피질골의 파괴, 또한 경사대(傾斜臺)를 중심으로 뇌실질 조직에 비해 약간 고밀도를 보이는 불규칙한 괴(塊)의 존재와 이것에 의한 접형동(蝶形洞)과 주변 골 및 좌측 상악골의 파괴, 그리고 전신 골스캔상 비강 부위와 좌측 상악골 부위에서의 hot spot의 존재, 그리고 후전방 흉부 일반방사선촬영사진상 전폐야에 걸친 다양한 크기의 수 많은 결절의 산재를 나타낸 영상화 검사 소견, (3) 과거 전신병력 추적 소견상 간 우엽에서의 중심부에 hyperechoic focus를 가진 과녁 모양의 경계가 양호한 괴(塊)의 존재를 나타낸 간부위 초음파 검사 소견을 채득한 후 이들 자료를 종합, 분석, 평가한 결과, 과거 전신병력상의 원발성 직장 선암의 원격 전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또한 영상화 검사에서 관찰된 우측 하악지 내측 피질골의 파괴상 및 좌측 상악골의 파괴상 역시 원발성 직장 선암의 원격 전이에 의해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 PDF

영아의 상순에 발생한 유피낭종 (DERMOID CYST IN AN INFANTILE UPPER LIP)

  • 김성오;문성환;이제호;최형준;최병재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501-505
    • /
    • 2004
  • 유피낭종(dermoid cyst)은 표피형태의 상피세포로 이루어진 낭종의 벽에 피부부속조직을 포함하는 발생학적 낭종이다. 눈썹 부근이나 구강저의 중심선에 호발하지만 혀, 입술, 협점막의 병소도 보고된 바 있다. 이 병소는 천천히 커지고 무통성이며 임파선비대는 동반하지 않는다. 내용물은 피지성, 화농성등이며 크기는 수 mm에서 12cm까지 다양하다. 조직학적 특징은 상피세포 이장과 낭종벽내의 땀샘, 피지샘, 모낭동의 피부부속조직의 존재이다. 유피낭종의 치료는 완전절제이다 완전한 절제시 재발의 가능성은 거의 없다. 본 증례의 2세 여자환아는 1년 전에 넘어진 이후 상순에 딱딱한 것이 생겼다는 것을 주소로 연세대학교 치과대학병윈 소아치과에 내원하였다. 임상 구강검사 결과 둥근 고무질감의 종괴가 상순에서 관찰되었다. 조직학적 검사를 위해 조직생검을 시행하였으며, 낭종의 벽에서 피지샘이 관찰되었다. 이에 상순에서는 드물게 발생하는 유피낭종으로 진단되어 보고하는 바이다.

  • PDF

14세 여아에서 발견된 선천성 낭종성 선종성 기형 1예 (A Case of Late Presentation of Congenital Cystic Adenomatoid Malformation of the Lung)

  • 이명인;손소희;이대준;하동열;지영구;이계영;김건열;최영희;조정희;서필원;김삼현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3권5호
    • /
    • pp.805-811
    • /
    • 1996
  • 저자들은 14세 여아에서 호흡곤란과 흉통이 발생하였으나, 긴장성 기흉등으로 잘못 인식되었던 선천성 낭종성 선종성 기형(CCAM)을 진단하여 수술적 방법으로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PDF